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Gold XRD분석

첨부파일


첨부한 파일의 그림에서 a, b는 gold foil 표면이고 c는 gold nanoparticle입니다. 나머지는 모두 reference를 통해서 crystal plane을 알아냈는데 c의 2세타값이 34인 Au(100)은 확실치 않습니다. 혹시 이게 (100)이 맞는지 아닌지 어떻게 알수 있나요. 아무리 reference를 찾아도 못찾겠어요. 그리고 이를 계산하는 방법을 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gold
  • XRD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첨부한 파일의 그림에서 a, b는 gold foil 표면이고 c는 gold nanoparticle입니다. 나머지는 모두 reference를 통해서 crystal plane을 알아냈는데 c의 2세타값이 34인 Au(100)은 확실치 않습니다. > >혹시 이게 (100)이 맞는지 아닌지 어떻게 알수 있나요. 아무리 reference를 찾아도 못찾겠어요. 그리고 이를 계산하는 방법을 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Gold nanoparticle의 XRD pattern상으로는 2theta가 34'는 관찰되지 않습니다. 대신 {111} plane(2theta= 38.150')을 따라 preferential growth direction을 갖는 결정구조를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그림에서 보여지는 2theta가 34인 peak은 unknown인 것으로 추정됩니다. 그 외, 2theta가 낮은 값 영역에서는 26.125', 38.150', 44.364'({200}) 의 값으로 보여집니다. 이런 XRD pattern은 JCPDS와 비교를 통해 결정 구조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첨부하는 자료의 XRD 패턴을 보시면 바로 확인이 될 것입니다.
    >첨부한 파일의 그림에서 a, b는 gold foil 표면이고 c는 gold nanoparticle입니다. 나머지는 모두 reference를 통해서 crystal plane을 알아냈는데 c의 2세타값이 34인 Au(100)은 확실치 않습니다. > >혹시 이게 (100)이 맞는지 아닌지 어떻게 알수 있나요. 아무리 reference를 찾아도 못찾겠어요. 그리고 이를 계산하는 방법을 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Gold nanoparticle의 XRD pattern상으로는 2theta가 34'는 관찰되지 않습니다. 대신 {111} plane(2theta= 38.150')을 따라 preferential growth direction을 갖는 결정구조를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그림에서 보여지는 2theta가 34인 peak은 unknown인 것으로 추정됩니다. 그 외, 2theta가 낮은 값 영역에서는 26.125', 38.150', 44.364'({200}) 의 값으로 보여집니다. 이런 XRD pattern은 JCPDS와 비교를 통해 결정 구조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첨부하는 자료의 XRD 패턴을 보시면 바로 확인이 될 것입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X선이 물질에 입사되면 고유의 파장을 가지고 회절되는 현상을 이용한 것이 XRD인데, 이는 2dsinθ=nλ로 됩니다(d:격자의 면 간격,θ:격자면에 입사 및 회절된 각도,n:반사의 차수,λ:X선의 파장) XRD에서 peak at 2θ에서 (100)면을 선정하지 않고 (110)면을 선정하는가 하면, (100)면을 선정하게 되면 이의 값은 (200)면으로 부터의 회절선과 위상이 반대되면서 서로 상쇄되기 때문에 (100)면을 취하지 않습니다. 첨부 XRD그림을 보면 동일물질인 gold에서 (100)면에서도 2θ peak가 나오고 (200)면에서도 2θ peak가 나온다는 것은 추정하건데 (1)다른 시료가 들어갔든지(2)시료의 준비에 무언가 error가 있었지 않는가 하는 점을 추정하여 볼 수 있겠습니다. 만일 단일 결정을 시료로 한다면 회전 결정법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첨부 gold에 관련된 자료 및 XRD의 사항을 첨부합니다.
    X선이 물질에 입사되면 고유의 파장을 가지고 회절되는 현상을 이용한 것이 XRD인데, 이는 2dsinθ=nλ로 됩니다(d:격자의 면 간격,θ:격자면에 입사 및 회절된 각도,n:반사의 차수,λ:X선의 파장) XRD에서 peak at 2θ에서 (100)면을 선정하지 않고 (110)면을 선정하는가 하면, (100)면을 선정하게 되면 이의 값은 (200)면으로 부터의 회절선과 위상이 반대되면서 서로 상쇄되기 때문에 (100)면을 취하지 않습니다. 첨부 XRD그림을 보면 동일물질인 gold에서 (100)면에서도 2θ peak가 나오고 (200)면에서도 2θ peak가 나온다는 것은 추정하건데 (1)다른 시료가 들어갔든지(2)시료의 준비에 무언가 error가 있었지 않는가 하는 점을 추정하여 볼 수 있겠습니다. 만일 단일 결정을 시료로 한다면 회전 결정법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첨부 gold에 관련된 자료 및 XRD의 사항을 첨부합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