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stacking coefficient가 무엇인지 가르쳐주세요.

나노와이어 논문을 읽던중... 어떤물질의 stacking coefficient가 고체 상태일때 액체상태일때 다르다는것을 보게 되었습니다. 여기서 stacking coefficient가 무엇이며... 첨부자료 있으시면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nanowire
  • stacking coefficient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Sticking coefficients라고도 합니다. 물질의 총 원자수 대비 표면에 흡착 또는 접착(stick)된 원자 또는 분자수를 비교한 비율. 상수는 1.00~0.00범위에서 변동됩니다.
    Sticking coefficients라고도 합니다. 물질의 총 원자수 대비 표면에 흡착 또는 접착(stick)된 원자 또는 분자수를 비교한 비율. 상수는 1.00~0.00범위에서 변동됩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나노와이어 논문을 읽던중... > >어떤물질의 stacking coefficient가 고체 상태일때 액체상태일때 다르다는것을 > >보게 되었습니다. > >여기서 stacking coefficient가 무엇이며... 첨부자료 있으시면 부탁드립니다 > >감사합니다. 1) Stack Effect(굴뚝 효과) 온도가 높은 연소가스가 대기온도의 공기보다 밀도가 낮아 부력에 의해 (Blower가 없어도)연소가스를 상부로 빨아올리는 현상을 Stack Effect(굴뚝효과 혹은 통풍력)라고 합니다. 이 값은 주로 mmH2O 단위의 압력차로 나타냅니다. Stack Effect는 밀도차만큼의 유체가 채워져 있는 용기의 Hm 깊이 바닥에서의 압력에 해당합니다. 이 현상은 굴뚝의 단면적은 관련이 없고 Flue Gas와 대기의 밀도의 차, 그리고 굴뚝 높이로부터 굴뚝효과가 계산됩니다. Stack Effect, h, kgf/m2 = (Δρ)*g*H .....(1) (Stack Effect, h 압력단위 kgf/m2) = {(공기밀도, kg/m3) - (연소가스밀도, kg/m3)}* (중력가속도 9.8 m/s2)*(굴뚝 높이, H m).........(1a) 공기와 연소가스가 모두 이상기체라고 하면 분자량만 알면 온도로부터 밀도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PV=(W/M) RT==> (W/V) = PM/RT = M *(P/RT), P=절대압력, T=절대온도, R=이상기체상수....(2) 2) 압력단위 환산 (압력단위 환산계수, 1) = 0.07356 mmH2O/(kgf/m2) 3) +/- 값 Stak Effect가 크면 Blower가 밀어주어야 하는 Head가 줄어들게 됩니다. 질문에서 + 혹은 - 값을 취하는 방법에 대해 혼동스러울 때는 다음 사항을 염두에 두면 됩니다. Duct의 압력손실 혹은 Blower가 밀어주어야 할 압력을 +값으로 취하면 Stack Effect는 -값을 취하게 됩니다. 이 경우 Stack은 Blower의 Head를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고 이해하고 있으면 됩니다.
    >나노와이어 논문을 읽던중... > >어떤물질의 stacking coefficient가 고체 상태일때 액체상태일때 다르다는것을 > >보게 되었습니다. > >여기서 stacking coefficient가 무엇이며... 첨부자료 있으시면 부탁드립니다 > >감사합니다. 1) Stack Effect(굴뚝 효과) 온도가 높은 연소가스가 대기온도의 공기보다 밀도가 낮아 부력에 의해 (Blower가 없어도)연소가스를 상부로 빨아올리는 현상을 Stack Effect(굴뚝효과 혹은 통풍력)라고 합니다. 이 값은 주로 mmH2O 단위의 압력차로 나타냅니다. Stack Effect는 밀도차만큼의 유체가 채워져 있는 용기의 Hm 깊이 바닥에서의 압력에 해당합니다. 이 현상은 굴뚝의 단면적은 관련이 없고 Flue Gas와 대기의 밀도의 차, 그리고 굴뚝 높이로부터 굴뚝효과가 계산됩니다. Stack Effect, h, kgf/m2 = (Δρ)*g*H .....(1) (Stack Effect, h 압력단위 kgf/m2) = {(공기밀도, kg/m3) - (연소가스밀도, kg/m3)}* (중력가속도 9.8 m/s2)*(굴뚝 높이, H m).........(1a) 공기와 연소가스가 모두 이상기체라고 하면 분자량만 알면 온도로부터 밀도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PV=(W/M) RT==> (W/V) = PM/RT = M *(P/RT), P=절대압력, T=절대온도, R=이상기체상수....(2) 2) 압력단위 환산 (압력단위 환산계수, 1) = 0.07356 mmH2O/(kgf/m2) 3) +/- 값 Stak Effect가 크면 Blower가 밀어주어야 하는 Head가 줄어들게 됩니다. 질문에서 + 혹은 - 값을 취하는 방법에 대해 혼동스러울 때는 다음 사항을 염두에 두면 됩니다. Duct의 압력손실 혹은 Blower가 밀어주어야 할 압력을 +값으로 취하면 Stack Effect는 -값을 취하게 됩니다. 이 경우 Stack은 Blower의 Head를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고 이해하고 있으면 됩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