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tableting of particles

일반적으로 타정할 경우 정제가 나오는데요.. sugar sphere를 부형제랑 섞어서 타정 할 경우 압력을 일정하게 했을때 정제 내부의 sugar sphere가 damage를 받을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는데 그것은 부형제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요. 여기서 damage를 받았는지 안받았는지 측정 할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요? SEM을 이용한 관찰을 제외 하구요. 단 sugar sphere에는 약물이 loading 되지 않은 순수한 sugar sphere 입니다.
  • tableting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김범수님의 답변

    >일반적으로 타정할 경우 정제가 나오는데요.. > >sugar sphere를 부형제랑 섞어서 타정 할 경우 압력을 일정하게 했을때 > >정제 내부의 sugar sphere가 damage를 받을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는데 그것은 > >부형제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요. > >여기서 damage를 받았는지 안받았는지 측정 할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요? 아마도 타정 후에 절단하여 확인하는 방법 이외는 없을 듯 싶습니다. 절단면을 관찰하시면 확인 가능할 것 같은데요. > >SEM을 이용한 관찰을 제외 하구요. > >단 sugar sphere에는 약물이 loading 되지 않은 순수한 sugar sphere 입니다.
    >일반적으로 타정할 경우 정제가 나오는데요.. > >sugar sphere를 부형제랑 섞어서 타정 할 경우 압력을 일정하게 했을때 > >정제 내부의 sugar sphere가 damage를 받을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는데 그것은 > >부형제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요. > >여기서 damage를 받았는지 안받았는지 측정 할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요? 아마도 타정 후에 절단하여 확인하는 방법 이외는 없을 듯 싶습니다. 절단면을 관찰하시면 확인 가능할 것 같은데요. > >SEM을 이용한 관찰을 제외 하구요. > >단 sugar sphere에는 약물이 loading 되지 않은 순수한 sugar sphere 입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