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2-23
org.kosen.entty.User@61939db2
박진운(skanwlsdns)
- 3
안녕하세요^^
태양광모듈성능과 관련해 질문드립니다.
태양광모듈의 발전성능을 산술적으로 평가하려면.
보통 STC 또는 NOCT 조건에서의 Voc, Isc, Vmpp, Impp, 효율등이 필요합니다.
그러나 보다 정밀한 해석을 위해서는 보다 다양한 변수들의 입력을 필요로 합니다.
예를들면 태양열시스템 성능평가시 인증조건에서의 성능이 아닌 시시각각 변하는 외기온 및 태양고도에 따른 입사각수정계수등을 고려하는것과 같습니다.
시뮬레이션상에서 태양광모듈의 성능을 실제작동조건과 거의 동일하게 모사하려면 정확한 변수들의 입력이 필수적인데,
이러한 변수들을 구하는게 정말 쉽지않군요.
- 아래 문의 -
1. 박막형 PV모듈의 역포화전류(Io : reverse saturation current) 값은 얼마나 되나요?
2. 투광성을 갖도록 제작되었을 경우 역포화전류값도 동시에 변하는지요?
3. 일반 실리콘 계열 모듈의 역포화전류값은 어떻게 되는지요?
제가 전기에 대해 아는것이 없어 기초가 많이 부족하니 관련지식라도 자세히 설명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태양전지
- 역포화전류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3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2010-02-24- 1
첨부 자료를 보시면 [그림3.태양전지 등가회로]가 나오는데, 이에서 태양전지의 바로 첫번째 정류diode가 나옵니다.이 diode을 지나는 전류가 역포화전류입니다. 이의 회로는 변형OR회로라고 할 수 있는데,태양전지의 전류가 일정한 값을 가지고 흐르도록 diode를 연결하여 전류가 일정하게 (+)에서 (-)로 흐르도록 하고 있습니다.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2010-02-24- 1
태양전지에 왜? 정류diode를 사용하였는지를 먼저 알아야 하겠습니다. 태양전지는 DC인데 DC를 그냥 저항만 연결하였다고 하여서 전류가 최대치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고,집적회로(IC)에서는 OR회로,AND회로라는 회로 구성을 적용하고 있습니다(논리회로 구성). 보통 (+)에서 (-)로 전류가 흐를 때 OR회로를 많이 적용하는데,이는 소량의 전류를 분류회로로써 (-)로 보내면(이는 접지와 같은 기능을 가짐) (+)로 최대의 전류가 흐르기 때문입니다(소량의 전류 손실이 있더라도). 즉 (+)에서 나오는 전류중에서 적은 전류를 나누어 접지 시킨 효과와 같습니다. 태양전지에 따라서 차이가 있으나, 보통 역포화 전류값은 0.2~0.4mA를 취하고 있습니다.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2010-02-24- 1
첨부파일
태양전지의 등가회로를 보면 정전류diode가 꼭 들어가는데, 왜 이러한 diode를 사용할 필요가 있는가 하는 의문이 생기리라 생각합니다. 첨부 자료의 OR회로를 풀어서 그렸는데,(+)에서 분류회로로써 정전류diode를 연결하고 이를 접지를 시킨경우와 태양전지의 등가회로에서 접지 대신 (-)에 연결하는 것과는 같은 회로가 되겠습니다.비록 정전류diode에서 약간의 전류손실은 있습니다만,이와 같은 OR회로를 선택하면 태양전지의 power에서 전류를 full로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습니다. 즉,OR회로가 전류를 끌어내는 추진력 역활을 하는 것입니다.이를 역 포화 전류라고 합니다.
답변 정말로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