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TLC시 standard에 대해 궁금하게 있습니다

TLC시 standard물질이 사용되잖아요 그런데 이때 standard의 희석비율을 보통 어떻게 잡나요 ? 궁금합니다 ~
  • tLC
  • standard
  • 희석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조윤환님의 답변

    Rf값을 비교할 때 사용하는 표준물질의 희석비율은 TLC 분석에 방해가 되지 않을 정도면 됩니다. 딱히 몇 %라고 규정되어 있지는 않습니다. 단지 너무 묽으면 관찰하기 어렵고, 또 너무 진하면 오버로딩효과 때문에 spot이 끌려서 다른 물질들과 분리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몇번의 시행착오를 거쳐 적당한 농도로 조절해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보통 TLC 분석을 할 땐 표준물질과 비교하려는 검체를 각각 따로 spotting 한 후에 두 spot 가운데에다 co-spotting을 해서 결과를 비교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검체와 표준물질의 Rf가 비슷할 땐 정확한 비교가 어렵기 때문이죠. 몇번 해보시면 감이 잡히실 겁니다.
    Rf값을 비교할 때 사용하는 표준물질의 희석비율은 TLC 분석에 방해가 되지 않을 정도면 됩니다. 딱히 몇 %라고 규정되어 있지는 않습니다. 단지 너무 묽으면 관찰하기 어렵고, 또 너무 진하면 오버로딩효과 때문에 spot이 끌려서 다른 물질들과 분리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몇번의 시행착오를 거쳐 적당한 농도로 조절해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보통 TLC 분석을 할 땐 표준물질과 비교하려는 검체를 각각 따로 spotting 한 후에 두 spot 가운데에다 co-spotting을 해서 결과를 비교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검체와 표준물질의 Rf가 비슷할 땐 정확한 비교가 어렵기 때문이죠. 몇번 해보시면 감이 잡히실 겁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