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9-14
org.kosen.entty.User@32443fd1
정용대(gumsa007)
- 2
조금 포괄적인데요. 목재보존재 중 ACQ II에 들어가는 Didecyl Dimethyl Ammonium Chloride (DDAC)를 분석하는 방법을 알고 싶습니다.
제품에 문제가 발생되어 그 요인으로 DDAC로 보고 있었습니다.
가설로 제조시 사용되는 DDAC의 농도에 따라 목재에 들어가는 약제의 침투력를 저해할 것으로 보고 이것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고 싶습니다. 참고로 농도가 다른 DDAC를 사용하여 제조한 약제로 목재에 처리한 결과 침투력에 큰 차이가 없었습니다.
그리고 시험을 할 때마다 그 결과에 균일성이 없구요.
지금은 자료를 찾아보고 있으나 막막하네요.
- ACQ II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2010-01-14- 0
>조금 포괄적인데요. 목재보존재 중 ACQ II에 들어가는 Didecyl Dimethyl Ammonium Chloride (DDAC)를 분석하는 방법을 알고 싶습니다. > >제품에 문제가 발생되어 그 요인으로 DDAC로 보고 있었습니다. >가설로 제조시 사용되는 DDAC의 농도에 따라 목재에 들어가는 약제의 침투력를 저해할 것으로 보고 이것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고 싶습니다. 참고로 농도가 다른 DDAC를 사용하여 제조한 약제로 목재에 처리한 결과 침투력에 큰 차이가 없었습니다. >그리고 시험을 할 때마다 그 결과에 균일성이 없구요. >지금은 자료를 찾아보고 있으나 막막하네요. GC, GC/MS 또는 MALDI-TOF mass spectrometry로 사용해서 확인할 수 있을거 같네요. 특히 GC, GC/MS는 정량분석도 가능할 거 같습니다. 링크하는 URL을 확인해보세요.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2010-02-02- 0
>조금 포괄적인데요. 목재보존재 중 ACQ II에 들어가는 Didecyl Dimethyl Ammonium Chloride (DDAC)를 분석하는 방법을 알고 싶습니다. > >제품에 문제가 발생되어 그 요인으로 DDAC로 보고 있었습니다. >가설로 제조시 사용되는 DDAC의 농도에 따라 목재에 들어가는 약제의 침투력를 저해할 것으로 보고 이것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고 싶습니다. 참고로 농도가 다른 DDAC를 사용하여 제조한 약제로 목재에 처리한 결과 침투력에 큰 차이가 없었습니다. >그리고 시험을 할 때마다 그 결과에 균일성이 없구요. >지금은 자료를 찾아보고 있으나 막막하네요. 첨부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