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레트로바이러스 고수님들 조언부탁드려요~

human fibroblast를 이용해 replicative senescence를 연구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언제부터인가 virus titer가 급격히 떨어져서 이런저런 문제점을 찾고있는데요~ 결국 원인을 찾지 못한채.. 농축하는 방법밖에 없어보입니다. ㅠㅠ retroviral cell line과 cloning된 DNA는 이상이 없는것을 확인했구요.. Q1> 혹시 레트로바이러스 실험시 가장 중요한 사항을 뽑으라면 어떤것일까요? material말고 테크닉적인 면에서 조언 부탁드립니다. (나름 공부도 많이 하고, 이런저런 test도 많이 해보았지만 도무지 답을 찾을수가 없네요.) ultracentrifuge를 이용해 약50,000g(25,000rpm)으로 90min --> virus pellet을PBS로 resuspension 후 4도씨에서 O/N하라고 논문들에 나와 있는데.. Q2>4도씨 O/N 과정이 반드시 필요한 것일까요?(damage를 줄이는 과정이라고 되어있긴 한데..)
  • retrovirus
  • infection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human fibroblast를 이용해 replicative senescence를 연구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언제부터인가 virus titer가 급격히 떨어져서 이런저런 문제점을 찾고있는데요~ >결국 원인을 찾지 못한채.. 농축하는 방법밖에 없어보입니다. ㅠㅠ >retroviral cell line과 cloning된 DNA는 이상이 없는것을 확인했구요.. > >Q1> 혹시 레트로바이러스 실험시 가장 중요한 사항을 뽑으라면 어떤것일까요? material말고 테크닉적인 면에서 조언 부탁드립니다. >(나름 공부도 많이 하고, 이런저런 test도 많이 해보았지만 도무지 답을 찾을수가 없네요.) > >ultracentrifuge를 이용해 약50,000g(25,000rpm)으로 90min --> virus pellet을PBS로 resuspension 후 4도씨에서 O/N하라고 논문들에 나와 있는데.. > >Q2>4도씨 O/N 과정이 반드시 필요한 것일까요?(damage를 줄이는 과정이라고 되어있긴 한데..) 현재 진행하고 있는 실험 과정에, thawing후에 supernatant을 다시 freezing 시켜서 사용하지 않았는지요? 만약 그런 경우라면, virus titer가 상당히 감소될 수 있습니다. 참고로 유사 실험에 대한 protocol 및 테크닉적인 면을 참고할 수 있는 자료를 첨부하니 참고해 보세요.
    >human fibroblast를 이용해 replicative senescence를 연구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언제부터인가 virus titer가 급격히 떨어져서 이런저런 문제점을 찾고있는데요~ >결국 원인을 찾지 못한채.. 농축하는 방법밖에 없어보입니다. ㅠㅠ >retroviral cell line과 cloning된 DNA는 이상이 없는것을 확인했구요.. > >Q1> 혹시 레트로바이러스 실험시 가장 중요한 사항을 뽑으라면 어떤것일까요? material말고 테크닉적인 면에서 조언 부탁드립니다. >(나름 공부도 많이 하고, 이런저런 test도 많이 해보았지만 도무지 답을 찾을수가 없네요.) > >ultracentrifuge를 이용해 약50,000g(25,000rpm)으로 90min --> virus pellet을PBS로 resuspension 후 4도씨에서 O/N하라고 논문들에 나와 있는데.. > >Q2>4도씨 O/N 과정이 반드시 필요한 것일까요?(damage를 줄이는 과정이라고 되어있긴 한데..) 현재 진행하고 있는 실험 과정에, thawing후에 supernatant을 다시 freezing 시켜서 사용하지 않았는지요? 만약 그런 경우라면, virus titer가 상당히 감소될 수 있습니다. 참고로 유사 실험에 대한 protocol 및 테크닉적인 면을 참고할 수 있는 자료를 첨부하니 참고해 보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human fibroblast를 이용해 replicative senescence를 연구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언제부터인가 virus titer가 급격히 떨어져서 이런저런 문제점을 찾고있는데요~ >결국 원인을 찾지 못한채.. 농축하는 방법밖에 없어보입니다. ㅠㅠ >retroviral cell line과 cloning된 DNA는 이상이 없는것을 확인했구요.. > >Q1> 혹시 레트로바이러스 실험시 가장 중요한 사항을 뽑으라면 어떤것일까요? material말고 테크닉적인 면에서 조언 부탁드립니다. >(나름 공부도 많이 하고, 이런저런 test도 많이 해보았지만 도무지 답을 찾을수가 없네요.) > >ultracentrifuge를 이용해 약50,000g(25,000rpm)으로 90min --> virus pellet을PBS로 resuspension 후 4도씨에서 O/N하라고 논문들에 나와 있는데.. > >Q2>4도씨 O/N 과정이 반드시 필요한 것일까요?(damage를 줄이는 과정이라고 되어있긴 한데..) 첨부자료
    >human fibroblast를 이용해 replicative senescence를 연구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언제부터인가 virus titer가 급격히 떨어져서 이런저런 문제점을 찾고있는데요~ >결국 원인을 찾지 못한채.. 농축하는 방법밖에 없어보입니다. ㅠㅠ >retroviral cell line과 cloning된 DNA는 이상이 없는것을 확인했구요.. > >Q1> 혹시 레트로바이러스 실험시 가장 중요한 사항을 뽑으라면 어떤것일까요? material말고 테크닉적인 면에서 조언 부탁드립니다. >(나름 공부도 많이 하고, 이런저런 test도 많이 해보았지만 도무지 답을 찾을수가 없네요.) > >ultracentrifuge를 이용해 약50,000g(25,000rpm)으로 90min --> virus pellet을PBS로 resuspension 후 4도씨에서 O/N하라고 논문들에 나와 있는데.. > >Q2>4도씨 O/N 과정이 반드시 필요한 것일까요?(damage를 줄이는 과정이라고 되어있긴 한데..) 첨부자료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