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derivative

>분자량 표기 오류로 인하여 다시 올립니다. >GC/MS 분석을 통하여 얻은 물질의 분자식(또는 구조식: 구조는 생략하겠습니다.)이 각 각 C12Br4O2H6, C12Br4O3H6 였고, 이때 이 분자이온의 m/z값이 각각 512, 542이었습 니다. 이또한 methylation 반응이나 ethylation 반응 때문인가요? (분자식과 분자량의 값이 맞지가 않습니다. 에틸기나 메틸기를 더한것 만큼의 분자량인듯요..??)
  • derivative
  • methylation
  • ethylation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분자량 표기 오류로 인하여 다시 올립니다. > >>GC/MS 분석을 통하여 얻은 물질의 분자식(또는 구조식: 구조는 생략하겠습니다.)이 각 > 각 C12Br4O2H6, C12Br4O3H6 였고, 이때 이 분자이온의 m/z값이 각각 512, 542이었습 > 니다. 이또한 methylation 반응이나 ethylation 반응 때문인가요? >(분자식과 분자량의 값이 맞지가 않습니다. 에틸기나 메틸기를 더한것 만큼의 분자량인듯요..??) 실험식만으로는 methylation이나 ethylation의 유무를 추정하기는 좀 어려우나, 대개 alcolysis가 일어나기 위해서는 분자 구조내에 hydroxyl group, 즉 -OH group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위의 실험식으로 보아 -OH group을 유추해 볼 수 있습니다. 위의 실험식의 formular weight를 계산해 보니 각각 428과 444 정도인거 같군요. Methylation이 일어날 경우에 이론적으로 계산하면 각각 [M+2H]+와 [M+H]+로 유추됩니다. GC/MS로 분석한다는 것은 derivatization 이 수행되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정확하게 계산하기 위해서는 실험자 본인이 methylation이나 ethylation을 수행하였는지 실험 protocol을 검토해 보는게 제일 빠른 해결책인거 같습니다.
    >>분자량 표기 오류로 인하여 다시 올립니다. > >>GC/MS 분석을 통하여 얻은 물질의 분자식(또는 구조식: 구조는 생략하겠습니다.)이 각 > 각 C12Br4O2H6, C12Br4O3H6 였고, 이때 이 분자이온의 m/z값이 각각 512, 542이었습 > 니다. 이또한 methylation 반응이나 ethylation 반응 때문인가요? >(분자식과 분자량의 값이 맞지가 않습니다. 에틸기나 메틸기를 더한것 만큼의 분자량인듯요..??) 실험식만으로는 methylation이나 ethylation의 유무를 추정하기는 좀 어려우나, 대개 alcolysis가 일어나기 위해서는 분자 구조내에 hydroxyl group, 즉 -OH group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위의 실험식으로 보아 -OH group을 유추해 볼 수 있습니다. 위의 실험식의 formular weight를 계산해 보니 각각 428과 444 정도인거 같군요. Methylation이 일어날 경우에 이론적으로 계산하면 각각 [M+2H]+와 [M+H]+로 유추됩니다. GC/MS로 분석한다는 것은 derivatization 이 수행되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정확하게 계산하기 위해서는 실험자 본인이 methylation이나 ethylation을 수행하였는지 실험 protocol을 검토해 보는게 제일 빠른 해결책인거 같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분자량 표기 오류로 인하여 다시 올립니다. > >>GC/MS 분석을 통하여 얻은 물질의 분자식(또는 구조식: 구조는 생략하겠습니다.)이 각 > 각 C12Br4O2H6, C12Br4O3H6 였고, 이때 이 분자이온의 m/z값이 각각 512, 542이었습 > 니다. 이또한 methylation 반응이나 ethylation 반응 때문인가요? >(분자식과 분자량의 값이 맞지가 않습니다. 에틸기나 메틸기를 더한것 만큼의 분자량인듯요..??) 어떤 물질에서 시작하였는지를 검토하여야 가능하며, 가수분해에 의하여 H가 덜어져 나오기 때문에 차이가 났다고 할 수 있습니다.
    >>분자량 표기 오류로 인하여 다시 올립니다. > >>GC/MS 분석을 통하여 얻은 물질의 분자식(또는 구조식: 구조는 생략하겠습니다.)이 각 > 각 C12Br4O2H6, C12Br4O3H6 였고, 이때 이 분자이온의 m/z값이 각각 512, 542이었습 > 니다. 이또한 methylation 반응이나 ethylation 반응 때문인가요? >(분자식과 분자량의 값이 맞지가 않습니다. 에틸기나 메틸기를 더한것 만큼의 분자량인듯요..??) 어떤 물질에서 시작하였는지를 검토하여야 가능하며, 가수분해에 의하여 H가 덜어져 나오기 때문에 차이가 났다고 할 수 있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