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LC-MS/MS 분석시

두물질의 모분자 분자량(276)은 같고, 이때 깨지는 딸이온 분자량은 다릅니다. MRM을 A는 276/121, 176 이고, B는 275/ 103, 140, 187로 하였는데 이 두개의 각각 MRM 데이터에서 피크가 한개만 나오는것이 아니라 두개로 나옵니다. 매우 붙어서.. 저렇게 다르게 설정을 해도, A의 크로마토그램 데이터에 B의 피크가 실려나올수 있나요? 다르게 설정했으므로 A 크로마토그램은 A만, B 크로마토그램에는 B만 나와야 할것 같은데요. 또한 모분자와 딸이온 분자량이 같은 이성질체를 분리해야하는데, 이동상 조건을 바꿔가며 보는 것 외 팁이 없을까요?
  • LC/MS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3
  • 답변

    이종석님의 답변

    일단, A와 B 두물질의 분자량이 동일하다고 했는데 왜 타겟 분자량이 276과 275로 다르게 설정을 하셨나요?? (단순한 오타로 생각됩니다만...동일하게 설정하셔야 하구요~) 일단 MRM 즉 MS2 크로마토그램에서 피크가 하나로 보이지 않는 이유는 직접 크로마토그램을 보지않아서 정확하게 판단하기는 어렵지만 아래와 같은 원인이 있을 수 있을것같네요. 첫째, fragmentation 조건이 stable하지 않을경우 이경우 실험전에 최적 조건을 먼저 잡으셔야 하고, MRM 딸이온의 peak이 충분하고 안정적인 S/N ratio를 나타내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둘째, MRM 타겟을 여러개 설정했을 경우 딸 이온도 MS2 data에서 base peak으로 나타나는 하나의 타겟을 선정하는것이 좋습니다(물론 A,B두 물질에서 겹치지 않으면서...) 그리고 이성질체의 분리는 이동상을 조절해서는 분리하기 어렵고, chiral column을 사용하시기를 추천합니다.
    일단, A와 B 두물질의 분자량이 동일하다고 했는데 왜 타겟 분자량이 276과 275로 다르게 설정을 하셨나요?? (단순한 오타로 생각됩니다만...동일하게 설정하셔야 하구요~) 일단 MRM 즉 MS2 크로마토그램에서 피크가 하나로 보이지 않는 이유는 직접 크로마토그램을 보지않아서 정확하게 판단하기는 어렵지만 아래와 같은 원인이 있을 수 있을것같네요. 첫째, fragmentation 조건이 stable하지 않을경우 이경우 실험전에 최적 조건을 먼저 잡으셔야 하고, MRM 딸이온의 peak이 충분하고 안정적인 S/N ratio를 나타내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둘째, MRM 타겟을 여러개 설정했을 경우 딸 이온도 MS2 data에서 base peak으로 나타나는 하나의 타겟을 선정하는것이 좋습니다(물론 A,B두 물질에서 겹치지 않으면서...) 그리고 이성질체의 분리는 이동상을 조절해서는 분리하기 어렵고, chiral column을 사용하시기를 추천합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 >두물질의 모분자 분자량(276)은 같고, 이때 깨지는 딸이온 분자량은 다릅니다. >MRM을 A는 276/121, 176 이고, B는 275/ 103, 140, 187로 하였는데 >이 두개의 각각 MRM 데이터에서 피크가 한개만 나오는것이 아니라 두개로 나옵니다. 매우 붙어서.. > >저렇게 다르게 설정을 해도, A의 크로마토그램 데이터에 B의 피크가 실려나올수 있나요? >다르게 설정했으므로 A 크로마토그램은 A만, B 크로마토그램에는 B만 나와야 할것 같은데요. > > >또한 모분자와 딸이온 분자량이 같은 이성질체를 분리해야하는데, 이동상 조건을 바꿔가며 보는 것 외 팁이 없을까요? > 우선 parent 분자의 분자량이 같다 하더라고 fragmneted ion의 분자량이 다르면 MRM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물론 정량이 가능하다는 얘기입니다. 그런데 피크가 2개로 나오는 경우는 종종 있을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전처리 과정상에서 비슷한 분자량을 가진 contamination에 의해 유래한 ion들이 mass가 일치할 경우 원래 보고자 하는 물질의 daughter ion과 중복하여 나올 수 있습니다. 이런경우 같은 chromatogram상에서 retention time은 다르게 관찰될 수 있습니다. 분자량이 같은 이성질체 분리는 precolumn derivatization을 이용하거나 chiral column을 이용하면 해결할 수 있을 것입니다.
    > >두물질의 모분자 분자량(276)은 같고, 이때 깨지는 딸이온 분자량은 다릅니다. >MRM을 A는 276/121, 176 이고, B는 275/ 103, 140, 187로 하였는데 >이 두개의 각각 MRM 데이터에서 피크가 한개만 나오는것이 아니라 두개로 나옵니다. 매우 붙어서.. > >저렇게 다르게 설정을 해도, A의 크로마토그램 데이터에 B의 피크가 실려나올수 있나요? >다르게 설정했으므로 A 크로마토그램은 A만, B 크로마토그램에는 B만 나와야 할것 같은데요. > > >또한 모분자와 딸이온 분자량이 같은 이성질체를 분리해야하는데, 이동상 조건을 바꿔가며 보는 것 외 팁이 없을까요? > 우선 parent 분자의 분자량이 같다 하더라고 fragmneted ion의 분자량이 다르면 MRM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물론 정량이 가능하다는 얘기입니다. 그런데 피크가 2개로 나오는 경우는 종종 있을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전처리 과정상에서 비슷한 분자량을 가진 contamination에 의해 유래한 ion들이 mass가 일치할 경우 원래 보고자 하는 물질의 daughter ion과 중복하여 나올 수 있습니다. 이런경우 같은 chromatogram상에서 retention time은 다르게 관찰될 수 있습니다. 분자량이 같은 이성질체 분리는 precolumn derivatization을 이용하거나 chiral column을 이용하면 해결할 수 있을 것입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 >두물질의 모분자 분자량(276)은 같고, 이때 깨지는 딸이온 분자량은 다릅니다. >MRM을 A는 276/121, 176 이고, B는 275/ 103, 140, 187로 하였는데 >이 두개의 각각 MRM 데이터에서 피크가 한개만 나오는것이 아니라 두개로 나옵니다. 매우 붙어서.. > >저렇게 다르게 설정을 해도, A의 크로마토그램 데이터에 B의 피크가 실려나올수 있나요? >다르게 설정했으므로 A 크로마토그램은 A만, B 크로마토그램에는 B만 나와야 할것 같은데요. > > >또한 모분자와 딸이온 분자량이 같은 이성질체를 분리해야하는데, 이동상 조건을 바꿔가며 보는 것 외 팁이 없을까요? > 첨부자료
    > >두물질의 모분자 분자량(276)은 같고, 이때 깨지는 딸이온 분자량은 다릅니다. >MRM을 A는 276/121, 176 이고, B는 275/ 103, 140, 187로 하였는데 >이 두개의 각각 MRM 데이터에서 피크가 한개만 나오는것이 아니라 두개로 나옵니다. 매우 붙어서.. > >저렇게 다르게 설정을 해도, A의 크로마토그램 데이터에 B의 피크가 실려나올수 있나요? >다르게 설정했으므로 A 크로마토그램은 A만, B 크로마토그램에는 B만 나와야 할것 같은데요. > > >또한 모분자와 딸이온 분자량이 같은 이성질체를 분리해야하는데, 이동상 조건을 바꿔가며 보는 것 외 팁이 없을까요? > 첨부자료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