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계면활성제에 관해 질문드립니다.

기름(중유)에 물을 섞으려고 하는데요. 계면활성제를 어떤걸 써야하나요?? 그리고, 미셀의 크기는 어떻게 하면 조절 할 수 있습니까?? 기름과 물 혼합에 관해 간단한 설명이나 참고 할만한 자료 부탁드립니다^^
  • 계면활성제
  • 유화유
  • 미셀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4
  • 답변

    김범수님의 답변

    >기름(중유)에 물을 섞으려고 하는데요. > >계면활성제를 어떤걸 써야하나요?? > >그리고, 미셀의 크기는 어떻게 하면 조절 할 수 있습니까?? > >기름과 물 혼합에 관해 간단한 설명이나 참고 할만한 자료 부탁드립니다^^ 1) Anionic surfactant (음이온 계면활성제) 물에 용해되었을 때 해리되어 음이온이 계면활성을 나타내는 것. 주로 세제로 사용. -비누 (고급지방산염) 수중에서 지방산 이온과 금속이온으로 해리되어 지방산 이온이 계면활성을 나타냄. RCOOM -> RCOO- + M+ -알콜황산 에스테르염 ROSO3Na -> ROSO3- + Na+ -알킬/알킬 아릴술폰산염 R-C6H4-SO3Na -> R-C6H4-SO3- + Na+ 2) Cationic surfactant (양이온 계면활성제) 물에서 해리되어 양이온이 계면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양이온 계면활성제. 주로 섬유유연제로 사용. - 아민염 R3NHX -> R3NH+ + X- - 4차 암모늄염 (가장 많이 사용됨) (NR4)X -> (NR4)+ + X- 3) Amphoteric surfactant (양성이온 계면활성제) 친수기가 양이온과 음이온으로 해리되는 부분을 가지고 있어서 알칼리성 용액에서는 음이온으로, 산성용액에서는 양이온으로 작용한다. 값이 비싸서 세제로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4) Nonionic surfactant (비이온 계면활성제) 수산기(-OH), 에테르(-O-)와 같은 해리되지 않는 약한 친수기를 가지고 있다. - 알콜/알킬페놀 폴리옥시에틸린 에테르 고급알콜 또는 알킬페놀에 옥시에틸렌을 부가시킨 것으로 부가된 옥시에틸렌의 몰수에 따라 계면활성제의 친수성을 조절할 수 있다. 세제의 원료로 중요하며 세척력과 생분해성이 뛰어나 점차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2. 구조에 의한 분류 친수성기와 소수성기로 분류 1) 소수성 Alkyl- Alkyl-Aryl Alkyl-heterocyclic R- 2) 친수성기 유형별 분류 -COONa -SO3Na -O-SO3Na -SO3H -OH -O- -NH2 -CONH2 -COOR -Cl(-X) -CH=CH- >CO -SH -CN -SCN -NO2 >NH -COOH -OSO3H -OPO(OH)2 emulsifier의 정의 유화제의 종류 계면활성제의 종류 및 특성 구조에 의한 분류 음이온 계면활성제 CMC
    >기름(중유)에 물을 섞으려고 하는데요. > >계면활성제를 어떤걸 써야하나요?? > >그리고, 미셀의 크기는 어떻게 하면 조절 할 수 있습니까?? > >기름과 물 혼합에 관해 간단한 설명이나 참고 할만한 자료 부탁드립니다^^ 1) Anionic surfactant (음이온 계면활성제) 물에 용해되었을 때 해리되어 음이온이 계면활성을 나타내는 것. 주로 세제로 사용. -비누 (고급지방산염) 수중에서 지방산 이온과 금속이온으로 해리되어 지방산 이온이 계면활성을 나타냄. RCOOM -> RCOO- + M+ -알콜황산 에스테르염 ROSO3Na -> ROSO3- + Na+ -알킬/알킬 아릴술폰산염 R-C6H4-SO3Na -> R-C6H4-SO3- + Na+ 2) Cationic surfactant (양이온 계면활성제) 물에서 해리되어 양이온이 계면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양이온 계면활성제. 주로 섬유유연제로 사용. - 아민염 R3NHX -> R3NH+ + X- - 4차 암모늄염 (가장 많이 사용됨) (NR4)X -> (NR4)+ + X- 3) Amphoteric surfactant (양성이온 계면활성제) 친수기가 양이온과 음이온으로 해리되는 부분을 가지고 있어서 알칼리성 용액에서는 음이온으로, 산성용액에서는 양이온으로 작용한다. 값이 비싸서 세제로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4) Nonionic surfactant (비이온 계면활성제) 수산기(-OH), 에테르(-O-)와 같은 해리되지 않는 약한 친수기를 가지고 있다. - 알콜/알킬페놀 폴리옥시에틸린 에테르 고급알콜 또는 알킬페놀에 옥시에틸렌을 부가시킨 것으로 부가된 옥시에틸렌의 몰수에 따라 계면활성제의 친수성을 조절할 수 있다. 세제의 원료로 중요하며 세척력과 생분해성이 뛰어나 점차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2. 구조에 의한 분류 친수성기와 소수성기로 분류 1) 소수성 Alkyl- Alkyl-Aryl Alkyl-heterocyclic R- 2) 친수성기 유형별 분류 -COONa -SO3Na -O-SO3Na -SO3H -OH -O- -NH2 -CONH2 -COOR -Cl(-X) -CH=CH- >CO -SH -CN -SCN -NO2 >NH -COOH -OSO3H -OPO(OH)2 emulsifier의 정의 유화제의 종류 계면활성제의 종류 및 특성 구조에 의한 분류 음이온 계면활성제 CMC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박세정님의 답변

