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BMP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
답변
황필기님의 답변
2011-08-09- 1
-------------------------------------질문-------------------------------------
안녕하세요..^^ BMP 테스트를 통해서 혐기성상태에서 메탄발생량을 측정하였습니다. 2일에 한번씩 GC를 측정하고 15일후 최종적으로 COD와 TSS,FSS,VSS를 측정하였습니다. GC로는 메탄과 이산화탄소의 양을 측정할수 있었는데.. COD와 TSS,FSS,VSS는 왜 측정햇는지.. 그측정값이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잘 모르겠습니다..ㅡ.ㅡ 이 측정값들이 무엇을 의미하는것일까요.. 답변 해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1)우선 BMP(Biochemical Methane Production) 테스트란 혐기성 미생물에 의한 분해정도를 정성적으로 판단하기 위한 실험입니다. 이는 대상 슬러지의 혐기성 소화효율을 비교판단할 수 있는 실험입니다.
(2)슬러지라는 먹이를 혐기성미생물들이 장기간 소화시키면서 발생하는 메탄량을 측정하는 것인데요. 결국, 메탄과 이산화탄소의 양을 측정한다는 것은 먹이가 얼마나 있었는지가 전제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죠. 즉, 유기물량을 COD와 TSS로 나타낸 것이구요. FSS와 VSS는 소화되고 남은 유기물양과 소화된 유기물양을 알 수 있는 지표입니다. COD의 경우도 NBDCOD나 BDCOD 또는 SCOD를 별도로 측정한다면 유사한 개념이라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