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학위논문중 2D NMR이용한 논문 자료 있으면 부탁드립니다.

석사든 박사든 학위논문중 2D NMR이용한 논문 자료 있으면 부탁드립니다. (영문말고요) 2D NMR을 논문 내용에 추가할려고 하는데 어떤 내용을 기록하면 되는지 좀 참고 하고 싶습니다. 인터넷 자료도 좋습니다.
  • 2D
  • NMR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채성욱님의 답변

    >석사든 박사든 학위논문중 2D NMR이용한 논문 자료 있으면 부탁드립니다. (영문말고요) > >2D NMR을 논문 내용에 추가할려고 하는데 어떤 내용을 기록하면 되는지 좀 참고 하고 싶습니다. 인터넷 자료도 좋습니다. 2D NMR을 이용한 논문은 국내도서관에서 검색을 하시면 많습니다. 주로 약대에서 많은 연구를 합니다. 일반적인 화학구조를 규명하는데 있어서 1D NMR (1H, 13C)로 미지의 화합물의 기본 골격을 확인하고 2D NMR을 이용해서 부분구조를 얻습니다. 이렇게 얻은 부분구조를 연결시켜 최종 화합물의 구조를 알게 됩니다. 즉, 기본골격 (1H, 13C) -> 부분구조 (1H-1H COSY, HMQC) -> 부분구조의 연결 (HMBC) -> 입체화학 결정(NOESY)의 순으로 화합물의 구조를 결정하게됩니다. 2D NMR은 1H, 13C 이외의 COSY, HMQC, HMBC, NOESY를 의미합니다.
    >석사든 박사든 학위논문중 2D NMR이용한 논문 자료 있으면 부탁드립니다. (영문말고요) > >2D NMR을 논문 내용에 추가할려고 하는데 어떤 내용을 기록하면 되는지 좀 참고 하고 싶습니다. 인터넷 자료도 좋습니다. 2D NMR을 이용한 논문은 국내도서관에서 검색을 하시면 많습니다. 주로 약대에서 많은 연구를 합니다. 일반적인 화학구조를 규명하는데 있어서 1D NMR (1H, 13C)로 미지의 화합물의 기본 골격을 확인하고 2D NMR을 이용해서 부분구조를 얻습니다. 이렇게 얻은 부분구조를 연결시켜 최종 화합물의 구조를 알게 됩니다. 즉, 기본골격 (1H, 13C) -> 부분구조 (1H-1H COSY, HMQC) -> 부분구조의 연결 (HMBC) -> 입체화학 결정(NOESY)의 순으로 화합물의 구조를 결정하게됩니다. 2D NMR은 1H, 13C 이외의 COSY, HMQC, HMBC, NOESY를 의미합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