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형광측정에 관한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형광에 대해 막 공부를 시작한 학생입니다. 형광 측정시 excitation을 어디서 시키느냐는 것이 저의 궁금증입니다. UV spectra를 측정시 나오는 파장, 예를 들면, 어떠한 물질이 파장이 300~350nm 에서 나오고 maximum 이 325 nm에서 나온다고 한다면, 형광을 측정하고자 할 때 어디에다 excitation 을 맞춰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maximum에 맞춰야 하는 건지, 또는 어떤 사람들은 가장자리 부근에 맞춘다는 사람도 있는데, 그런데 가장자리에 맞춘다는 말도 애매모호한 것 같고 만약 제가 향후 측정할 물질이 바뀐다면 어떻게 적용을 해야할지 몰라서 여러분들의 경우는 어디에 excitation을 맞춰서 형광을 측정하는지 궁금합니다. 잘 부탁드립니다.
  • fluorescence
  • 형광
  • excitation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6
  • 답변

    안상범님의 답변

    >안녕하세요 >형광에 대해 막 공부를 시작한 학생입니다. >형광 측정시 excitation을 어디서 시키느냐는 것이 저의 궁금증입니다. > >UV spectra를 측정시 나오는 파장, 예를 들면, 어떠한 물질이 파장이 300~350nm 에서 나오고 maximum 이 325 nm에서 나온다고 한다면, >형광을 측정하고자 할 때 어디에다 excitation 을 맞춰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 >maximum에 맞춰야 하는 건지, 또는 어떤 사람들은 가장자리 부근에 맞춘다는 사람도 >있는데, 그런데 가장자리에 맞춘다는 말도 애매모호한 것 같고 > 만약 제가 향후 측정할 물질이 바뀐다면 어떻게 적용을 해야할지 몰라서 >여러분들의 경우는 어디에 excitation을 맞춰서 형광을 측정하는지 궁금합니다. > >잘 부탁드립니다. 이상적인 측정은 람다맥스에서 하는 것이 맞습니다. 그러나 형광물질에 따라서 약간 달라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저의 경우는 처음에 람다맥스에서 측정을 한 후 그 전후의 파장에서 측정을 해서 최적화된 결과를 사용합니다. 먼저 람다맥스에서 측정하신 후 그 전후의 파장에서 측정하신 값을 비교하신 후 사용하시는 것이 좋을듯 합니다.
    >안녕하세요 >형광에 대해 막 공부를 시작한 학생입니다. >형광 측정시 excitation을 어디서 시키느냐는 것이 저의 궁금증입니다. > >UV spectra를 측정시 나오는 파장, 예를 들면, 어떠한 물질이 파장이 300~350nm 에서 나오고 maximum 이 325 nm에서 나온다고 한다면, >형광을 측정하고자 할 때 어디에다 excitation 을 맞춰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 >maximum에 맞춰야 하는 건지, 또는 어떤 사람들은 가장자리 부근에 맞춘다는 사람도 >있는데, 그런데 가장자리에 맞춘다는 말도 애매모호한 것 같고 > 만약 제가 향후 측정할 물질이 바뀐다면 어떻게 적용을 해야할지 몰라서 >여러분들의 경우는 어디에 excitation을 맞춰서 형광을 측정하는지 궁금합니다. > >잘 부탁드립니다. 이상적인 측정은 람다맥스에서 하는 것이 맞습니다. 그러나 형광물질에 따라서 약간 달라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저의 경우는 처음에 람다맥스에서 측정을 한 후 그 전후의 파장에서 측정을 해서 최적화된 결과를 사용합니다. 먼저 람다맥스에서 측정하신 후 그 전후의 파장에서 측정하신 값을 비교하신 후 사용하시는 것이 좋을듯 합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최규석님의 답변

