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3-02
org.kosen.entty.User@46ea7b
김동원(woniii3535)
- 3
This solution was titrated against 0.5N KOH solution using phenolphthalein as indicator.
정확히 실험방법이 어떻게 되는지 좀 알려주세요.,
0.5N KOH 56.11*0.5를 1L 플라스크에 넣는다면 용매로는 무엇을 쓰는건가요,,페놀프탈레인이 용매라는 말인가요?
적정이란 어느정도까지 투입하는게 적정이란 말씀이신지도 설명좀 부탁드릴께요
- 산가 측정
- hydroxyl value
- ohenolphthalein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3
-
답변
정홍래님의 답변
2010-03-03- 1
> This solution was titrated against 0.5N KOH solution using phenolphthalein as indicator. > > 정확히 실험방법이 어떻게 되는지 좀 알려주세요., >0.5N KOH 56.11*0.5를 1L 플라스크에 넣는다면 용매로는 무엇을 쓰는건가요,,페놀프탈레인이 용매라는 말인가요? > > 적정이란 어느정도까지 투입하는게 적정이란 말씀이신지도 설명좀 부탁드릴께요 --------------------------------------------------------------------산가는 산가의 정의 유지 1g 중에 함유된 유리지방산을 중화하는데 필요한 KOH의 ㎎수 페놀프탈레인은 지시약 입니다. 분석하려는 시료가 무엇인지 잘모르나 시료적정량을플라스크에 넣고 용매 ( 에탄올?에테르혼액(1:2) 100 mL을 넣고 페놀프탈레인시액을 지시약으로 하여 엷은 홍색이 30초간 지속할 때까지 0.1 N 에탄올성수산화칼륨용액으로 적정한다 ( 검체가 착색되어 있을 때는 지시약은 1% 티몰프탈레인?알코올용액이나 2% 알칼리블루-6B 알코올용액을 사용하던지 또는 검체를 소량으로 하여 상기 용제를 증량하여 시험한다) -
답변
유승호님의 답변
2010-03-03- 1
> This solution was titrated against 0.5N KOH solution using phenolphthalein as indicator. > > 정확히 실험방법이 어떻게 되는지 좀 알려주세요., >0.5N KOH 56.11*0.5를 1L 플라스크에 넣는다면 용매로는 무엇을 쓰는건가요,,페놀프탈레인이 용매라는 말인가요? > > 적정이란 어느정도까지 투입하는게 적정이란 말씀이신지도 설명좀 부탁드릴께요 밑에 질문까지 설명을 드리자면.. 님의 실험에서 반응한 물질은 산성을 띠게 되므로..산의 농도를 알면 제조된 샘플의 양을 알수가 있습니다. 따라서 샘플의 양을 확인하기 위해서 산의 농도를 측정하면 샘플의 양을 알수 있습니다. 산의 농도를 측정은 산염기 적정법을 통해서 가능합니다. 여기서는 KOH 용액을 통해서 산염기 적정이 되겠죠 0.5N KOH 용액이라는 것은 증류수 1L에서 KOH 0.5당량이 포함되어 있다는건데 1당량이라 몰농도와 동일합니다. 0.5mole = 첨가할 KOH의 량/KOH 분자량 따라서 KOH 분자량이 56.11g이니 절반이 되는 23g을 증류수에 녹여 1L가 되게 합니다. 메스플라스크에 정량을 하시면됩니다. 페노프탈렌 지시약은 산염기 적정을 했을때 산의 양과 염기양의 일치한지를 알아보기 위한겁니다...일치하였을 경우에 페노프탈렌 지시약이 작용을 하여 색변화를 일으켜 눈으로 확인이 가능하게 하기위해 첨가되는 것입니다. 지시약이 없다면 KOH용액의 투입에 의해서 산이 모두 소모되었는지 확인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첨가를 하는 겁니다. 산염기 적정법은 산이나 염기의 양을 확인하기위한 기본적인 분석법이죠.. 단 적정을 하기 위한 용액이 잘 만들어졌는지 확인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KOH 용액이 정확이 만들어 지지 않으면 측정하여도 오차가 발생을 하니깐요 도움이 되었는지 모르겠네요^^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2010-03-09- 1
> This solution was titrated against 0.5N KOH solution using phenolphthalein as indicator. > > 정확히 실험방법이 어떻게 되는지 좀 알려주세요., >0.5N KOH 56.11*0.5를 1L 플라스크에 넣는다면 용매로는 무엇을 쓰는건가요,,페놀프탈레인이 용매라는 말인가요? > > 적정이란 어느정도까지 투입하는게 적정이란 말씀이신지도 설명좀 부탁드릴께요 페놀프탈레인은 산성에서 무색을 띄고 pH 9이상의 염기성 용액에서는 붉은색을 띄는 지식약입니다. 그러나 페놀프탈레인은 물에 거의 녹지 않아서 에탄올에 주로 녹여서 2-3방울정도만 떨어뜨려 사용합니다. 산을 염기로 적정할 때는 보통 뷰렛에 염기(0.5N KOH)를 넣고 한방울씩 떨어뜨리면서 색 변화를 관찰하게 됩니다. 이때 페놀프탈레인은 산성용액속에 넣었기 때문에 무색을 띄고 있는 상태에서 0.5N KOH를 한방을씩 떨어뜨리면서 붉은색이 띄게 될때 더이상 붉은색이 없어지지 않았을 때의 KOH의 volumn을 구하게 되면 산,염기 적정을 할 수 있습니다. 즉, 중화적정의 의미입니다. 만약, KOH를 산으로 적정하고자 할때는 반대로 붉은색이 무색이 될때까지의 첨가한 산의 부피를 체크해서 그때의 산의 농도가 적정에 사용된 양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NaOH를 물에 잘 녹게 되므로 몰농도를 구해서 1L에 플라스크에 저울에 정확히 잰 0.5N에 해당되는 NaOH를 넣고 물을 부어 1L까지 물을 부어서 녹여주면 0.5N NaOH가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