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8-24
org.kosen.entty.User@74746cc0
전준(tkbabylon)
- 2
제목 그대로 BET 장비의 원리에 대해서 쉽게 설명좀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BET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이성기님의 답변
2009-08-25- 0
> >제목 그대로 BET 장비의 원리에 대해서 쉽게 설명좀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BET라는 말은 표면적을 측정하는 방법을 알아낸 Brunauer-Emmett-Teller 세사람의 이름을 딴 방법입니다. 꼭 BET 법이 아니라도 Langmuir법으로도 표면적 측정이 가능합니다. 일단 전처리된 (진공상태에서 측정물질의 표면에 부착된 수분이나 유기물 등을 제거하는 작업) 물질을 측정 셀에 일정량 (약 0.5g) 넣은 후 측정장치에서 자동적으로 측정하게 됩니다. 이때, 장치는 셀내를 진공상태로 만들게 됩니다. 진공상태에서 질소가스를 약간씩 주입하여 압력이 변화되는 것으로부터 질소가스가 흡착되는 양을 계산하여 표면적을 측정하게 됩니다. 도움이 되셨길... BET법에 대한 논문을 찾기가 어려워서 그 파일은 올려드리지 못해서 죄송합니다. -
답변
조영진님의 답변
2010-06-30- 0
>제목 그대로 BET 장비의 원리에 대해서 쉽게 설명좀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BET 장비 원리는 간단히 말한다면 진공분위기에 가스기체입자를 표면에 흡착하게 합니다 이때 변화를 가스센서로 측정하고 변화된 압력값을 토대로 흡착된 기체부피를 계산합니다. 따라서 분자의 갯수를 산정해 낼수 있으며 기공측정까지 응용이 가능해집니다. 결국 간단히 말하면 흡착된 기체양을 토대로 부피와 기공사이즈를 측정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비표면적을 측정하는 식은 BET, Langmuir 식을 이용하며 대체로 BET 식이 많이 사용된 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기공사이즈나 분포 측정은 H-K, BJH 식등이 사용되며 자세한 계산식등은 인터넷을 통해서 많이 구하실 수 있으리라 생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