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1-07
org.kosen.entty.User@6ab65b8
박정일(niipark)
- 2
sprout30과 ah5506님 답변 감사합니다.
궁금한 사항이 생겨서 다시 질문을 드립니다.
sprout30님께서는
"wide band gap을 갖는 ZnO nanostructured film을 biosensor에 적용할 경우에, 그 만큼 scensing ability가 좋아진다"라고 하셨는데...
왜 그런지 궁금합니다^^
죄송하지만, 한번 더 답변 부탁드립니다.
그리고
ah5506님께서는
"ZnO와 biosensor와의 적합성은 energy bandgap이 3.0eV이상이 되면 산화,환원반응이
모두 일어날 수 있는 gap에 해당되며,산화된다고 하여도 다른 이성체 물질로 변환되지 않는다"라고 하셨는데..
이것도 왜 그런지 궁금합니다.
마찬가지로 한번 더 답변 부탁드립니다.
제가 ZnO 나노구조를 이용해서 전기화학적 바이오센서에 응용을 하려고 하는데,
에너지 밴드갭과 센서 적용의 상관관계가 궁금해서 여쭙니다.
- ZnO
- 밴드갭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2010-01-08- 0
>sprout30과 ah5506님 답변 감사합니다. > >궁금한 사항이 생겨서 다시 질문을 드립니다. > >sprout30님께서는 >"wide band gap을 갖는 ZnO nanostructured film을 biosensor에 적용할 경우에, 그 만큼 scensing ability가 좋아진다"라고 하셨는데... >왜 그런지 궁금합니다^^ >죄송하지만, 한번 더 답변 부탁드립니다. > ZnO는 큰 exciton binding energy(60 meV)와 wide band gap(3.37 eV)을 특징으로 합니다. 그 만큼 electron의 방출이 많다는 의미 입니다. 생화학 반응의 대부분을 이루는 산화-환원 반응은 전자의 이동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그 만큼 바이오sensing에서 detection이 좋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혈중 glucose 검출 같을 예를 들 수 있겠군요. ZnO/gold electrode상에 glucose oxidase를 고정화 시킨 biosensor를 이용해 혈중 glucose의 농도를 검출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다른 의문점 있으면 다시 문의해 주세요..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2010-01-08- 0
첨부 자료에 질문에 대한 답변을 기재하였습니다. 추가 필요한 사항이 있으면 문의바랍니다.(제작 방법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