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13V 이상 교류전원에 주파수 조절가능한 제품 추천 부탁드립니다.

전기도금을 하려는 관련 논문을 찾아보면 거의 대부분 13V 교류전원이네요.. 왜 13V 인지 모르겠는데 ^^ 10V 교류파형은 낼 수 있는 장비가 있어서 주파수 조정해서 전기도금을 해봤는데 생각처럼 잘 안되서 전압을 좀 더 올려보려고 합니다. 그런데 마땅한 장비가 없어서 도움 요청합니다 ~ 좋은 정보 있으시면 부탁드립니다 ^^
  • 교류전원
  • 도금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전기도금에서 보통 직류를 사용하는데, 어떤 논문인지 보았으면 좋겠는데요. V=IR에서 전압은 전해(또는 전기도금)에서 전해질속의 이온의 이동속도를 결정하는 변수이고, 전류는 Faraday법칙에 의하여 이온의 이동량을 결정하는 변수로 작용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교류를 사용하는 경우는 Electropolishing(전해연마)의 경우에 사용되어 지는 경우가 있습니다.그리고 주파수는 전기 도금에 크게 영향이 없다고 할 수 있습니다. 만일 교류전원에 주파수가 높다면 (1)전해액의 쌍극자의 운동이 높아서 도금욕조의 온도가 매우 높아 집니다.(2)도금하고자 하는 물질이 주파수의 변동에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도금되기 전에 도금 물질이 왕복하게 되므로 도금이 이루어 지기 어렵습니다.(3)그리고 매우 중요한 문제는 교류전원을 전해질이 있는 욕조에 전선 2가닥을 넣게되면 short가 발생하게 되는데 교류를 short시키면 과전압,과전류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누전 및 화재의 위험성이 있으며, 전원 입력측의 차단기(Breaker)가 down될 수 있습니다. 어떤 물질로 어디에 도금하고자 하는 지는 모르겠으나, 직류를 사용함이 도금욕조의 온도를 낮출 수 있으며, 도금에 무리가 없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직류에 사용되는 V(보통 1V~20V)와 I(1A~30A)가 동시에 조정되는 DC supply를 시중에서 구입가능합니다.
    전기도금에서 보통 직류를 사용하는데, 어떤 논문인지 보았으면 좋겠는데요. V=IR에서 전압은 전해(또는 전기도금)에서 전해질속의 이온의 이동속도를 결정하는 변수이고, 전류는 Faraday법칙에 의하여 이온의 이동량을 결정하는 변수로 작용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교류를 사용하는 경우는 Electropolishing(전해연마)의 경우에 사용되어 지는 경우가 있습니다.그리고 주파수는 전기 도금에 크게 영향이 없다고 할 수 있습니다. 만일 교류전원에 주파수가 높다면 (1)전해액의 쌍극자의 운동이 높아서 도금욕조의 온도가 매우 높아 집니다.(2)도금하고자 하는 물질이 주파수의 변동에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도금되기 전에 도금 물질이 왕복하게 되므로 도금이 이루어 지기 어렵습니다.(3)그리고 매우 중요한 문제는 교류전원을 전해질이 있는 욕조에 전선 2가닥을 넣게되면 short가 발생하게 되는데 교류를 short시키면 과전압,과전류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누전 및 화재의 위험성이 있으며, 전원 입력측의 차단기(Breaker)가 down될 수 있습니다. 어떤 물질로 어디에 도금하고자 하는 지는 모르겠으나, 직류를 사용함이 도금욕조의 온도를 낮출 수 있으며, 도금에 무리가 없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직류에 사용되는 V(보통 1V~20V)와 I(1A~30A)가 동시에 조정되는 DC supply를 시중에서 구입가능합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 > 전기도금을 하려는 관련 논문을 찾아보면 거의 대부분 13V 교류전원이네요.. > > 왜 13V 인지 모르겠는데 ^^ > > 10V 교류파형은 낼 수 있는 장비가 있어서 주파수 조정해서 전기도금을 해봤는데 > > 생각처럼 잘 안되서 전압을 좀 더 올려보려고 합니다. > > 그런데 마땅한 장비가 없어서 도움 요청합니다 ~ 좋은 정보 있으시면 부탁드립니다 ^^ 요즘은 13V 이상의 교류전원장치가 종종 나와 있습니다. 특히, 링크된 사이트를 확인해 보세요. www.etec.or.k 그리고 참고자료를 확인해보세요..
    > > 전기도금을 하려는 관련 논문을 찾아보면 거의 대부분 13V 교류전원이네요.. > > 왜 13V 인지 모르겠는데 ^^ > > 10V 교류파형은 낼 수 있는 장비가 있어서 주파수 조정해서 전기도금을 해봤는데 > > 생각처럼 잘 안되서 전압을 좀 더 올려보려고 합니다. > > 그런데 마땅한 장비가 없어서 도움 요청합니다 ~ 좋은 정보 있으시면 부탁드립니다 ^^ 요즘은 13V 이상의 교류전원장치가 종종 나와 있습니다. 특히, 링크된 사이트를 확인해 보세요. www.etec.or.k 그리고 참고자료를 확인해보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