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혈구응집반응 (HA)에 관한 질문입니다.

HA test를 할때 기니피그피 또는 닭피를 사용하는데, 이때 둘의 차이점이 무엇인지 궁금하며, 실험용 기니피그가 미생물을 확인 한것과 않한것 둘중 아무거나 사용 하여도 상관 없는것인지 궁금합니다.
  • HA
  • 혈구응집반응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4
  • 답변

    김범수님의 답변

    >HA test를 할때 기니피그피 또는 닭피를 사용하는데, 이때 둘의 차이점이 무엇인지 궁금하며, 실험용 기니피그가 미생물을 확인 한것과 않한것 둘중 아무거나 사용 하여도 상관 없는것인지 궁금합니다. HA test 시 당 종류의 농도에 약간의 차이는 있습니다. 그러나 당결합 시험이 아닌 일반적인 HA test에서는 큰 차이는 없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혈액의 오염여부만 영향이 있을 뿐이고, 미생물 확인 여부는 차이가 없을 것입니다.
    >HA test를 할때 기니피그피 또는 닭피를 사용하는데, 이때 둘의 차이점이 무엇인지 궁금하며, 실험용 기니피그가 미생물을 확인 한것과 않한것 둘중 아무거나 사용 하여도 상관 없는것인지 궁금합니다. HA test 시 당 종류의 농도에 약간의 차이는 있습니다. 그러나 당결합 시험이 아닌 일반적인 HA test에서는 큰 차이는 없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혈액의 오염여부만 영향이 있을 뿐이고, 미생물 확인 여부는 차이가 없을 것입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 답변

    신동욱님의 답변

    >HA test를 할때 기니피그피 또는 닭피를 사용하는데, 이때 둘의 차이점이 무엇인지 궁금하며, 실험용 기니피그가 미생물을 확인 한것과 않한것 둘중 아무거나 사용 하여도 상관 없는것인지 궁금합니다. 어떤 동물의 적혈구를 HA test에 쓰느냐는 어떤 바이러스를 타겟으로 하느냐에 따라 다르다고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자면, avian influenza virus같은 닭의 적혈구를 응집시키는 특성을 가진 바이러스에 대한 HA는 보통 닭의 적혈구로 반응시키는 게 맞겠습니다. 세균 오염 여부는 상관 없긴 하나, 대신 적혈구를 응집시키는 다른 바이러스에는 오염이 되지 않도록 해야 된다고 여겨집니다
    >HA test를 할때 기니피그피 또는 닭피를 사용하는데, 이때 둘의 차이점이 무엇인지 궁금하며, 실험용 기니피그가 미생물을 확인 한것과 않한것 둘중 아무거나 사용 하여도 상관 없는것인지 궁금합니다. 어떤 동물의 적혈구를 HA test에 쓰느냐는 어떤 바이러스를 타겟으로 하느냐에 따라 다르다고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자면, avian influenza virus같은 닭의 적혈구를 응집시키는 특성을 가진 바이러스에 대한 HA는 보통 닭의 적혈구로 반응시키는 게 맞겠습니다. 세균 오염 여부는 상관 없긴 하나, 대신 적혈구를 응집시키는 다른 바이러스에는 오염이 되지 않도록 해야 된다고 여겨집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HA test를 할때 기니피그피 또는 닭피를 사용하는데, 이때 둘의 차이점이 무엇인지 궁금하며, 실험용 기니피그가 미생물을 확인 한것과 않한것 둘중 아무거나 사용 하여도 상관 없는것인지 궁금합니다. 윗분의 답변처럼 어떤 동물의 피를 test에 적용하는지는 어떤 바이러스를 사용하냐에 따라 선택이 달라질거 같습니다. 조류독감바이러스인 AI virus처럼 닭의 적혈구를 응집시키는 특징을 가진 바이러스에 대한 HA, HI는 보통 닭의 적혈구로 반응시킵니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같은 경우 기니피그와 닭, 원숭이 등의 적혈구를 다 쓸 수 있다는데 이러한 바이러스 중에도 특정 분리주에 따라 HA 반응을 유발하지 않는 경우도 있을거 같고, 적용한 동물이 다를 수도 있을 거 같습니다. HA든 HI든 blood를 사용하실 때, 원심분리로 백혈구와 buffy coat를 제거한 적혈구를 써야 되지만 세균 오염 여부는 관계 없을거 같지만 적혈구를 응집시키는 다른 바이러스에는 오염되지 않도록 하면 될거 같군요.
    >HA test를 할때 기니피그피 또는 닭피를 사용하는데, 이때 둘의 차이점이 무엇인지 궁금하며, 실험용 기니피그가 미생물을 확인 한것과 않한것 둘중 아무거나 사용 하여도 상관 없는것인지 궁금합니다. 윗분의 답변처럼 어떤 동물의 피를 test에 적용하는지는 어떤 바이러스를 사용하냐에 따라 선택이 달라질거 같습니다. 조류독감바이러스인 AI virus처럼 닭의 적혈구를 응집시키는 특징을 가진 바이러스에 대한 HA, HI는 보통 닭의 적혈구로 반응시킵니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같은 경우 기니피그와 닭, 원숭이 등의 적혈구를 다 쓸 수 있다는데 이러한 바이러스 중에도 특정 분리주에 따라 HA 반응을 유발하지 않는 경우도 있을거 같고, 적용한 동물이 다를 수도 있을 거 같습니다. HA든 HI든 blood를 사용하실 때, 원심분리로 백혈구와 buffy coat를 제거한 적혈구를 써야 되지만 세균 오염 여부는 관계 없을거 같지만 적혈구를 응집시키는 다른 바이러스에는 오염되지 않도록 하면 될거 같군요.

    답변 감사합니다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참고자료가 도움이 되기를
    참고자료가 도움이 되기를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