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2-18
org.kosen.entty.User@3a898039
김동원(woniii3535)
- 2
촉매에 따라 중합한 고분자가 어떤 색 변화 거동을 나타내는지 확인하기위해 중합된 고분자를 액체질소에서 동결분쇄하여 파우더 상태로 만들어 색차분석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파우더화 시킨 시료를 분석실에 맡길수 밖에 없어 색차분석의 원리와 L, A, b 값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수가 없습니다. 온라인 검색을 해보아도 색차분석결과를 해석하는 방법이 제대로 제시되어 있지 않더군요,, 예를들어 촉매투입량이 증가할수록 고분자의 색이 노랗게 변한다면 L or A or b 값 중에 특정한 값이 높게 나오는 것인가요? 아니면 전체적으로 값이 모두 변하는 것인가요? 색차분석에 대해 자세히 아시는 분께서는 설명을 해주시면 큰 도움이 될 것 입니다. 감사합니다.
- 색차분석
- LAb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형우찬님의 답변
2010-02-18- 1
>촉매에 따라 중합한 고분자가 어떤 색 변화 거동을 나타내는지 확인하기위해 중합된 고분자를 액체질소에서 동결분쇄하여 파우더 상태로 만들어 색차분석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파우더화 시킨 시료를 분석실에 맡길수 밖에 없어 색차분석의 원리와 L, A, b 값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수가 없습니다. 온라인 검색을 해보아도 색차분석결과를 해석하는 방법이 제대로 제시되어 있지 않더군요,, 예를들어 촉매투입량이 증가할수록 고분자의 색이 노랗게 변한다면 L or A or b 값 중에 특정한 값이 높게 나오는 것인가요? 아니면 전체적으로 값이 모두 변하는 것인가요? 색차분석에 대해 자세히 아시는 분께서는 설명을 해주시면 큰 도움이 될 것 입니다. 감사합니다. ANS) 자세하게는 저도 모릅니다만, 색차계를 쓰다보니 조금 답변드립니다. L a b 로 나타내는 color coodinate는 통상 CIE-LAB scale이라 부릅니다. CIELAB로 검색해보시면 자료를 많이 찾으실수 있습니다. Scale을 3차원적으로 표현하면 첨부한 그림처럼 됩니다. 이해가 되셨길 바라며, 자료들을 찾아보시면 원리와 계산식등을 알 수 있습니다. 즉, 문의하신것처럼 일정조건하에서 고분자의 색이 변한다면 L a b값의 차이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
답변
이남일님의 답변
2010-02-18- 1
>촉매에 따라 중합한 고분자가 어떤 색 변화 거동을 나타내는지 확인하기위해 중합된 고분자를 액체질소에서 동결분쇄하여 파우더 상태로 만들어 색차분석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파우더화 시킨 시료를 분석실에 맡길수 밖에 없어 색차분석의 원리와 L, A, b 값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수가 없습니다. 온라인 검색을 해보아도 색차분석결과를 해석하는 방법이 제대로 제시되어 있지 않더군요,, 예를들어 촉매투입량이 증가할수록 고분자의 색이 노랗게 변한다면 L or A or b 값 중에 특정한 값이 높게 나오는 것인가요? 아니면 전체적으로 값이 모두 변하는 것인가요? 색차분석에 대해 자세히 아시는 분께서는 설명을 해주시면 큰 도움이 될 것 입니다. 감사합니다. 우선 L*a*b*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드리자면... L값은 명도 값을 나타냅니다. 100이 white 0이 black이 되겠습니다. a는 red와 green의 보색 축입니다. b는 yellow와 blue의 보색 축이 되구요. 일반 그래프에서 a는 x축, b는 y축으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원점을 기준으로 +와-로 나뉘겠죠. a값을 예를 들자면 +a 는 red -a는 green의 색을 갖습니다. 따라서 +a값이 클수록 red 색을 보인다고 할수 있습니다. 풀어 설명하자니 글이 상당히 지저분해 졌네요... 요지는 절대값 a값이 클수록 그 범위 색상의 채도가 커진다는 것입니다. 색차계를 찍으시면 L,a,b값이 따로 나올것입니다. L값은 명도이니 따로 생각하시면 a축과 b축의 그래프 상에서 찍히는 값이 고유의 색상을 나타내게 되는것입니다. 이 좌표점의 차이를 통해 색차이를 알수 있습니다. △E*값이라고 하는데요 △E* = (△L*^2 + △a*^2 + △b*^2)^1/2 이 값이 크면 클수록 색차이가 크게되는것입니다. 일반적으로 △E값은 스탠다드와 샘플의 색차계를 찍으실때 보실수 있을실겁니다. 최대한 풀어 쓰다보니 글이 많이 길어졌습니다. 참... 고분자 색이 노랗게 변했다면 다른 값들도 변화가 있겠으나 b값이 가장 많이 변할 가능성이 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