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11-19
org.kosen.entty.User@4996c35b
김진희(kmi321)
- 1
Her2/neu나 muc-1같은 단백질이 혈중으로 secretion이 되는 형태의 단백질인데
이러한 secretion된 her2/neu, muc-1을 더 많이 얻기 위해서
transmembrane domain과 c-terminal부분을 deletion시켜 세포에 발현 시키려고 합니다
이때 원래 transmembrane에 붙어 있다 secretion되는 경우와 인위적으로 transmembrane을 제거 하여 extracellular domain만 발현 시켰을때 분비되는 단백질들이 같은구조나 기능을 갖는것인지 알고 싶습니다.
어떻게 알아 볼 수 있나요?
그리고 secretion이 잘 되도록 만든 사용화된 vector(invitrogen, pSecTag2 vector)에 her2/neu, muc-1을 cloning하하여 세포에 발현시켜 분비되는 단백질도
her2나 muc-1을 발현하는 암세포에서 분비 하는 muc-1, her2와 같은 단백질이 만들어 지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 Her2/neu
- muc-1
- 단백질 구조 기능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신동욱님의 답변
2010-01-09- 0
>Her2/neu나 muc-1같은 단백질이 혈중으로 secretion이 되는 형태의 단백질인데 >이러한 secretion된 her2/neu, muc-1을 더 많이 얻기 위해서 >transmembrane domain과 c-terminal부분을 deletion시켜 세포에 발현 시키려고 합니다 > >이때 원래 transmembrane에 붙어 있다 secretion되는 경우와 인위적으로 transmembrane을 제거 하여 extracellular domain만 발현 시켰을때 분비되는 단백질들이 같은구조나 기능을 갖는것인지 알고 싶습니다. >어떻게 알아 볼 수 있나요? > --> 3차원 구조를 갖는 것이 특징이므로, Extracellular domain만 발현 시킬 경우에는 folding에도 문제가 있으며, 기능 또한 제기능을 발휘못할 확률이 높습니다 secretion되는 단백질인데, TM이 있다는 점은 좀 독특한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분비를 한다면, 굳이 deletion mutant를 만들 필요 없이 과발현 시켜서 더 많은 단백질이 분비하도록 하는 게 더 나은 방법으로 여겨집니다 >그리고 secretion이 잘 되도록 만든 사용화된 vector(invitrogen, pSecTag2 vector)에 her2/neu, muc-1을 cloning하하여 세포에 발현시켜 분비되는 단백질도 >her2나 muc-1을 발현하는 암세포에서 분비 하는 muc-1, her2와 같은 단백질이 만들어 지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 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이 세포에 따라 다르므로, glycosylation 등 다를 수가 있습니다. 그러나, 보통은 같다고 생각하고 실험 결과들을 나타냅니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