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phosphorus 분석가능한 장비명과 보유하고 있는 곳을 알려주세요

공정중에 발생한 화합물입니다. 화합물의 특성은 휘발성이 강하고 액체상태로 되어있으며, 아마 실리콘에 phosphorus가 달려있을거고 양은 ppb 수준 입니다.(GC/MS로 잘 안나오는것 같습니다.) 이러한 화합물을 분석하여 무엇인지 알아볼 수 있는 장비가 있으면 소개 부탁드립니다. 이러한 화합물을 분석할 수 있는 곳도 알려주세요.
  • phosphorus
  • silicon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4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공정중에 발생한 화합물입니다. >화합물의 특성은 휘발성이 강하고 액체상태로 되어있으며, 아마 실리콘에 phosphorus가 달려있을거고 양은 ppb 수준 입니다.(GC/MS로 잘 안나오는것 같습니다.) > 이러한 화합물을 분석하여 무엇인지 알아볼 수 있는 장비가 있으면 소개 부탁드립니다. >이러한 화합물을 분석할 수 있는 곳도 알려주세요. ppb수준일 경우, inductively coupled plasma mass spectrometry (ICP-MS)나 ICP-Atomic Emission Spectrometer로 분석이 가능합니다. 기존 mass spectrometry와 마찬가지로 calibration curve를 얻은 후에 시료의 전처리후에 정량 분석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사용 가능한 대표적인 사이트 - kiki.snu.ac.kr 또는 www.kbsi.re.kr 그 외 각 지역 공동장비 운영 사이트를 참고해 보세요.
    >공정중에 발생한 화합물입니다. >화합물의 특성은 휘발성이 강하고 액체상태로 되어있으며, 아마 실리콘에 phosphorus가 달려있을거고 양은 ppb 수준 입니다.(GC/MS로 잘 안나오는것 같습니다.) > 이러한 화합물을 분석하여 무엇인지 알아볼 수 있는 장비가 있으면 소개 부탁드립니다. >이러한 화합물을 분석할 수 있는 곳도 알려주세요. ppb수준일 경우, inductively coupled plasma mass spectrometry (ICP-MS)나 ICP-Atomic Emission Spectrometer로 분석이 가능합니다. 기존 mass spectrometry와 마찬가지로 calibration curve를 얻은 후에 시료의 전처리후에 정량 분석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사용 가능한 대표적인 사이트 - kiki.snu.ac.kr 또는 www.kbsi.re.kr 그 외 각 지역 공동장비 운영 사이트를 참고해 보세요.
    최규석(seed77) 2009-10-08

    ICP를 전처리 없이 할 수 있나요?? 저거 b.p가 30도 정도인데요..

  • 답변

    안상범님의 답변

    >공정중에 발생한 화합물입니다. >화합물의 특성은 휘발성이 강하고 액체상태로 되어있으며, 아마 실리콘에 phosphorus가 달려있을거고 양은 ppb 수준 입니다.(GC/MS로 잘 안나오는것 같습니다.) > 이러한 화합물을 분석하여 무엇인지 알아볼 수 있는 장비가 있으면 소개 부탁드립니다. >이러한 화합물을 분석할 수 있는 곳도 알려주세요. 예전의 저의 경우에는 공정중 발생한 화합물을 Py-GC/MS (열분해 가스크로마토 그래피 질량분석기)를 사용해서 원인물질을 찾곤 했습니다. http://www.jaikorea.co.kr에 문의하시길 바랍니다.
    >공정중에 발생한 화합물입니다. >화합물의 특성은 휘발성이 강하고 액체상태로 되어있으며, 아마 실리콘에 phosphorus가 달려있을거고 양은 ppb 수준 입니다.(GC/MS로 잘 안나오는것 같습니다.) > 이러한 화합물을 분석하여 무엇인지 알아볼 수 있는 장비가 있으면 소개 부탁드립니다. >이러한 화합물을 분석할 수 있는 곳도 알려주세요. 예전의 저의 경우에는 공정중 발생한 화합물을 Py-GC/MS (열분해 가스크로마토 그래피 질량분석기)를 사용해서 원인물질을 찾곤 했습니다. http://www.jaikorea.co.kr에 문의하시길 바랍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박준건님의 답변

    >공정중에 발생한 화합물입니다. >화합물의 특성은 휘발성이 강하고 액체상태로 되어있으며, 아마 실리콘에 phosphorus가 달려있을거고 양은 ppb 수준 입니다.(GC/MS로 잘 안나오는것 같습니다.) > 이러한 화합물을 분석하여 무엇인지 알아볼 수 있는 장비가 있으면 소개 부탁드립니다. >이러한 화합물을 분석할 수 있는 곳도 알려주세요. 무기인의 형태라면 분광광도법으로도 간단히 비색 정량이 가능하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흔히 환경 시료 중에는 아스코르빈산 환원법을 사용하나 공정중 발생되는 물질에 대해서는 적용해 보지 않았습니다.
    >공정중에 발생한 화합물입니다. >화합물의 특성은 휘발성이 강하고 액체상태로 되어있으며, 아마 실리콘에 phosphorus가 달려있을거고 양은 ppb 수준 입니다.(GC/MS로 잘 안나오는것 같습니다.) > 이러한 화합물을 분석하여 무엇인지 알아볼 수 있는 장비가 있으면 소개 부탁드립니다. >이러한 화합물을 분석할 수 있는 곳도 알려주세요. 무기인의 형태라면 분광광도법으로도 간단히 비색 정량이 가능하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흔히 환경 시료 중에는 아스코르빈산 환원법을 사용하나 공정중 발생되는 물질에 대해서는 적용해 보지 않았습니다.
    최규석(seed77) 2009-10-08

    ppb 인데 분광광도계 어떤걸로 가능한지요??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공정중에 발생한 화합물입니다. >화합물의 특성은 휘발성이 강하고 액체상태로 되어있으며, 아마 실리콘에 phosphorus가 달려있을거고 양은 ppb 수준 입니다.(GC/MS로 잘 안나오는것 같습니다.) > 이러한 화합물을 분석하여 무엇인지 알아볼 수 있는 장비가 있으면 소개 부탁드립니다. >이러한 화합물을 분석할 수 있는 곳도 알려주세요. 기초과학연구소에서 가능합니다. 첨부자료 참고
    >공정중에 발생한 화합물입니다. >화합물의 특성은 휘발성이 강하고 액체상태로 되어있으며, 아마 실리콘에 phosphorus가 달려있을거고 양은 ppb 수준 입니다.(GC/MS로 잘 안나오는것 같습니다.) > 이러한 화합물을 분석하여 무엇인지 알아볼 수 있는 장비가 있으면 소개 부탁드립니다. >이러한 화합물을 분석할 수 있는 곳도 알려주세요. 기초과학연구소에서 가능합니다. 첨부자료 참고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