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메탈피시비 내전압

반갑습니다. 메탈피시비에서 중요한사항중 내전압이 있는데 이를 ac와dc내전압으로 구분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내전이 각각 얼마가 표준으로 규정되어 있는지요 물론 두께에 따른 사양마다 다르지만 표준사양으로 문의 드립니다
  • 내전압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내전압을 고려할 때 AC와 DC와는 큰 차이가 없습니다. 첨부 자료를 보시면 참고가 될 것입니다.(내전압 6.5kV)
    내전압을 고려할 때 AC와 DC와는 큰 차이가 없습니다. 첨부 자료를 보시면 참고가 될 것입니다.(내전압 6.5kV)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반갑습니다. >메탈피시비에서 중요한사항중 내전압이 있는데 이를 ac와dc내전압으로 구분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내전이 각각 얼마가 표준으로 규정되어 있는지요 >물론 두께에 따른 사양마다 다르지만 표준사양으로 문의 드립니다 항복전압(breakdown voltage)은, 다이오드는 순방향일때는 전류가 흐르고, 역방향일때는 전류가 흐르지 않습니다. 하지만 역전압을 계속 올리면 어느순간에 갑자기 전류가 흐르게 되는데 이때 전압을 항복전압이라 합니다. 순방향 바이어스 상태에서 인가 전압이 장벽전압(실리콘의 경우 0.7V)보다 낮을 때는 전류가 거의 흐르지 않는다. 그러나 순방향 전압이 장벽전압 Vt에 도달하면 전류가 흐르기 시작하여 그 이상으로 증가하면 전류는 급격하게 증가합니다. 역방향 바이어스 상태에서는 전류가 거의 흐르지 않고 매우 작은 역방향 누설 전류만 흐릅니다.(항복현상) 이때의 전압을 항복전압(breakdown voltage). 이 때 전류를 제한하지 않으면 다이오드는 타버리므로 이 전압이 다이오드로서 사용할 수 있는 한계가 됩니다. 불순물의 농도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으므로 항복전압은 다이오드의 종류에 따라 10V~1000V 정도까지 다양하게 변화합니다. 반도체에서 역방향으로 전압을 걸면 아주 미미한 전류만 흐릅니다. 이전류는 흔히 누설전류(Leakage Current)라 하죠. 이상태에서 전압을 점점 올려주면 어느순간에 전류가 급격히 흐르는 지점이 발생합니다. 이때전압을 항복전압이라 합니다. 이러한 항복현상을 일으키는 요인은 2가지입니다. 하나는 애버런치효과이과 또하나는 제너효과(또는 터널효과)라 하는데 애버런치 효과는 흔히 전자사태라고 하여 눈사태로 비유합니다 즉 역전압을 높이면 PN접합의 공핍층은 점점 넓어지는데. 이때 서로 상태편에 있는 몇몇 전자,정공이 넘어오면서 주변에 있는 전자,정공을 같이 붙들어 넘어오는 현상이죠. 눈사태에서 굴러오는 눈이 주변의 눈과 같이 뭉쳐 커지는 것으로 생각하면 됩니다.
    >반갑습니다. >메탈피시비에서 중요한사항중 내전압이 있는데 이를 ac와dc내전압으로 구분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내전이 각각 얼마가 표준으로 규정되어 있는지요 >물론 두께에 따른 사양마다 다르지만 표준사양으로 문의 드립니다 항복전압(breakdown voltage)은, 다이오드는 순방향일때는 전류가 흐르고, 역방향일때는 전류가 흐르지 않습니다. 하지만 역전압을 계속 올리면 어느순간에 갑자기 전류가 흐르게 되는데 이때 전압을 항복전압이라 합니다. 순방향 바이어스 상태에서 인가 전압이 장벽전압(실리콘의 경우 0.7V)보다 낮을 때는 전류가 거의 흐르지 않는다. 그러나 순방향 전압이 장벽전압 Vt에 도달하면 전류가 흐르기 시작하여 그 이상으로 증가하면 전류는 급격하게 증가합니다. 역방향 바이어스 상태에서는 전류가 거의 흐르지 않고 매우 작은 역방향 누설 전류만 흐릅니다.(항복현상) 이때의 전압을 항복전압(breakdown voltage). 이 때 전류를 제한하지 않으면 다이오드는 타버리므로 이 전압이 다이오드로서 사용할 수 있는 한계가 됩니다. 불순물의 농도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으므로 항복전압은 다이오드의 종류에 따라 10V~1000V 정도까지 다양하게 변화합니다. 반도체에서 역방향으로 전압을 걸면 아주 미미한 전류만 흐릅니다. 이전류는 흔히 누설전류(Leakage Current)라 하죠. 이상태에서 전압을 점점 올려주면 어느순간에 전류가 급격히 흐르는 지점이 발생합니다. 이때전압을 항복전압이라 합니다. 이러한 항복현상을 일으키는 요인은 2가지입니다. 하나는 애버런치효과이과 또하나는 제너효과(또는 터널효과)라 하는데 애버런치 효과는 흔히 전자사태라고 하여 눈사태로 비유합니다 즉 역전압을 높이면 PN접합의 공핍층은 점점 넓어지는데. 이때 서로 상태편에 있는 몇몇 전자,정공이 넘어오면서 주변에 있는 전자,정공을 같이 붙들어 넘어오는 현상이죠. 눈사태에서 굴러오는 눈이 주변의 눈과 같이 뭉쳐 커지는 것으로 생각하면 됩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