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두가지 이상의 용질과 용매를 혼합한 혼합용액

한가지가 아닌 두가지 이상의 물질을 가지고 일정 몰 수의 혼합용액을 만든다면 어떻게 혼합해야하는지 궁금합니다. 예를 들어, 한가지의 solvent를 사용하여 A,B를 섞은 혼합용액을 S라고 가정하겠습니다. 원자비가 A:B=1:2 인 0.1M 용액 S를 만들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그 물질(용질)들의 원자량이 각각 a,b[g/mol]라고 한다면) 그냥 A,B의 원자비가 1:2이 되도록 질량을 재어서 섞은 후 그 질량[g]을 a+2b로 나누어 몰 수를 구해도 되는건가요? 차근차근 설명해 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 몰농도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조윤환님의 답변

    다른 분들이 답변을 하지 않으셔서 안타까운 마음에 답변을 올려 봅니다. 몰농도란는 것이 특정 용질에 대한 것이지 혼합용질에 대한 것이 아니라고 알고 있습니다. 두 가지 물질의 몰비가 A:B=1:2 이라면 A에 대해 0.1 M 농도로 맞추면 자연히 B에 대해선 그 절반이 되겠지요. 두 물질을 각각 66.66%와 33.33% 함유하는 혼합물로 0.1M 용액을 만든다고(좀 이상하죠? 된다고 치고...) 0.1M 용액이라고 할 수 있을까요? 전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몰농도의 정의부터 차근차근 생각해보시기 바랍니다.
    다른 분들이 답변을 하지 않으셔서 안타까운 마음에 답변을 올려 봅니다. 몰농도란는 것이 특정 용질에 대한 것이지 혼합용질에 대한 것이 아니라고 알고 있습니다. 두 가지 물질의 몰비가 A:B=1:2 이라면 A에 대해 0.1 M 농도로 맞추면 자연히 B에 대해선 그 절반이 되겠지요. 두 물질을 각각 66.66%와 33.33% 함유하는 혼합물로 0.1M 용액을 만든다고(좀 이상하죠? 된다고 치고...) 0.1M 용액이라고 할 수 있을까요? 전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몰농도의 정의부터 차근차근 생각해보시기 바랍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한가지가 아닌 두가지 이상의 물질을 가지고 일정 몰 수의 혼합용액을 만든다면 어떻게 혼합해야하는지 궁금합니다. > >예를 들어, > >한가지의 solvent를 사용하여 A,B를 섞은 혼합용액을 S라고 가정하겠습니다. > >원자비가 A:B=1:2 인 0.1M 용액 S를 만들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 >그 물질(용질)들의 원자량이 각각 a,b[g/mol]라고 한다면) > >그냥 A,B의 원자비가 1:2이 되도록 질량을 재어서 섞은 후 > >그 질량[g]을 a+2b로 나누어 몰 수를 구해도 되는건가요? > >차근차근 설명해 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 0.1M 용액이라면 용질을 각각 0.1M이 되도록 계산해서 혼합하면 됩니다. 원자비가 1:2라는 것은 큰 의미는 없습니다. 한가지 궁금한건 왜 원자비를 언급했는지요?..단지 원자비인지 아니면 A, B가 각각 다른 물질인지가 확실히 설명이 되어야 될 거 같습니다. 각각 다른 물질이라면 각각 물질을 0.1M이 되도록 계산하여 용매에 녹여주면 됩니다. 그렇지 않고 한가지 물질내에 원자비가 1:2라는 의미이면 결국 이 물질은 단일 물질이라는 것인데, 이럴 경우는 한물질로 간주하고 0.1M로 계산해야 맞을거 같군요..좀 더 명확한 질문이었으면 좋았을거 같습니다.. 왜냐하면 용질 A, B는 각각 따로 몰농도를 가지게 되므로 원자량이나 원자비는
    >한가지가 아닌 두가지 이상의 물질을 가지고 일정 몰 수의 혼합용액을 만든다면 어떻게 혼합해야하는지 궁금합니다. > >예를 들어, > >한가지의 solvent를 사용하여 A,B를 섞은 혼합용액을 S라고 가정하겠습니다. > >원자비가 A:B=1:2 인 0.1M 용액 S를 만들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 >그 물질(용질)들의 원자량이 각각 a,b[g/mol]라고 한다면) > >그냥 A,B의 원자비가 1:2이 되도록 질량을 재어서 섞은 후 > >그 질량[g]을 a+2b로 나누어 몰 수를 구해도 되는건가요? > >차근차근 설명해 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 0.1M 용액이라면 용질을 각각 0.1M이 되도록 계산해서 혼합하면 됩니다. 원자비가 1:2라는 것은 큰 의미는 없습니다. 한가지 궁금한건 왜 원자비를 언급했는지요?..단지 원자비인지 아니면 A, B가 각각 다른 물질인지가 확실히 설명이 되어야 될 거 같습니다. 각각 다른 물질이라면 각각 물질을 0.1M이 되도록 계산하여 용매에 녹여주면 됩니다. 그렇지 않고 한가지 물질내에 원자비가 1:2라는 의미이면 결국 이 물질은 단일 물질이라는 것인데, 이럴 경우는 한물질로 간주하고 0.1M로 계산해야 맞을거 같군요..좀 더 명확한 질문이었으면 좋았을거 같습니다.. 왜냐하면 용질 A, B는 각각 따로 몰농도를 가지게 되므로 원자량이나 원자비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