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8-31
org.kosen.entty.User@7105a69b
김선호(awake84)
- 2
빛의 이중성을 실험할때 광자 검출기를 사용하면 빛은 입자의 성질을 띄자나요
이러한 실험을 하려고 하는데 photon detector를 찾아보니 원리가
Photon에 의해 전자가 여기되어 이로인한 전도성이나 전류를 측정하는것이던데
photon detector는 거의 찾을 수 없고 photodetector(광센서)를 찾아보니
원리가 같은것 같은데 photodetector 가 photon detector인가요???
- 광자
- photon
- sensor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2009-09-01- 0
혼돈을 할 수 있는데, 다음과 같은 차이가 있음. photon detector : 광은 파장이면서 입자성이므로 광 입자를 검출하여 광이 가지는 에너지가 얼마인지를 측정하는 것. photodetector : 광(파장에 따라)이 가지고 있는 광에너지(Eg)에 의하여 시료의 전자가 얼마나 drift돠어 전압 및 전류로 변환되는지를 측정하는 것(예:photodiode, 태양전지)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2010-01-26- 0
>빛의 이중성을 실험할때 광자 검출기를 사용하면 빛은 입자의 성질을 띄자나요 > >이러한 실험을 하려고 하는데 photon detector를 찾아보니 원리가 >Photon에 의해 전자가 여기되어 이로인한 전도성이나 전류를 측정하는것이던데 >photon detector는 거의 찾을 수 없고 photodetector(광센서)를 찾아보니 >원리가 같은것 같은데 photodetector 가 photon detector인가요??? > > 두 detector가 차이점이 있습니다. 우선 photo detector(광검출기)는 광 신호를 검출하여 이를 같은 정보를 가진 전기적인 신호로 바꾸어 주어 그 전기적인 신호를 잡아냄으로써 광자를 검출 해 낼 수 있는 장치입니다. 반면에 광자 검출기(photon detector) 1. 광기전 전지(or 광전압 전지, 반도체 전지, photovoltaic cell) - 주로 가시선 영역의 복사선을 검출하고 측정하는데 사용. - 반도체 표면에 닿은 광자 수에 비례하는 크기의 전류의 흐름을 측정. - 센 복사선을 쉽게 측정할 수는 있지만, 약한 복사선을 정밀하게 측정하기가 어렵다. (휴대용 기기에 널리 쓰임) 2. 진공 광 전광(vacuum phototube) - 음극의 오목한 면은 빛이 닿으면 전자를 방출하는 광전 방출 물질 층으로 덮여져 있으며, 두 전극사이에 전위를 걸어주면 방출된 전자는 양극으로 흘러 광전류가 흐르게 된다. - 광전 방출 면에서 방출하는 전자 수는 이 표면에 부딪치는 복사선 세기에 정비례 한다. 3. 광 전증배관(photomultiplier-PMT) 주로 가시광을 검출하는 진공관. 전자를 고체표면에 충돌시키면 충돌한 전자 자체의 반사 외에 충돌한 전자로부터 고체 내의 전자에 에너지가 주어져 새로 고체 내의 전자가 표면으로부터 튀어나오는 현상을 2차전자방출이라고 하는데, 이 현상을 이용해서 미소한 광전자류를 증폭하는 전자관이다. 2차전자증배관이라고도 한다. 이 방법은 광전관의 출력을 트랜지스터 또는 진공관 증폭기로 증폭하는 경우에 비해 훨씬 잡음이 적은 출력이 얻어지므로, 미약한 빛을 검출하는 데 적합하다. 텔레비전의 슬라이드나 필름의 송상에 사용하는 플라잉 스폿 카메라, 분광광도계, 기타 공업용 측정장치에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