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10-01
org.kosen.entty.User@5cebd562
임채진(kwcl)
- 1
안녕하세요~~
치료용 단백질을 사용한 치료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최근 이의 PK 분석 시 anti-drug Ab 생성에 의해 PK profile의 변화가 의심스러운 상황입니다. 하지만 ADA가 저희 단백질의 활성에는 거의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옵니다..
그래서 이를 입증해 다량의 ADA가 생성된 개체를 PK 결과 도입에 제외시키기 위한 guide line을 잡아야하는데요.
이를 위해 ELISA로 ADA 생성양을 확인하려 준비중인데, ADA의 양을 titer로 결정할 시 titer의 결정 기준(예를 들어 blank대비 OD 얼마 이상)을 어떻게 정해야하는지 난해합니다.
이러한 기준에 대한 설명 부탁드립니다.
추석 연휴 잘 보내시고요... 감사합니다^^
- 치료용 단백질
- anti-drug Ab
- ELISA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강정원님의 답변
2009-10-26- 0
보통은 ADA의 경우 독성시험에서 on/off의 개념으로 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blank의 값은 주로 약을 투여하지 않는 많은 수의 동물의 serum을 측정한 후 그 데이터를 blank로 잡아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계산식이 있습니다만.. 기억이 나지 않네요..ㅡ.ㅡ; 그런데 궁금한게 있는데 보통 치료용 단백질 PK 시험때는 한번 투여하고 프로파일을 볼텐데.. 그렇다면 ADA가 생기지 않겠죠.. .? 만약 한번만 투여했는데도 ADA가 생긴다면 문제가 심각하죠... 혹시 반복투여 PK 시험을 하신다면.. ADA가 생기지 않을 정도로 투여횟수를 줄이시거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또한, 단회 PK 반복시험시 PK 데이터가 흔들린다면.. ADA가 아닌 다른 곳에 원인이 있을 것 같습니다.(제형 등등..) >안녕하세요~~ >치료용 단백질을 사용한 치료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 >최근 이의 PK 분석 시 anti-drug Ab 생성에 의해 PK profile의 변화가 의심스러운 상황입니다. 하지만 ADA가 저희 단백질의 활성에는 거의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옵니다.. >그래서 이를 입증해 다량의 ADA가 생성된 개체를 PK 결과 도입에 제외시키기 위한 guide line을 잡아야하는데요. >이를 위해 ELISA로 ADA 생성양을 확인하려 준비중인데, ADA의 양을 titer로 결정할 시 titer의 결정 기준(예를 들어 blank대비 OD 얼마 이상)을 어떻게 정해야하는지 난해합니다. >이러한 기준에 대한 설명 부탁드립니다. > >추석 연휴 잘 보내시고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