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2-18
org.kosen.entty.User@1463811b
원아영(way1981)
- 4
세포를 배양하는데 있어서 염색체 변이가 발생할 수 있는 경우가 있는지요?
막연한 질문 같지만,
정상 염색체를 확인하고 세포를 일반적으로 배양하는 데 있어서 염색체 변이가 발생할 수도 있나요?
일반적인 배양법이란,
1) 세포에 적절한 배지이며, 특별한 싸이토카인 등의 추가물은 넣지 않고 기본 배지에 혈 청(10%)을 넣는 수준을 말합니다.
2) 배양기도 일반적인 인큐베이터에서 적정 CO2(7%)를 공급합니다.
3) 세포를 CRYOPRESERVATION하여 다시 해동하는 경우도 있고, 일반적인 방법인 Trypsin-EDTA(0.125%)를 이용하여 계대 배양합니다.
4) 세포는 정상 유전자를 가진 인간의 조직에서 얻은 Primary Cell culture를 진행합니다. 이때 collagenase 등 enzyme을 이용한 방법이나 Mechanical하게 disagregation 시켜서 배양하였습니다.
5) 조직, 초기 세포 배양(passage 2) 모두에서 정상 염색체 결과를 얻었습니다.
혹시 상기와 같은 조건에서도 물론 모든 조건을 다 적지 못하지만,
혹시 염색체 변이가 발생할 수 있는 일반적인 경우도 있는지요?
현재 염색체 변이가 발생된 것은 아니지만,
혹시 발생할 수도 있는 것인지 궁금해서 질문드리고 싶습니다.
아직도 세포 배양에 잇어서는 초보자라서 궁금한게 많네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 세포배양
- 염색체 변이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4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2010-02-20- 1
>세포를 배양하는데 있어서 염색체 변이가 발생할 수 있는 경우가 있는지요? >막연한 질문 같지만, >정상 염색체를 확인하고 세포를 일반적으로 배양하는 데 있어서 염색체 변이가 발생할 수도 있나요? > >일반적인 배양법이란, >1) 세포에 적절한 배지이며, 특별한 싸이토카인 등의 추가물은 넣지 않고 기본 배지에 혈 청(10%)을 넣는 수준을 말합니다. >2) 배양기도 일반적인 인큐베이터에서 적정 CO2(7%)를 공급합니다. >3) 세포를 CRYOPRESERVATION하여 다시 해동하는 경우도 있고, 일반적인 방법인 Trypsin-EDTA(0.125%)를 이용하여 계대 배양합니다. >4) 세포는 정상 유전자를 가진 인간의 조직에서 얻은 Primary Cell culture를 진행합니다. 이때 collagenase 등 enzyme을 이용한 방법이나 Mechanical하게 disagregation 시켜서 배양하였습니다. >5) 조직, 초기 세포 배양(passage 2) 모두에서 정상 염색체 결과를 얻었습니다. > >혹시 상기와 같은 조건에서도 물론 모든 조건을 다 적지 못하지만, >혹시 염색체 변이가 발생할 수 있는 일반적인 경우도 있는지요? > >현재 염색체 변이가 발생된 것은 아니지만, >혹시 발생할 수도 있는 것인지 궁금해서 질문드리고 싶습니다. > >아직도 세포 배양에 잇어서는 초보자라서 궁금한게 많네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 외부 chemical 첨가나 UV에 의한 일반적인 배양중 mutation은 일어날 수 있을거 같으나, 위의 조건으로 봐서는 특별한 원인은 없을거 같습니다. 물론 세포배양중에도 자연적인 mutation이 일어날 수는 있으나 세포내 DNA repair system에 의해서 염색체 수준의 변이는 일어나지 않을 듯 합니다. 좀 더 세부적인 배양 조건을 살펴봐야 정확히 알 수 있을거 같습니다. -
답변
원아영님의 답변
2010-02-20- 1
답변 감사드립니다. 그렇다면 위의 항목 중 5번 항목 즉, 조직의 기원이 되는 부분의 염색체 결과를 모르는 상황에서 배양을 하였습니다. passage 2에서는 정상 판독이 되었으나, passage 5정도 되었을 경우 변이가 발생하였다면, 이는 원 조직내 즉 원료의 문제로 판단할 수 있을까요? 간혹 heat shock 혹은 cold shock에 의하여 발생할 수도 있다는 말을 들은 적이 있는데, 이는 아주 극심한 정도의 온도를 말하는 것인지... 배양중 노출되는 일반적인 상온 18~ 38 수준에서도 발생할 수 있는지요? 기본 지식이 많지 않아서 너무 막연한 질문일지도 모르지만, 답변 부탁드립니다. -
