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2-07
org.kosen.entty.User@21e371bc
박희우(phw10111)
- 1
네이버에 보니까
2004년 현재 OLED의 기판 재질로는 유리를 사용하고 있으나 필름을 사용하면서 구부려서 들고 다닐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를 만들 수 있게되었다.
여기서 부터 flexible이 사용?다고 하는데 필름이라는 것이 정확히 어떤걸
말하는건지 모르겠습니다. 사진필름인지 아니면 film막을 말하는 건지 잘 모르겟습니다.
막이라면 무엇으로 만든 막인지 등을 알고 싶습니다. 또 막이라면 박막을 말하는건지도 알고 싶습니다.
- flexible
- oled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장성필님의 답변
2010-02-08- 1
>네이버에 보니까 > >2004년 현재 OLED의 기판 재질로는 유리를 사용하고 있으나 필름을 사용하면서 구부려서 들고 다닐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를 만들 수 있게되었다. > >여기서 부터 flexible이 사용?다고 하는데 필름이라는 것이 정확히 어떤걸 >말하는건지 모르겠습니다. 사진필름인지 아니면 film막을 말하는 건지 잘 모르겟습니다. >막이라면 무엇으로 만든 막인지 등을 알고 싶습니다. 또 막이라면 박막을 말하는건지도 알고 싶습니다. --- 일단 여기서 말하는 Flexible 이라는 것은 기판자체의 특성을 이야기 합니다. 기존의 유리기판은 구부릴수가 없지만, 플라스틱기판은 유연성을 가지기 때문에 디바이스의 제작후에도 유연성을 유지하게됩니다. 흔히 사용되어지는 기판으로는 Polyethersulfone(PES), Polyimide(PI)등이 있겠네요. 우리가 쉽게 접하는 물질로는 1.5L의 음료수병 재질인 PET도 이중 한가지 입니다. 추가적으로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박막 또한 유기재료입니다. OLED라는 것이 Organic LED라는 의미입니다. 기존의 Inorganic에 비해서 Organic 물질이 갖는 큰 장점중에 하나가 Flexibility이기 때문에, Flexible Device제작에 있어서 메리트를 갖기도 합니다. 좋은하루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