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FACS

FACS로 세포 표면의 protein과 세포 안의 protein을 어떻게 구별하죠? 논문 보니까 세포를 not fixed' 한다고 하는데 무슨뜻인가요 ㅠ
  • FACS
  • protein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장성재님의 답변

    살아있는 세포의 경우 FACS analysis에서 주로 사용하는 항체를 이용한 표식법을 사용할 때 항체가 세포막을 통과하지 못하므로, 세포의 외부, 즉, 세포 표면의 단백질만을 항체에 의해서 표식할 수 있습니다. 이와 달리 세포를 paraformaldehyde를 이용하여 고정화 (fixation)한 후 permeabilization 처리를 한 경우에는 항체가 세포 내부로 자유롭게 유입할 수 있기 때문에 세포 내부의 표적 항원에도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으며, 형광 표식된 2nd 항체에 의해 가시화 할 수 있습니다. 논문에 나온 "not fixed"라는 말은 살아있는 세포를 사용한다는 의미입니다. >FACS로 세포 표면의 protein과 세포 안의 protein을 어떻게 구별하죠? >논문 보니까 세포를 not fixed' 한다고 하는데 무슨뜻인가요 ㅠ
    살아있는 세포의 경우 FACS analysis에서 주로 사용하는 항체를 이용한 표식법을 사용할 때 항체가 세포막을 통과하지 못하므로, 세포의 외부, 즉, 세포 표면의 단백질만을 항체에 의해서 표식할 수 있습니다. 이와 달리 세포를 paraformaldehyde를 이용하여 고정화 (fixation)한 후 permeabilization 처리를 한 경우에는 항체가 세포 내부로 자유롭게 유입할 수 있기 때문에 세포 내부의 표적 항원에도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으며, 형광 표식된 2nd 항체에 의해 가시화 할 수 있습니다. 논문에 나온 "not fixed"라는 말은 살아있는 세포를 사용한다는 의미입니다. >FACS로 세포 표면의 protein과 세포 안의 protein을 어떻게 구별하죠? >논문 보니까 세포를 not fixed' 한다고 하는데 무슨뜻인가요 ㅠ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신동욱님의 답변

    >FACS로 세포 표면의 protein과 세포 안의 protein을 어떻게 구별하죠? >논문 보니까 세포를 not fixed' 한다고 하는데 무슨뜻인가요 ㅠ FACS로 세포 표면의 protein을 Ab를 이용하여 보통은 detection/cell sorting을 합니다. 이럴 경우에는 not fixed (즉, EtOH/paraformaldehyde 같은 것으로 fix하지 않은, 살아있는 세포) 방법으로 합니다만, 세포 내부의 경우에는 fix를 해야 합니다.
    >FACS로 세포 표면의 protein과 세포 안의 protein을 어떻게 구별하죠? >논문 보니까 세포를 not fixed' 한다고 하는데 무슨뜻인가요 ㅠ FACS로 세포 표면의 protein을 Ab를 이용하여 보통은 detection/cell sorting을 합니다. 이럴 경우에는 not fixed (즉, EtOH/paraformaldehyde 같은 것으로 fix하지 않은, 살아있는 세포) 방법으로 합니다만, 세포 내부의 경우에는 fix를 해야 합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