답변
장재우님의 답변
2010-02-20- 1
>세포를 배양하는데 있어서 염색체 변이가 발생할 수 있는 경우가 있는지요? >막연한 질문 같지만, >정상 염색체를 확인하고 세포를 일반적으로 배양하는 데 있어서 염색체 변이가 발생할 수도 있나요? > >일반적인 배양법이란, >1) 세포에 적절한 배지이며, 특별한 싸이토카인 등의 추가물은 넣지 않고 기본 배지에 혈 청(10%)을 넣는 수준을 말합니다. >2) 배양기도 일반적인 인큐베이터에서 적정 CO2(7%)를 공급합니다. >3) 세포를 CRYOPRESERVATION하여 다시 해동하는 경우도 있고, 일반적인 방법인 Trypsin-EDTA(0.125%)를 이용하여 계대 배양합니다. >4) 세포는 정상 유전자를 가진 인간의 조직에서 얻은 Primary Cell culture를 진행합니다. 이때 collagenase 등 enzyme을 이용한 방법이나 Mechanical하게 disagregation 시켜서 배양하였습니다. >5) 조직, 초기 세포 배양(passage 2) 모두에서 정상 염색체 결과를 얻었습니다. > >혹시 상기와 같은 조건에서도 물론 모든 조건을 다 적지 못하지만, >혹시 염색체 변이가 발생할 수 있는 일반적인 경우도 있는지요? > >현재 염색체 변이가 발생된 것은 아니지만, >혹시 발생할 수도 있는 것인지 궁금해서 질문드리고 싶습니다. > >아직도 세포 배양에 잇어서는 초보자라서 궁금한게 많네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 passage 5에서 일어났다면 media 조성 및 culture조건 그리고 subculture조건에 있어서 오류가 있다고 생각 됩니다. 저희 실험실은 stem cell을 다루는데요.. mechanical, chemical method를 쓰고있는데 chemical 방법으로 장기간 subculture를 하면 염색체 변이가 나타납니다. 아무튼 정리를 해보면 5번 계대때 변이가나타나면 그 조건이 누적된 것이기 때문에 원 조직내의 원료라기보다는 배양 조건에 의해서 일어날 가능 성도 있습니다. 답변이 됐는지 모르겠네요.. 좋은 결과 있으시길 바랍니다. -
답변
전정용님의 답변
2010-02-25- 1
>세포를 배양하는데 있어서 염색체 변이가 발생할 수 있는 경우가 있는지요? >막연한 질문 같지만, >정상 염색체를 확인하고 세포를 일반적으로 배양하는 데 있어서 염색체 변이가 발생할 수도 있나요? > >일반적인 배양법이란, >1) 세포에 적절한 배지이며, 특별한 싸이토카인 등의 추가물은 넣지 않고 기본 배지에 혈 청(10%)을 넣는 수준을 말합니다. >2) 배양기도 일반적인 인큐베이터에서 적정 CO2(7%)를 공급합니다. >3) 세포를 CRYOPRESERVATION하여 다시 해동하는 경우도 있고, 일반적인 방법인 Trypsin-EDTA(0.125%)를 이용하여 계대 배양합니다. >4) 세포는 정상 유전자를 가진 인간의 조직에서 얻은 Primary Cell culture를 진행합니다. 이때 collagenase 등 enzyme을 이용한 방법이나 Mechanical하게 disagregation 시켜서 배양하였습니다. >5) 조직, 초기 세포 배양(passage 2) 모두에서 정상 염색체 결과를 얻었습니다. > >혹시 상기와 같은 조건에서도 물론 모든 조건을 다 적지 못하지만, >혹시 염색체 변이가 발생할 수 있는 일반적인 경우도 있는지요? > >현재 염색체 변이가 발생된 것은 아니지만, >혹시 발생할 수도 있는 것인지 궁금해서 질문드리고 싶습니다. > >아직도 세포 배양에 잇어서는 초보자라서 궁금한게 많네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 윗분들 말씀도 다 맞다고 생각합니다. 계대배양 과정에 있어서 물리적인 조건도 무시하지 못하죠 ESC culture조건에서도 동일한 배지임에도 불구하고 성격이 변하는 경우가 많기때문입니다. 제 생각은 여기에 추가하여 기본 배지외에 세포의 상태를 정상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추가적으로 필요로 하는 요소가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ESC culture에서도 아직까지는 알려지지 않은 요소가 있기때문에 feeder cell을 이용하거든요. 배양조건에 관련된 논문을 더 찾아보심이 어떨런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