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기체크로마토그래피

기체크로마토그래피에서 농도-감응성 검출기와 질량-감응성 검출기가 있다고 하는데 각각 무슨 뜻이예요?? 그리고 열전도도, 원자방출, 열이온화, 전자포착, 불꽃광도법, 불꽃이온화 검출기는 농도-감응성 검출기인가요 아니면 질량-감응성 검출기인가요?
  • 기체크로마토그래피
  • 농도-감응성
  • 질량-감응성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3
  • 답변

    조윤환님의 답변

    사실 그런 이야기는 금시초문 입니다. 하지만 단어 자체만으로 생각해보면 좀 이상한 기준으로 분류한 것 같다는 생각입 듭니다. 기체크로마토그래피에서 사용하는 모든 검출기는 농도에 따라 감응성이 변하는 검출기입니다. 즉 농도가 높으면 피크의 면적이나 높이가 증가합니다. 질량-감응성 검출기는 아마도 GC-MS를 지칭하는 것 같네요.
    사실 그런 이야기는 금시초문 입니다. 하지만 단어 자체만으로 생각해보면 좀 이상한 기준으로 분류한 것 같다는 생각입 듭니다. 기체크로마토그래피에서 사용하는 모든 검출기는 농도에 따라 감응성이 변하는 검출기입니다. 즉 농도가 높으면 피크의 면적이나 높이가 증가합니다. 질량-감응성 검출기는 아마도 GC-MS를 지칭하는 것 같네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정홍래님의 답변

    농도감응 검출기는 tcd와 같이 시료성분을 분해하지 않고 물리적 성질만을 측정하는 검출기로서 검출기 내부에 들어온 분석성분의 농도 (성분무게/ 검출기부피)에 비례한다. 질량감응 검출기는 fid, npd,aed와 같은 검출기로 화학적 반응을 일으켜 성분을 검출하는 검출기로 검출기내 들어오는 분석성분의 질량유속(질량/시간)에 비례한다.
    농도감응 검출기는 tcd와 같이 시료성분을 분해하지 않고 물리적 성질만을 측정하는 검출기로서 검출기 내부에 들어온 분석성분의 농도 (성분무게/ 검출기부피)에 비례한다. 질량감응 검출기는 fid, npd,aed와 같은 검출기로 화학적 반응을 일으켜 성분을 검출하는 검출기로 검출기내 들어오는 분석성분의 질량유속(질량/시간)에 비례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이익환님의 답변

    >기체크로마토그래피에서 > >농도-감응성 검출기와 질량-감응성 검출기가 있다고 하는데 > >각각 무슨 뜻이예요?? > >그리고 열전도도, 원자방출, 열이온화, 전자포착, 불꽃광도법, 불꽃이온화 검출기는 > >농도-감응성 검출기인가요 아니면 질량-감응성 검출기인가요? 기체 크로마토그래피용 검출기 및 실험의 최적요건이 담긴 정보입니다. 참고하세요.
    >기체크로마토그래피에서 > >농도-감응성 검출기와 질량-감응성 검출기가 있다고 하는데 > >각각 무슨 뜻이예요?? > >그리고 열전도도, 원자방출, 열이온화, 전자포착, 불꽃광도법, 불꽃이온화 검출기는 > >농도-감응성 검출기인가요 아니면 질량-감응성 검출기인가요? 기체 크로마토그래피용 검출기 및 실험의 최적요건이 담긴 정보입니다. 참고하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