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10-29
org.kosen.entty.User@26d40912
이성준(bbaggum27)
- 1
apoptosis가 일어나서 미토콘드리아 투과성이 높아져도
JC-1의 미토콘드리아 내 축적이 증가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서 조언 부탁드립니다.
- jc-1
- mitochondria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장성재님의 답변
2009-10-29- 2
아시다시피 JC-1 (5,5',6,6'-tetrachloro-1,1',3,3'-tetraethylbenzimidazolcarbocyanine iodide )이란 물질은 lipophilic cationic molecules로써 정상적인 세포의 경우 ATP를 생산하는 미토콘드리아의 respiratory chain에 의해 발생하는 proton의 gradient에 의해 미토콘드리아의 inner membrane 부위의 negative electric potential에 의해 미토콘드리아 내부에 특이적으로 축적되어 원래의 green fluorescent (monomer 상태)가 red fluorescent (aggregates 상태)로 shift하게 됩니다. 하지만, apoptosis에 의해서 미토콘드리아 membrane potential이 역전될 경우 미토콘드리아 내부로의 JC-1의 축적은 감소하게되며, 위와 같은 green에서 red로의 fluorescence shift가 무너져버리게 되며, 이를 FACS를 이용하여 측정함으로써 apoptosis의 정도를 확인하는 것 입니다. 미토콘드리아 막의 투과성이라기 보다는 apoptosis에 의한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의 변화를 감지하는 방법을 이용한 apoptosis 측정법이라고 보시는 것이 좋겠죠. 참고 웹사이트: http://www.cyto.purdue.edu/flowcyt/research/cytotech/apopto/data/cossar1/cossariz.htm >apoptosis가 일어나서 미토콘드리아 투과성이 높아져도 >JC-1의 미토콘드리아 내 축적이 증가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서 조언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