지식나눔

금나노파티클과 은나노파티클

제가 실험하는 내용에 대해서 도움을 요청할 곳이 없어 이렇게 글을 올립니다. 제가 실험실에 저 혼자 뿐이라, 부탁드리겠습니다. 제가 Mirkin의 논문과Keating의 논문을 참고하여 1mM의 HAuCl4 100ml을 팔팔 끓여서 거기에 Na3citrate 38.8mM을 넣어서 금 나노파티클을 만들고 있습니다. 그런데 얼마전부터인가 똑같은 실험방법을 쓰는데 팔팔 끓여서 citrate를 넣고 약 8~10분이 지나면 색이 와인색에서 탁한 색으로 바뀌고 이내 침전이 생기고 맙니다. stir은 vigorous하게 하라고 해서 휘몰아치듯이 stir하고 있고, Heating mentle을 이용해서 파티클을 만듭니다. 너무 많이 끓이면 침전이 생긴다고 하여서 citrate를 넣고 약 2분뒤에는 mentle의 전원을 끄고, 약 7분뒤에는 아예 stir만 하고 mentle을 제거합니다. 그런데도 제대로 된 파티클을 만들 수 없으니 답답합니다. 뿐 아니라 동일한 방법으로 은나노파티클도 만들었는데 맨 처음에 citrate를 넣고 꿀색 -> 진한청록색이 되더니 금나노파티클처럼 이내 침전이 생겼습니다. 다른 방법으로 파티클을 만들어도 된다는걸 잘 알고 있습니다만 잘되던 방법이 안되니 원인을 알고 싶습니다. 혹시 조언해주실 수 없으신가요? 부탁드리겠습니다.
  • 나노파티클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3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gold nanoparticle제조 방법과 silver nanoparticle제조 방법이 나와 있습니다. http://mrsec.wisc.edu/Edetc/nanolab/silver/index.html (Quicktime이 download되어 있지 않다면, free software를 download받아서 설치하면 됩니다.http://download.cnet.com/Apple-QuickTime/3000-2139_4-10002208.html 에서 QuickTime 7.6.2를 down받으면 됩니다)
    gold nanoparticle제조 방법과 silver nanoparticle제조 방법이 나와 있습니다. http://mrsec.wisc.edu/Edetc/nanolab/silver/index.html (Quicktime이 download되어 있지 않다면, free software를 download받아서 설치하면 됩니다.http://download.cnet.com/Apple-QuickTime/3000-2139_4-10002208.html 에서 QuickTime 7.6.2를 down받으면 됩니다)

    저도 동영상을 확인해보았는데 그래도 잘 안되네요. 감사합니다. ^^

    안길홍(ah5506) 2009-07-28

    반응온도를 낮추어 주시고,nano입자는 정전기력에 의하여 입자끼리 응집이 잘되어 작은
    알갱이와 같이 바닥에 침전이 잘 생깁니다. 분산제(Tritonㅌ-100같은 것)를 소량넣어서
    고속 교반을 하여 주시면 입자의 응집,침전을 최대한 억제합니다.이때 소포제도 최종
    소량 넣어 주시기 바랍니다.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Colloid의 응집에 대하여 zeta potential을 많이 적용하는데, gold nanoparticles는 약-35mV정도 되고,silver nanoparticles는 약-31mV정도 되는 것으로 여러 자료들에 나옵니다. 위의 수치는 colloid가 안정된 상태도 아니고, 그렇다고 응집이 잘일어나는 불안정한 상태도 아닌 중간 정도의 상태입니다. 따라서 온도를 낮추어서 시간을 길게하여 보시고, 동시에 분산제 및 소포제,wetting제 등과 같은 첨가제를 소량 같이 사용하여 보시기를 바랍니다.
    Colloid의 응집에 대하여 zeta potential을 많이 적용하는데, gold nanoparticles는 약-35mV정도 되고,silver nanoparticles는 약-31mV정도 되는 것으로 여러 자료들에 나옵니다. 위의 수치는 colloid가 안정된 상태도 아니고, 그렇다고 응집이 잘일어나는 불안정한 상태도 아닌 중간 정도의 상태입니다. 따라서 온도를 낮추어서 시간을 길게하여 보시고, 동시에 분산제 및 소포제,wetting제 등과 같은 첨가제를 소량 같이 사용하여 보시기를 바랍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 > >제가 실험하는 내용에 대해서 도움을 요청할 곳이 없어 이렇게 글을 올립니다. >제가 실험실에 저 혼자 뿐이라, 부탁드리겠습니다. > >제가 Mirkin의 논문과Keating의 논문을 참고하여 >1mM의 HAuCl4 100ml을 팔팔 끓여서 거기에 Na3citrate 38.8mM을 넣어서 금 나노파티클을 만들고 있습니다. >그런데 얼마전부터인가 똑같은 실험방법을 쓰는데 >팔팔 끓여서 citrate를 넣고 약 8~10분이 지나면 색이 와인색에서 탁한 색으로 바뀌고 이내 침전이 생기고 맙니다. >stir은 vigorous하게 하라고 해서 휘몰아치듯이 stir하고 있고, >Heating mentle을 이용해서 파티클을 만듭니다. >너무 많이 끓이면 침전이 생긴다고 하여서 citrate를 넣고 약 2분뒤에는 mentle의 전원을 끄고, 약 7분뒤에는 아예 stir만 하고 mentle을 제거합니다. >그런데도 제대로 된 파티클을 만들 수 없으니 답답합니다. > >뿐 아니라 동일한 방법으로 은나노파티클도 만들었는데 >맨 처음에 citrate를 넣고 꿀색 -> 진한청록색이 되더니 금나노파티클처럼 이내 침전이 생겼습니다. > >다른 방법으로 파티클을 만들어도 된다는걸 잘 알고 있습니다만 >잘되던 방법이 안되니 원인을 알고 싶습니다. >혹시 조언해주실 수 없으신가요? > >부탁드리겠습니다. 첨부 자료 참고하세요.
    > > >제가 실험하는 내용에 대해서 도움을 요청할 곳이 없어 이렇게 글을 올립니다. >제가 실험실에 저 혼자 뿐이라, 부탁드리겠습니다. > >제가 Mirkin의 논문과Keating의 논문을 참고하여 >1mM의 HAuCl4 100ml을 팔팔 끓여서 거기에 Na3citrate 38.8mM을 넣어서 금 나노파티클을 만들고 있습니다. >그런데 얼마전부터인가 똑같은 실험방법을 쓰는데 >팔팔 끓여서 citrate를 넣고 약 8~10분이 지나면 색이 와인색에서 탁한 색으로 바뀌고 이내 침전이 생기고 맙니다. >stir은 vigorous하게 하라고 해서 휘몰아치듯이 stir하고 있고, >Heating mentle을 이용해서 파티클을 만듭니다. >너무 많이 끓이면 침전이 생긴다고 하여서 citrate를 넣고 약 2분뒤에는 mentle의 전원을 끄고, 약 7분뒤에는 아예 stir만 하고 mentle을 제거합니다. >그런데도 제대로 된 파티클을 만들 수 없으니 답답합니다. > >뿐 아니라 동일한 방법으로 은나노파티클도 만들었는데 >맨 처음에 citrate를 넣고 꿀색 -> 진한청록색이 되더니 금나노파티클처럼 이내 침전이 생겼습니다. > >다른 방법으로 파티클을 만들어도 된다는걸 잘 알고 있습니다만 >잘되던 방법이 안되니 원인을 알고 싶습니다. >혹시 조언해주실 수 없으신가요? > >부탁드리겠습니다. 첨부 자료 참고하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