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1-05
org.kosen.entty.User@59bf6253
최유성(usung22)
- 4
hydrodynamic radius 에 관련된 자료좀 찾고있는데 쉽지 않습니다.
기본적인 원리부터 hydrodynamic radius를 알아야하는 이유에 대해서 알고싶습니다.
예를 들어 탄수화물의 경우 분자량과 Rh의 상관 관계에 대한 몇가지 식은 있는데...
분자량과 Rh의 관계를 통해 얻을 수 있는정보는 무엇인가요?
자세한 답변 부탁드립니다.
- hydrodynamic radius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4
-
답변
이상영님의 답변
2010-01-05- 0
>hydrodynamic radius 에 관련된 자료좀 찾고있는데 쉽지 않습니다. > >기본적인 원리부터 hydrodynamic radius를 알아야하는 이유에 대해서 알고싶습니다. > >예를 들어 탄수화물의 경우 분자량과 Rh의 상관 관계에 대한 몇가지 식은 있는데... > >분자량과 Rh의 관계를 통해 얻을 수 있는정보는 무엇인가요? > >자세한 답변 부탁드립니다. Hydrodynamic radius에 의해 정해진 분자의 크기에 따라 고분자 시료는cross-linked polymer의 small pores에 들어갈 수도 있고 못들어갈 수도 있습니다다. 즉 작은 분자들은 pore로 확산되어 들어가기 때문에 이동이 지연되는 반면 큰 분자들은 그냥 통과하면서 solvent phase를 진행하게 됩니다 -
답변
조윤환님의 답변
2010-01-05- 0
hydrodynamic radius 에 관련된 자료는 첨부파일을 확인해 보시구요.....이와 관련된 몇가지 식을 알고 계시다니 그 식에서 얻을 수 있는 정보에 대한 해답을 구할 수 있으실 겁니다. 어디에 초점을 맞추느냐에 따라 약간의 해석이 달라지겠지만 분자량, 확산, 이동성 관련한 정보가 핵심일 겁니다. 물론 aggregation에 대한 정보도 포함됩니다. 이러한 정보들이 분야에 따라 다른 시각으로 해석되는 것 뿐일 겁니다. 고분자, 의학, 분자생물학, 나노기술 등 처럼 각 분야에서 자신의 시각에 맞게 해석하는 것 뿐이죠. 하지만 기본적인 원리나 이론적 배경은 같은 겁니다. 예를 들어 고분자에선 이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분자량이나 고분자 물질의 branching정보 같은 것을 얻습니다. 단백질을 다루는 의약학 분야에서 좀 더 다른 시각으로 정보를 해석하겠죠? 때문에 기본 정보를 바탕으로 관심분야에 맞게 정보를 수집하고 공부하실 권합니다.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2010-01-05- 0
Hydrodynamic radius는 Stokes radius와 같은 의미입니다. Stokes법칙에서 유체에 어떠한 물질- 즉 탄수화물과 같은 macromolecules 또는 colloid particle이 어떠한 dynamic 특성으로 흐르느냐 하는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는 온도, 점도, 확산계수와의 함수입니다(첨부자료) radius가 적으면 이의 확산 계수가 클 것이고, radius가 크면 이의 반대가 되겠습니다. 이러한 법칙은 분자간의 intercalation,유체 흐름의 특성 파악,유체의 혼합 등에 많이 적용되고 있습니다.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2010-01-05- 0
>hydrodynamic radius 에 관련된 자료좀 찾고있는데 쉽지 않습니다. > >기본적인 원리부터 hydrodynamic radius를 알아야하는 이유에 대해서 알고싶습니다. > >예를 들어 탄수화물의 경우 분자량과 Rh의 상관 관계에 대한 몇가지 식은 있는데... > >분자량과 Rh의 관계를 통해 얻을 수 있는정보는 무엇인가요? > >자세한 답변 부탁드립니다. 어떤 용액속에 고분자 탄수화물같은 거대분자는 비구형성을 이루면서 dynamic하게 움직이고 solvation되어 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비록 그 용액에 100% 녹지 않더라도) 여기서 solvation이라는 말은 용액과 거대분자사이의 수소결합같은 weak interaction을 통해 용해되어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그 거대분자 입자들의 확산으로부터 radius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이 radius는 역동적으로 움직이며 solvation되어 있는 입자들의 size 를 나타낸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좀 더 풀어서 설명하면, 어떤 물질이 부유하고 있는 medium을 통해 확산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용어로서 특히, 탄수화물이나 단백질, 또는 DNA 같은 irregular shape를 갖는 입자의 효과적인 radius를 나타내는 것이 hydrodynamic radius(RH)라고 쉽게 설명할 수 있겠습니다. 매우 hard sphere한 물질의 hydrodynamic radius는 그 sphere의 radius와 비슷하지만, 앞서 언급한 탄수화물 같은 물질의 RH는 물질에 따라 차이가 납니다. 따라서 RH는 solvent와 shape를 포함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아울러 분자량이 크다고 해서 반드시 RH가 크지는 않습니다. 이런 보고는 기존에 reference에서도 종종 등장하는 사실입니다. 왜냐하면 400Da의 물질이 linear일 경우와 circular일 경우에는 언뜻 보기엔 linear가 RH가 클 수 있으나 반대의 결과를 초래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비슷하게 분자량과 shape에 따라서도 많은 변수가 발생되어질 것입니다. 이러한 hydrodynamic radius가 Particle Size Analyzer(PSA)에 입자 크기 측정의 원리이기도 합니다. 또한 colloidal aggregate의 물리적 성질 규명에 도움이 되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