    >안녕하세요 >형광에 대해 막 공부를 시작한 학생입니다. >형광 측정시 excitation을 어디서 시키느냐는 것이 저의 궁금증입니다. > >UV spectra를 측정시 나오는 파장, 예를 들면, 어떠한 물질이 파장이 300~350nm 에서 나오고 maximum 이 325 nm에서 나온다고 한다면, >형광을 측정하고자 할 때 어디에다 excitation 을 맞춰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 >maximum에 맞춰야 하는 건지, 또는 어떤 사람들은 가장자리 부근에 맞춘다는 사람도 >있는데, 그런데 가장자리에 맞춘다는 말도 애매모호한 것 같고 > 만약 제가 향후 측정할 물질이 바뀐다면 어떻게 적용을 해야할지 몰라서 >여러분들의 경우는 어디에 excitation을 맞춰서 형광을 측정하는지 궁금합니다. > >잘 부탁드립니다. UV에서 얻어지는 값과 형광에서의 excitation의 의미는 언밀히 말해서 다릅니다. 그러므로 일반적으로 UV의 람다맥스값을 가지고 측정후 값들을 람다맥스에서 조금씩 변화를 주면서 정확한 emission값을 찾는거구요 그래서 맥스값 말고도 다른 값들로 측정을 해볼수도 있고요. 알겠지만 emission 값 제일 좋을때 찾을려면 excitation 부분에 수치를 넣어줘야되는데 그 값을 변화시키면서 emission값 찾고 다시 excitation 찾을때 emission 값 변화해주면서 ... 즉 왔다리 갔다리 하면서..ㅋㅋㅋ
    >안녕하세요 >형광에 대해 막 공부를 시작한 학생입니다. >형광 측정시 excitation을 어디서 시키느냐는 것이 저의 궁금증입니다. > >UV spectra를 측정시 나오는 파장, 예를 들면, 어떠한 물질이 파장이 300~350nm 에서 나오고 maximum 이 325 nm에서 나온다고 한다면, >형광을 측정하고자 할 때 어디에다 excitation 을 맞춰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 >maximum에 맞춰야 하는 건지, 또는 어떤 사람들은 가장자리 부근에 맞춘다는 사람도 >있는데, 그런데 가장자리에 맞춘다는 말도 애매모호한 것 같고 > 만약 제가 향후 측정할 물질이 바뀐다면 어떻게 적용을 해야할지 몰라서 >여러분들의 경우는 어디에 excitation을 맞춰서 형광을 측정하는지 궁금합니다. > >잘 부탁드립니다. UV에서 얻어지는 값과 형광에서의 excitation의 의미는 언밀히 말해서 다릅니다. 그러므로 일반적으로 UV의 람다맥스값을 가지고 측정후 값들을 람다맥스에서 조금씩 변화를 주면서 정확한 emission값을 찾는거구요 그래서 맥스값 말고도 다른 값들로 측정을 해볼수도 있고요. 알겠지만 emission 값 제일 좋을때 찾을려면 excitation 부분에 수치를 넣어줘야되는데 그 값을 변화시키면서 emission값 찾고 다시 excitation 찾을때 emission 값 변화해주면서 ... 즉 왔다리 갔다리 하면서..ㅋㅋㅋ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UV spectra를 측정시 나오는 파장, 예를 들면, 어떠한 물질이 파장이 300~350nm 에서 나오고 maximum 이 325 nm에서 나온다고 한다면, ***************************************************************** 300~350을 설정하였을 때, 몇번을 측정할 것인지 기준을 정하시기 바랍니다. 만일 10nm단위로 측정하겠다고 하면 300,310,320,325(max.기준),330,340,350와 같이 7개의 측정 결과가 나올 것입니다(좀더 정확히 할려면 5nm단위로 나누면 되겠습니다). 이의 결과를 가지고 분포plot(normal probability plot와 같은 요령에 의하여)를 도표에 나타내시기 바랍니다. 정상 분포인지 아니면 이상 분포인지에 따라 최적의 값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추정에 의하여 하시지 말고 도표상의 근거에 의하여 판정함이 바른 방법입니다)
