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공기중 미량 존재시에 스파크 없이 폭발 가능한 가스?

탄화규소를 가루 상태에서 고온으로 1750도시까지 가열하여 압축후 제품을 생산. 진공상태에서 작업시 진공펌프 배기쪽에서 공기와 첩촉하여 폭발함.(과수원에서 새들 쫏을때쓰는 소음정도 폭발음 발생) 공기와 첩촉하여 폭발 하는것으로 사료됨. 1. 탄화규소를 고온으로 가열시 나오는 가스? 2. 공기중에서 스파크 없이 폭발 가능한 가스? 3. 해결방안?
  • 가스
  • 폭발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탄화규소를 가루 상태에서 고온으로 1750도시까지 가열하여 압축후 제품을 생산. >진공상태에서 작업시 진공펌프 배기쪽에서 공기와 첩촉하여 폭발함.(과수원에서 새들 쫏을때쓰는 소음정도 폭발음 발생) >공기와 첩촉하여 폭발 하는것으로 사료됨. > >1. 탄화규소를 고온으로 가열시 나오는 가스? >2. 공기중에서 스파크 없이 폭발 가능한 가스? >3. 해결방안? > 다른 의견을 말하면, 산이나 염기 촉매(예, 루이스 산이나 염기, 점토 등)가 존재할 경우 ? 습기가 없어도 ? 실록산 주 사슬의 특성에 따라 Me3SiH, Me2SiH2, MeSiH3와 같은 고인화성 부산물이 형성되는 실록산 사슬의 재분배가 관찰되었습니다. 작용성 HSiO1.5 단위가 존재하는 극단적인 조건에서는, 실란 가스 (SiH4)의 형성이 가능합니다. SiH4는 공기중에서 높은 휘발성(비등점 -112°C)과 자연발화성(자기-발화성가스)을 갖습니다. 1107 Fluid와 같은 폴리(메틸수소)실록산은 고온에서 분해될 수 있으며 장치에 과압을 가할 수 있는 상당한 양의 수소를 빠르게 방출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첨부 자료 참고바랍니다.
    >탄화규소를 가루 상태에서 고온으로 1750도시까지 가열하여 압축후 제품을 생산. >진공상태에서 작업시 진공펌프 배기쪽에서 공기와 첩촉하여 폭발함.(과수원에서 새들 쫏을때쓰는 소음정도 폭발음 발생) >공기와 첩촉하여 폭발 하는것으로 사료됨. > >1. 탄화규소를 고온으로 가열시 나오는 가스? >2. 공기중에서 스파크 없이 폭발 가능한 가스? >3. 해결방안? > 다른 의견을 말하면, 산이나 염기 촉매(예, 루이스 산이나 염기, 점토 등)가 존재할 경우 ? 습기가 없어도 ? 실록산 주 사슬의 특성에 따라 Me3SiH, Me2SiH2, MeSiH3와 같은 고인화성 부산물이 형성되는 실록산 사슬의 재분배가 관찰되었습니다. 작용성 HSiO1.5 단위가 존재하는 극단적인 조건에서는, 실란 가스 (SiH4)의 형성이 가능합니다. SiH4는 공기중에서 높은 휘발성(비등점 -112°C)과 자연발화성(자기-발화성가스)을 갖습니다. 1107 Fluid와 같은 폴리(메틸수소)실록산은 고온에서 분해될 수 있으며 장치에 과압을 가할 수 있는 상당한 양의 수소를 빠르게 방출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첨부 자료 참고바랍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SiC를 진공,고압,고온 압축할때 불완전 연소에 의하여 CO가 발생하며, CO가 공기와 접촉할 때 산소와 급작스럽게 폭발적으로 반응하는 현상으로 생각함.
    SiC를 진공,고압,고온 압축할때 불완전 연소에 의하여 CO가 발생하며, CO가 공기와 접촉할 때 산소와 급작스럽게 폭발적으로 반응하는 현상으로 생각함.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