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췌장암의 분자생물학적 발암기전에 대해 알고싶습니다.

췌장암의 분자생물학적 발암기전에 대해 알고싶습니다.
  • 췌장암
  • 분자생물학적
  • 발암기전에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3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췌장암의 분자생물학적 발암기전에 대해 알고싶습니다. 발생원인이 여러가지 이므로 분자생물학적 기전도 몇가지로 밝혀지고 있습니다. 요약된 자료를 첨부하니 참고하세요. 국외 자료로는 "Chronic Pancreatitis and Pancreatic Cancer: Prediction and Mechanism. Clinical Gastroenterology and Hepatology, Volume 7, Issue 11, Supplement 1, November 2009, Pages S23-S28."을 참고해 보세요.
    >췌장암의 분자생물학적 발암기전에 대해 알고싶습니다. 발생원인이 여러가지 이므로 분자생물학적 기전도 몇가지로 밝혀지고 있습니다. 요약된 자료를 첨부하니 참고하세요. 국외 자료로는 "Chronic Pancreatitis and Pancreatic Cancer: Prediction and Mechanism. Clinical Gastroenterology and Hepatology, Volume 7, Issue 11, Supplement 1, November 2009, Pages S23-S28."을 참고해 보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백대우님의 답변

    췌장암 치료제 관점에서 조사된 자료 전달합니다. 췌장은 췌관을 통해 십이지장으로 췌액을 분비하는 외분비와 호르몬을 혈관 내 로 분비하는 내분비의 2가지 기능을 가진다.췌장세포의 약 95%는 외분비와 관련 되어 있으며 주로 주췌관을 통해 소화와 관련된 췌액을 분비한다.주췌관을 통해 분비된 췌액은 우리가 섭취한 영양분 중에 단백질,지방,탄수화물의 소화를 돕기 위해 간에서 만들어진 담즙을 분비하는 총담관과 만나 소장으로 흘러 들어간다. 췌장암의 90% 이상은 외분비 세포에서 발생하는데 특히 췌관에 잘 발생하여 췌관의 암을 보통 췌장암이라 부르는 경우가 많다. 나머지 내분비와 관련된 세포들은 일명 랑게한스섬이라고도 불리며 혈액을 통 해 혈당조절에 중요한 인슐린과 글루카곤을 분비한다.인슐린은 혈당을 낮추고 반 대로 글루카곤은 혈당을 높이는 역할을 하므로 당뇨병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 이 호르몬들은 우리 몸이 음식물을 섭취함으로써 얻게 되는 에너지를 소비하고 저장하는 데 도움을 준다. 췌장암이란 췌장에 생긴 암세포로 이루어진 종괴를 말한다.췌장암에는 여러가 지 종류가 있는데 췌장관에서 발생하는 췌관선암이 90% 정도를 차지하고 있어 일반적으로 췌장암이라고 하면 췌관선암을 말하는 것이다.그 외 낭종성암(낭선 암),내분비종양 등이 일부에서 발생할 수 있다. 췌장암은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암 중에서 2.4%로 9위를 차지하고 있어 다른 암에 비해 발생빈도는 낮은 편이다.하지만 조기진단이 어렵고 주변 장기나 림프 절로 쉽게 전이되어 평균적으로 예후가 좋지 않아 사망률은 5위를 차지한다. 2002년 한국중앙암등록사업 보고서에 의하면 췌장암 발생자 2,397명 중 60~ 69세가 844명으로 60대에서 호발하는 양상(35.2%)을 보이고 있으며,남녀의 비율 은 비슷하지만 남자가 여자에 비해 조금 더 많다. 전세계적으로 보면 악성종양 중 발생빈도 13위,사망원인 빈도 8위로써,췌장 암이 호발되는 연령은 60~ 70대이며 남자에서 여자보다 1.5배 정도 많이 발생된 다. 서구에서는 1980년대부터 소화기계암 중 췌장암이 대장암 다음으로 잘 발생하 고 있다.췌장암의 발생이 흡연이나 식이와 관련이 있는데,노령인구가 증가하고 아울러 흡연 증가 및 우리의 식생활이 서구화되고 있다는 점에서 췌장암의 발생 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췌장암은 예후가 가장 불량한 대표적인 악성종양으로서,2002년 국내의 경우 2,400명이 새로이 췌장암으로 진단을 받았으며,전체 암 사망자 54,000명 중 2,600 명(4.9%)이 췌장암으로 사망하였다.췌장암은 근치적 절제술을 받은 경우에도 1년 생존율 25%,장기생존율은 5%에 불과하며,국소적으로 진행된 경우의 생존기간은 6∼10개월,전이된 경우에는 3∼6개월로서 극히 예후가 불량하다.1-3 췌장암의 불량한 예후는 질병의 초기에 이미 림프절 혹은 간으로의 원격전이가 빈번하며, 이와 연관되어 체중감소,통증,anorexia등 다양한 전신 증상의 동반에 기인하고 있다.