    >UV spectra를 측정시 나오는 파장, 예를 들면, 어떠한 물질이 파장이 300~350nm 에서 나오고 maximum 이 325 nm에서 나온다고 한다면, ***************************************************************** 300~350을 설정하였을 때, 몇번을 측정할 것인지 기준을 정하시기 바랍니다. 만일 10nm단위로 측정하겠다고 하면 300,310,320,325(max.기준),330,340,350와 같이 7개의 측정 결과가 나올 것입니다(좀더 정확히 할려면 5nm단위로 나누면 되겠습니다). 이의 결과를 가지고 분포plot(normal probability plot와 같은 요령에 의하여)를 도표에 나타내시기 바랍니다. 정상 분포인지 아니면 이상 분포인지에 따라 최적의 값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추정에 의하여 하시지 말고 도표상의 근거에 의하여 판정함이 바른 방법입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정홍래님의 답변

    >안녕하세요 >형광에 대해 막 공부를 시작한 학생입니다. >형광 측정시 excitation을 어디서 시키느냐는 것이 저의 궁금증입니다. > >UV spectra를 측정시 나오는 파장, 예를 들면, 어떠한 물질이 파장이 300~350nm 에서 나오고 maximum 이 325 nm에서 나온다고 한다면, >형광을 측정하고자 할 때 어디에다 excitation 을 맞춰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 >maximum에 맞춰야 하는 건지, 또는 어떤 사람들은 가장자리 부근에 맞춘다는 사람도 >있는데, 그런데 가장자리에 맞춘다는 말도 애매모호한 것 같고 > 만약 제가 향후 측정할 물질이 바뀐다면 어떻게 적용을 해야할지 몰라서 >여러분들의 경우는 어디에 excitation을 맞춰서 형광을 측정하는지 궁금합니다. > >잘 부탁드립니다. ------------------------------------------------------------------- maximum의 파장에 맞추는 것이 맞읍니다. 그리고 그때 나오는 최대 emmision 파장을 선택한은 것이 맞으나 분석이란 matrix에 따라 영향을 받으므로 분석 상황에 맞추어 정밀성과 재현성이 좋은 파장선택을 하는 것이 좋읍니다.
    >안녕하세요 >형광에 대해 막 공부를 시작한 학생입니다. >형광 측정시 excitation을 어디서 시키느냐는 것이 저의 궁금증입니다. > >UV spectra를 측정시 나오는 파장, 예를 들면, 어떠한 물질이 파장이 300~350nm 에서 나오고 maximum 이 325 nm에서 나온다고 한다면, >형광을 측정하고자 할 때 어디에다 excitation 을 맞춰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 >maximum에 맞춰야 하는 건지, 또는 어떤 사람들은 가장자리 부근에 맞춘다는 사람도 >있는데, 그런데 가장자리에 맞춘다는 말도 애매모호한 것 같고 > 만약 제가 향후 측정할 물질이 바뀐다면 어떻게 적용을 해야할지 몰라서 >여러분들의 경우는 어디에 excitation을 맞춰서 형광을 측정하는지 궁금합니다. > >잘 부탁드립니다. ------------------------------------------------------------------- maximum의 파장에 맞추는 것이 맞읍니다. 그리고 그때 나오는 최대 emmision 파장을 선택한은 것이 맞으나 분석이란 matrix에 따라 영향을 받으므로 분석 상황에 맞추어 정밀성과 재현성이 좋은 파장선택을 하는 것이 좋읍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이익환님의 답변

    >안녕하세요 >형광에 대해 막 공부를 시작한 학생입니다. >형광 측정시 excitation을 어디서 시키느냐는 것이 저의 궁금증입니다. > >UV spectra를 측정시 나오는 파장, 예를 들면, 어떠한 물질이 파장이 300~350nm 에서 나오고 maximum 이 325 nm에서 나온다고 한다면, >형광을 측정하고자 할 때 어디에다 excitation 을 맞춰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 >maximum에 맞춰야 하는 건지, 또는 어떤 사람들은 가장자리 부근에 맞춘다는 사람도 >있는데, 그런데 가장자리에 맞춘다는 말도 애매모호한 것 같고 > 만약 제가 향후 측정할 물질이 바뀐다면 어떻게 적용을 해야할지 몰라서 >여러분들의 경우는 어디에 excitation을 맞춰서 형광을 측정하는지 궁금합니다. > >잘 부탁드립니다. TCSPC (시간 상관 단일 광자 계수 법) 형광 수명 측정 장치 FluoroCube은 TAC 방식을 이용한 형광 수명 측정 장치입니다. 전문회사 사이트 소개합니다.
