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9-15
org.kosen.entty.User@49a97097
이미진(myjc7)
- 3
GC/MS 분석시에 methylated derivative 라는 의미가 무엇을 뜻하는지 모르겠습니다.
분자에서 -OH 기가 붙어있는데 H를 받아서 물로 치환되면서 떨어지고 CH3로 치환된 compound가 검출된다고 논문에서 읽었는데, 유도체화를 어떤방법으로 시켜야 이런 결과가 나오는지 모르겠습니다.
답변부탁드릴계요^^
- methylated derivative
- GC/MS 분석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3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2009-09-15- 0
>GC/MS 분석시에 methylated derivative 라는 의미가 무엇을 뜻하는지 모르겠습니다. > >분자에서 -OH 기가 붙어있는데 H를 받아서 물로 치환되면서 떨어지고 CH3로 치환된 compound가 검출된다고 논문에서 읽었는데, 유도체화를 어떤방법으로 시켜야 이런 결과가 나오는지 모르겠습니다. > >답변부탁드릴계요^^ Methylation이라는 유기합성법이 있습니다. 즉, hydroxyl group(-OH)을 가지고 있는 분석 물질을 NaOH in water 또는 NaOH-DMSO같은 solution에 녹인 후, 실온에서 약 1-3시간 정도 후에, CH3I같은 물질을 첨가해 주고 약 1시간 정도 실온에서 간헐적인 vortexing과 함께 유지시켜 준 후에, 클로로포름같은 유기용매를 첨가해 주고 분획시킨 후에 acetic acid같은 산으로 추출을 해주는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이렇게 되면 linkage에 관여된 -OH group을 제외한 free OH groups이 methyl group으로 치환되게 됩니다. 이런 유도체를 methyl derivatives라 합니다. -
답변
조윤환님의 답변
2009-09-15- 0
GC/MS 분석은 물질의 휘발성에 따라 분석의 성공 여부가 결정됩니다. GC 분석 자체가 물질을 기체 상태로 기화시켜서 분석하는 기법이기 때문입니다. -OH 기 처럼 극성이 높은 기능단을 가지고 있는 분자의 경우 수소결합 때문에 상대적으로 휘발성이 낮습니다. 많으면 많을수록 더 그렇죠. 때문에 이런 물질을 GC로 분석하기 위해선 -OH 기를 극성이 낮은 기능단으로 전환시켜 주어야 휘발성이 증가해서 분석이 가능해집니다. 이런 과정을 유도체화 과정이라고 합니다. -OH 기의 경우 -OMe로 전환시키는 methylation 반응이 주로 유도체화에 사용됩니다. 이때 생성된 결과물을 methylated derivatives라고 하죠. 앞서 설명을 잘 해주셨는데, 일반적으로 MeI 보다는 diazomethane을 주로 사용합니다. 반응성이 높아 유도체화율이 매우 높고, 재현성도 좋기 때문입니다. 특히 극성 저분자 물질을 GC/MS로 분석할 때 많이 사용하죠. HPLC/MS와 함께 혈중 약물 농도 분석이나 대사물 분석에 사용되기도 합니다.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2010-02-01- 0
>GC/MS 분석시에 methylated derivative 라는 의미가 무엇을 뜻하는지 모르겠습니다. > >분자에서 -OH 기가 붙어있는데 H를 받아서 물로 치환되면서 떨어지고 CH3로 치환된 compound가 검출된다고 논문에서 읽었는데, 유도체화를 어떤방법으로 시켜야 이런 결과가 나오는지 모르겠습니다. > >답변부탁드릴계요^^ 첨부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