    췌장암 치료제 관점에서 조사된 자료 전달합니다. 췌장은 췌관을 통해 십이지장으로 췌액을 분비하는 외분비와 호르몬을 혈관 내 로 분비하는 내분비의 2가지 기능을 가진다.췌장세포의 약 95%는 외분비와 관련 되어 있으며 주로 주췌관을 통해 소화와 관련된 췌액을 분비한다.주췌관을 통해 분비된 췌액은 우리가 섭취한 영양분 중에 단백질,지방,탄수화물의 소화를 돕기 위해 간에서 만들어진 담즙을 분비하는 총담관과 만나 소장으로 흘러 들어간다. 췌장암의 90% 이상은 외분비 세포에서 발생하는데 특히 췌관에 잘 발생하여 췌관의 암을 보통 췌장암이라 부르는 경우가 많다. 나머지 내분비와 관련된 세포들은 일명 랑게한스섬이라고도 불리며 혈액을 통 해 혈당조절에 중요한 인슐린과 글루카곤을 분비한다.인슐린은 혈당을 낮추고 반 대로 글루카곤은 혈당을 높이는 역할을 하므로 당뇨병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 이 호르몬들은 우리 몸이 음식물을 섭취함으로써 얻게 되는 에너지를 소비하고 저장하는 데 도움을 준다. 췌장암이란 췌장에 생긴 암세포로 이루어진 종괴를 말한다.췌장암에는 여러가 지 종류가 있는데 췌장관에서 발생하는 췌관선암이 90% 정도를 차지하고 있어 일반적으로 췌장암이라고 하면 췌관선암을 말하는 것이다.그 외 낭종성암(낭선 암),내분비종양 등이 일부에서 발생할 수 있다. 췌장암은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암 중에서 2.4%로 9위를 차지하고 있어 다른 암에 비해 발생빈도는 낮은 편이다.하지만 조기진단이 어렵고 주변 장기나 림프 절로 쉽게 전이되어 평균적으로 예후가 좋지 않아 사망률은 5위를 차지한다. 2002년 한국중앙암등록사업 보고서에 의하면 췌장암 발생자 2,397명 중 60~ 69세가 844명으로 60대에서 호발하는 양상(35.2%)을 보이고 있으며,남녀의 비율 은 비슷하지만 남자가 여자에 비해 조금 더 많다. 전세계적으로 보면 악성종양 중 발생빈도 13위,사망원인 빈도 8위로써,췌장 암이 호발되는 연령은 60~ 70대이며 남자에서 여자보다 1.5배 정도 많이 발생된 다. 서구에서는 1980년대부터 소화기계암 중 췌장암이 대장암 다음으로 잘 발생하 고 있다.췌장암의 발생이 흡연이나 식이와 관련이 있는데,노령인구가 증가하고 아울러 흡연 증가 및 우리의 식생활이 서구화되고 있다는 점에서 췌장암의 발생 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췌장암은 예후가 가장 불량한 대표적인 악성종양으로서,2002년 국내의 경우 2,400명이 새로이 췌장암으로 진단을 받았으며,전체 암 사망자 54,000명 중 2,600 명(4.9%)이 췌장암으로 사망하였다.췌장암은 근치적 절제술을 받은 경우에도 1년 생존율 25%,장기생존율은 5%에 불과하며,국소적으로 진행된 경우의 생존기간은 6∼10개월,전이된 경우에는 3∼6개월로서 극히 예후가 불량하다.1-3 췌장암의 불량한 예후는 질병의 초기에 이미 림프절 혹은 간으로의 원격전이가 빈번하며, 이와 연관되어 체중감소,통증,anorexia등 다양한 전신 증상의 동반에 기인하고 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췌장암의 분자생물학적 발암기전에 대해 알고싶습니다. 첨부자료
    >췌장암의 분자생물학적 발암기전에 대해 알고싶습니다. 첨부자료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