    >안녕하세요 >형광에 대해 막 공부를 시작한 학생입니다. >형광 측정시 excitation을 어디서 시키느냐는 것이 저의 궁금증입니다. > >UV spectra를 측정시 나오는 파장, 예를 들면, 어떠한 물질이 파장이 300~350nm 에서 나오고 maximum 이 325 nm에서 나온다고 한다면, >형광을 측정하고자 할 때 어디에다 excitation 을 맞춰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 >maximum에 맞춰야 하는 건지, 또는 어떤 사람들은 가장자리 부근에 맞춘다는 사람도 >있는데, 그런데 가장자리에 맞춘다는 말도 애매모호한 것 같고 > 만약 제가 향후 측정할 물질이 바뀐다면 어떻게 적용을 해야할지 몰라서 >여러분들의 경우는 어디에 excitation을 맞춰서 형광을 측정하는지 궁금합니다. > >잘 부탁드립니다. TCSPC (시간 상관 단일 광자 계수 법) 형광 수명 측정 장치 FluoroCube은 TAC 방식을 이용한 형광 수명 측정 장치입니다. 전문회사 사이트 소개합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안녕하세요 >형광에 대해 막 공부를 시작한 학생입니다. >형광 측정시 excitation을 어디서 시키느냐는 것이 저의 궁금증입니다. > >UV spectra를 측정시 나오는 파장, 예를 들면, 어떠한 물질이 파장이 300~350nm 에서 나오고 maximum 이 325 nm에서 나온다고 한다면, >형광을 측정하고자 할 때 어디에다 excitation 을 맞춰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 >maximum에 맞춰야 하는 건지, 또는 어떤 사람들은 가장자리 부근에 맞춘다는 사람도 >있는데, 그런데 가장자리에 맞춘다는 말도 애매모호한 것 같고 > 만약 제가 향후 측정할 물질이 바뀐다면 어떻게 적용을 해야할지 몰라서 >여러분들의 경우는 어디에 excitation을 맞춰서 형광을 측정하는지 궁금합니다. > >잘 부탁드립니다. Excitation 파장은 UV 흡수 파장대의 maximum wavelength을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emmision은 직접 excitation 파장으로 설정한 후에 직접 emmision을 측정해서 알아내는 것이 제일 정확합니다. 참고바랍니다.
    >안녕하세요 >형광에 대해 막 공부를 시작한 학생입니다. >형광 측정시 excitation을 어디서 시키느냐는 것이 저의 궁금증입니다. > >UV spectra를 측정시 나오는 파장, 예를 들면, 어떠한 물질이 파장이 300~350nm 에서 나오고 maximum 이 325 nm에서 나온다고 한다면, >형광을 측정하고자 할 때 어디에다 excitation 을 맞춰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 >maximum에 맞춰야 하는 건지, 또는 어떤 사람들은 가장자리 부근에 맞춘다는 사람도 >있는데, 그런데 가장자리에 맞춘다는 말도 애매모호한 것 같고 > 만약 제가 향후 측정할 물질이 바뀐다면 어떻게 적용을 해야할지 몰라서 >여러분들의 경우는 어디에 excitation을 맞춰서 형광을 측정하는지 궁금합니다. > >잘 부탁드립니다. Excitation 파장은 UV 흡수 파장대의 maximum wavelength을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emmision은 직접 excitation 파장으로 설정한 후에 직접 emmision을 측정해서 알아내는 것이 제일 정확합니다. 참고바랍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