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1-25
org.kosen.entty.User@5b46de04
김정현(hyeon4448)
- 2
안녕하세요.
KOSEN에서 많은 도움 받고 있는데요. 이번에도 궁금한 점이 생겨서 글을 올립니다.
제가 통성 혐기성 미생물(Enterobacter aerogenes)을 키우는 도중 떠오른 생각입니다.
보통 Headspace 부분을 N2나 Ar으로 채우고 실험합니다.
근데 Headspace를 기체로 채우지 않고 진공상태로 만들어 균을 키우게 되면 어떨지 궁금합니다. 진공으로 키운 사례가 있는지도 알고 싶습니다.
그럼 좋은 답변 기다리겠습니다.
- 통성 혐기성
- 진공
- 성장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2010-01-25- 3
>안녕하세요. >KOSEN에서 많은 도움 받고 있는데요. 이번에도 궁금한 점이 생겨서 글을 올립니다. > >제가 통성 혐기성 미생물(Enterobacter aerogenes)을 키우는 도중 떠오른 생각입니다. >보통 Headspace 부분을 N2나 Ar으로 채우고 실험합니다. >근데 Headspace를 기체로 채우지 않고 진공상태로 만들어 균을 키우게 되면 어떨지 궁금합니다. 진공으로 키운 사례가 있는지도 알고 싶습니다. > >그럼 좋은 답변 기다리겠습니다. 통성 혐기성 세균은 산소가 없는 조건에서 성장하는 세균이지만 완전히 없어야 된다는 말은 아닙니다. 산소가 완전히 없는 조건에서 자라는 세균은 절대혐기성 세균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headspace에 N2나 Ar으로 치환시킨다 할지라도 100% 산소를 제거할 순 없습니다. 그래서 통성 혐기성 배양에는 이런 비활성 기체들로 치환시켜주게 되는 겁니다. 만약 진공으로 만들 경우에는 압력이 낮아져서 오히려 성장을 방해할 수도 있을거 같습니다. 또한 진공을 어떻게 만들 것인가도 고려사항이 될거 같군요..본베이로 배양할 경우에는 진공에 의해서 bottle이 깨질수도 있으니깐요..아뭏튼 진공은 바람직하지 않은 방법인거 같습니다. 참고하세요..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2010-01-25- 0
일본 에바라사에서 진공과 비진공에서 enterobactor의 culture에 대하여 실험한 결과 0.28atm에서 실험한 결과는 비진공과 거의 동일한 결과로 나오고 있습니다. 따라서 위의 실험에 의하면 질소,Ar등의 가스를 채우지 않고 진공으로 하여도 문제점이 없는 것으로 잠정 결론지을 수 있겠습니다.
답글 감사합니다. 많은 참고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