    HLB가 3~6의 범위에 드는 계면활성제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tween, span이라는 이름의 시리즈들이 알드리치나 시그마에서 찾으면 나옵니다. 거기에서 보고 선택하시면 됩니다. 마이셀의 크기는 ch2의 길이에 의해 결정되니까 먼저 음이온 양이온 비이온 중에서 어떤 게면 활성제를 사용할것인가가 중요하구요 제가 위에 언급한 것은 비이온 계면 활성제입니다. 계면 활성제는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전기적 측정을 하지 않으실 꺼라면 가장 흔하게 쓰이는 라우스산 나트륨이나 도데실황산 나트륨(음이온 계면활성제)을 쓰시면 됩니다. 그러나 전기적 측정 하실꺼라면 비이온 쓰셔야 하는데 아마 span tween이 비이온계인 것으로 기억됩니다. 예전에 제가 석사때 보던 참고자료인데요 국윤환 저, 콜로이드와 계면활성제 대광서림 류동일 외 3명 저, 계면과학, 전남대학교 출판부 를 참조하셔도 될 것 같습니다. 기름(중유)에 물을 섞으려고 하는데요. > >계면활성제를 어떤걸 써야하나요?? > >그리고, 미셀의 크기는 어떻게 하면 조절 할 수 있습니까?? > >기름과 물 혼합에 관해 간단한 설명이나 참고 할만한 자료 부탁드립니다^^
    HLB가 3~6의 범위에 드는 계면활성제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tween, span이라는 이름의 시리즈들이 알드리치나 시그마에서 찾으면 나옵니다. 거기에서 보고 선택하시면 됩니다. 마이셀의 크기는 ch2의 길이에 의해 결정되니까 먼저 음이온 양이온 비이온 중에서 어떤 게면 활성제를 사용할것인가가 중요하구요 제가 위에 언급한 것은 비이온 계면 활성제입니다. 계면 활성제는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전기적 측정을 하지 않으실 꺼라면 가장 흔하게 쓰이는 라우스산 나트륨이나 도데실황산 나트륨(음이온 계면활성제)을 쓰시면 됩니다. 그러나 전기적 측정 하실꺼라면 비이온 쓰셔야 하는데 아마 span tween이 비이온계인 것으로 기억됩니다. 예전에 제가 석사때 보던 참고자료인데요 국윤환 저, 콜로이드와 계면활성제 대광서림 류동일 외 3명 저, 계면과학, 전남대학교 출판부 를 참조하셔도 될 것 같습니다. 기름(중유)에 물을 섞으려고 하는데요. > >계면활성제를 어떤걸 써야하나요?? > >그리고, 미셀의 크기는 어떻게 하면 조절 할 수 있습니까?? > >기름과 물 혼합에 관해 간단한 설명이나 참고 할만한 자료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기름(중유)에 물을 섞으려고 하는데요. > >계면활성제를 어떤걸 써야하나요?? > >그리고, 미셀의 크기는 어떻게 하면 조절 할 수 있습니까?? > >기름과 물 혼합에 관해 간단한 설명이나 참고 할만한 자료 부탁드립니다^^ 보통 일반적인 계면활성제중에 hydrocarbon chain을 가지고 있는 타입들의 경우는 효과가 있습니다. 특히, 불소계나 실리콘계 계면활성제류가 적은 CMC로도 효과가 있기 때문에 활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micelle size는 hydrocarbon chain의 종류별로 적용할 경우 크기 조절이 가능할 것입니다. 계면활성제 타입별 종류를 정리한 자료 첨부하니 참고하세요.
    >기름(중유)에 물을 섞으려고 하는데요. > >계면활성제를 어떤걸 써야하나요?? > >그리고, 미셀의 크기는 어떻게 하면 조절 할 수 있습니까?? > >기름과 물 혼합에 관해 간단한 설명이나 참고 할만한 자료 부탁드립니다^^ 보통 일반적인 계면활성제중에 hydrocarbon chain을 가지고 있는 타입들의 경우는 효과가 있습니다. 특히, 불소계나 실리콘계 계면활성제류가 적은 CMC로도 효과가 있기 때문에 활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micelle size는 hydrocarbon chain의 종류별로 적용할 경우 크기 조절이 가능할 것입니다. 계면활성제 타입별 종류를 정리한 자료 첨부하니 참고하세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첨부 자료 참고바랍니다.
    첨부 자료 참고바랍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