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8-07
org.kosen.entty.User@119390b6
원아영(way1981)
- 2
Immunohistochemical staining을 위한 sample 준비하는 방법 중
일반적으로 formalin을 사용하여 탈수하고
paraffin block을 만들어 다양한 Ab를 붙인다는건 아는데요.
논문에 보니 어떤 경우 Freeze dried tissue를 만든다고 합니다.
제가 연구 계획중인 sample은 Skin인데 여기서 말하는
Freeze dried skin tissue는 어떤 것인가요?
그냥 단순하게 동결 건조를 말하는 것인가요?
freeze dried 법과 formalin에 의한 탈수법을 이용한 준비 방법에 따라
실험결과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나요?
IHC, ICC는 실제로 실험한 적이 없다보니, 부족한 면이 많네요..
도움 부탁드립니다.
- IHC
- TISSUE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장성재님의 답변
2009-08-08- 2
일반적으로 paraformaldehyde나 glutaraldehyde를 이용하는 chemical fixation 방법은 조직의 형태 (morphology)에 변형을 최소화하는 고정법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화학적 고정법은 조직의 단백질을 변형시키거나 파괴함으로써 면역 염색법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항체에 대한 항원의 반응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특히, 기저막에 존재하는 단백질과 막단백질 등의 경우 chemical fixation에 의해 항체에 대한 반응성이 급격히 하락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는데, 이 때문에 cryofixation과 freeze drying을 이용하여 형태 및 항원성을 동시에 유지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Immunohistochemical staining을 위한 sample 준비하는 방법 중 >일반적으로 formalin을 사용하여 탈수하고 >paraffin block을 만들어 다양한 Ab를 붙인다는건 아는데요. > >논문에 보니 어떤 경우 Freeze dried tissue를 만든다고 합니다. > >제가 연구 계획중인 sample은 Skin인데 여기서 말하는 >Freeze dried skin tissue는 어떤 것인가요? >그냥 단순하게 동결 건조를 말하는 것인가요? > >freeze dried 법과 formalin에 의한 탈수법을 이용한 준비 방법에 따라 >실험결과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나요? > > >IHC, ICC는 실제로 실험한 적이 없다보니, 부족한 면이 많네요.. > >도움 부탁드립니다. -
답변
DELETED님의 답변
2009-08-17- 0
>Immunohistochemical staining을 위한 sample 준비하는 방법 중 >일반적으로 formalin을 사용하여 탈수하고 >paraffin block을 만들어 다양한 Ab를 붙인다는건 아는데요. > >논문에 보니 어떤 경우 Freeze dried tissue를 만든다고 합니다. > >제가 연구 계획중인 sample은 Skin인데 여기서 말하는 >Freeze dried skin tissue는 어떤 것인가요? >그냥 단순하게 동결 건조를 말하는 것인가요? > >freeze dried 법과 formalin에 의한 탈수법을 이용한 준비 방법에 따라 >실험결과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나요? > > >IHC, ICC는 실제로 실험한 적이 없다보니, 부족한 면이 많네요.. > >도움 부탁드립니다. Re: 저역시 skin tissue로 staining을 합니다. 물론, formalin이나 formaldehyde fixing 방법이 protein cross-links를 형성하게 하여, epitope을 masking하게 되지만... citrate buffer를 이용하여, antigen retrieval 과정을 거치고 나면, staining자체에는 별 문제 없습니다. 물론 이러한 번거러움을 덜기위해, 또는 더 나은(저는 아직잘 모르겠지만..) staining 을 위해, cryosection을 많이 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skin 같이 morphology가 중요한 sample은 cryosection 시 조직이 밀리는 현상이 자주 발생하여, morphology가 좋지 않은 결과를 낳을수 있습니다.또한 skin 조직은 section 하는 방향이 매우 민감합니다. cryosection의 경우, 조직을 심는과정이 매우 불편하고 어렵습니다. 이에 비해 paraffin 조직은 안정적이며 용이한 편입니다... 동결건조 방법은 정확히 잘 모르겠지만, skin에는 그리 맞지 않는것 같네요..
깔끔한 답변 정말 감사드립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더위조심하시고,
좋은 한주 보내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