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9-15
org.kosen.entty.User@4a68fe22
문진수(mjs80)
- 1
어떤 물질의 종류와 모양, 두께 등을 결정하고 나서,
빛(전자기파)이 투과하고 난뒤의 흡수나 투과 관련 시뮬레이션을 하고 싶은데,
어떤 프로그램을 사용해야 할까요??
- 시뮬레이션
- 광
- 빛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이응신님의 답변
2009-09-15- 3
해당 분야에는 관련 시뮬레이션 프로그램들이 있습니다. 이런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찾아야 시간 낭비를 막을 수 있고 나중에 학회에서 발표할 때 참가자들이 공연한 시비(?)를 걸지 않습니다. 만약 잘 알려진 프로그램이 없다면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찾으면 됩니다. 현재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FEM 프로그램으로 ANSYS나 NASTRAN이 있습니다. 예전에는 주로 구조역학 해석 프로그램으로 시작했으나 요즈음은 전자기학 해석에서도 관련 패키지들이 나와있어 별 무리없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아니면... MATLAB에서 발전한 COMSOL사의 Multiphysics를 권하고 싶습니다. 기본 프로그램과 패키지들이 있는데... 전자기 관련 패키지의 기능이 매우 뛰어납니다. 패키지를 살펴보면 물성에 따른 데이터베이스들이 풍부해서 좋고... 관련 예제가 많습니다. 정식 프로그램을 구입하면 (잘 모르겠지만... 요즈음 한국 돈으로 대략 5백만원 정도?) 관련 최근 예제나 학회 해석 프로그램들이 분기별로 배달해 줍니다. 프로그램 판매처에서는 교육까지 하고 있는데 프로그램 구입비에 포함되어 있는 듯 합니다. Multiphysics는 다른 FEM 프로그램과 달리 여러 물리 현상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현상의 해석에 뛰어납니다. 전자기파 관련 현상과 함께 열현상도 동시에 작용하는 물질의 변화를 해석합니다. 프로그램에서 주장하는 바에 따르면 한 물질에 7가지의 물리현상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문제도 해결한다고 합니다. 최근 동향을 보면 관심이 높은 솔라셀의 해석문제도 많이 다루고 있는 듯 합니다. 데이터 베이스가 풍부한 프로그램을 선택하고... 최근 학회에서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프로그램을 선택하면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습니다. 실제로 시뮬레이션을 해보면 어떻게 구성해야 하는 지 갑갑한데 다른 사람들이 해놓은 것을 보고 약간의 수정을 가하면 쉽고, 특히 물리 현상을 해석하는데 편미분방정식을 찾았다고 해도 물성을 대입하는 수치를 찾기가 매우 어려우므로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고 있는 시뮬레이션이 좋습니다. >어떤 물질의 종류와 모양, 두께 등을 결정하고 나서, > >빛(전자기파)이 투과하고 난뒤의 흡수나 투과 관련 시뮬레이션을 하고 싶은데, > >어떤 프로그램을 사용해야 할까요??
완전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