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8-13
org.kosen.entty.User@6118df0d
김치헌(imeda)
- 3
PU 고분자 소재를 이용하여 제조된 섬유제품(부직포류)에 대해서
어떤 특정 PU 고분자(PU 중에서도 PU,TPU 등이 있고 또 하위 분류에 Poyesester, Polyether계 등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음.)
를 사용했으며 어떠한 첨가제가 들어가 있는지 등을 분석하고 싶은데요.
PU 고분자에 한정짓는게 아니라 보통 고분자를 이용해서 제조된 제품을 분석하고자 할 때
여러 회원님들은 주로 어떠한 방법 들을 이용하는지 설명해주실 수 있나요?
시간과 노력을 단축하면서 효율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비법을 알고 싶습니다.
기초적인 내용이지만 답변 부탁드립니다.
- 고분자
- 성분 분석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3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2009-08-13- 2
>PU 고분자 소재를 이용하여 제조된 섬유제품(부직포류)에 대해서 >어떤 특정 PU 고분자(PU 중에서도 PU,TPU 등이 있고 또 하위 분류에 Poyesester, Polyether계 등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음.) >를 사용했으며 어떠한 첨가제가 들어가 있는지 등을 분석하고 싶은데요. >PU 고분자에 한정짓는게 아니라 보통 고분자를 이용해서 제조된 제품을 분석하고자 할 때 >여러 회원님들은 주로 어떠한 방법 들을 이용하는지 설명해주실 수 있나요? >시간과 노력을 단축하면서 효율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비법을 알고 싶습니다. >기초적인 내용이지만 답변 부탁드립니다. > 가장 흔히 사용하는 분석법으로는 TGA같은 열분석법이 있습니다. 온도에 따라 질량 변화량패턴을 관찰함으로서 물질의 특성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IR이나 fluorescence등도 사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 외에도 X-ray diffraction을 사용할 수 있고, 분자량 분포는 MALDI-TOF mass spectrometry로 쉽게 확인이 가능하며, 수용액상에서의 구조분석용으로는 NMR spectroscopy가 사용되고, 고분자 표면분석은 ESCA가 사용되고 polymer microscopy로는 형태 관찰이 가능합니다. -
답변
박준모님의 답변
2009-08-14- 0
>어떤 특정 PU 고분자(PU 중에서도 PU,TPU 등이 있고 또 하위 분류에 Poyesester, Polyether계 등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음.) >를 사용했으며 어떠한 첨가제가 들어가 있는지 등을 분석하고 싶은데요. - polyester 나 polyether 계를 확인하려면 IR과 NMR로 확인을 해보시고 일반적으로 첨가제를 정확히 알긴힙듬니다.하지만 위의 기기로 대략적인것은 알수 있을 겁니다. >PU 고분자에 한정짓는게 아니라 보통 고분자를 이용해서 제조된 제품을 분석하고자 할 때 >여러 회원님들은 주로 어떠한 방법 들을 이용하는지 설명해주실 수 있나요? - 열분석으로 TGA와 DSC를 사용하여 그 고분자의 Tg나 Tm, 결정화정도, 분해온도, composite, blend , copolymer 여부를 간접적으로 알 수 있습니다. 또 구조분석으로는 IR과 NMR 이 기본적으로 사용되며 분자량은 일반적으로 GPC를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간편히 측정할 수 있습니다. 또 고분자의 유변학적 특성을 보는 경우는 Rheometer 를 이용하여 G',G",tan delta 를 구할 수있습니다. 그리고 기계적특성은 UTM (만능재료시험기)로 측정할 수 있고 모폴로지는 AFM 이나 TEM 등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얻을 수 있습니다.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2010-02-01- 0
>PU 고분자 소재를 이용하여 제조된 섬유제품(부직포류)에 대해서 >어떤 특정 PU 고분자(PU 중에서도 PU,TPU 등이 있고 또 하위 분류에 Poyesester, Polyether계 등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음.) >를 사용했으며 어떠한 첨가제가 들어가 있는지 등을 분석하고 싶은데요. >PU 고분자에 한정짓는게 아니라 보통 고분자를 이용해서 제조된 제품을 분석하고자 할 때 >여러 회원님들은 주로 어떠한 방법 들을 이용하는지 설명해주실 수 있나요? >시간과 노력을 단축하면서 효율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비법을 알고 싶습니다. >기초적인 내용이지만 답변 부탁드립니다. > 고분자의 분석은 한국고분자연구소(www.polymer.co.kr)에서 가능하나,첨가제의 분석은 불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