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3-04
org.kosen.entty.User@2b086664
박진운(skanwlsdns)
- 1
정수처리과정에서 PAC(분말활성탄)를 이용한 전처리 (NOM제거등)공정이후에 급속 여과지를 설계할때의 방법은 어떻게 되는지요....
구체적으로 알고 싶은 것은 분말활성탄 투입농도 대비 급속여과지 여층 구성방법과 여과 속도입니다. 실제 운영 DATA가 있으면 더욱 감사 드리겠습니다. 그리고 투입된 분말활성탄은 급속여과지에서 완벽하게 제거가 되는지 궁금합니다.
너무 어려운 질문을 한듯해서 죄송합니다........아는 한도만이라도 지식좀 나누어 주세요
- 분말활성탄
- 급속여과공정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최준석님의 답변
2010-03-05- 3
> 정수처리과정에서 PAC(분말활성탄)를 이용한 전처리 (NOM제거등)공정이후에 급속 여과지를 설계할때의 방법은 어떻게 되는지요.... > 구체적으로 알고 싶은 것은 분말활성탄 투입농도 대비 급속여과지 여층 구성방법과 여과 속도입니다. 실제 운영 DATA가 있으면 더욱 감사 드리겠습니다. 그리고 투입된 분말활성탄은 급속여과지에서 완벽하게 제거가 되는지 궁금합니다. > >너무 어려운 질문을 한듯해서 죄송합니다........아는 한도만이라도 지식좀 나누어 주세요 > 안녕하세요. NOM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적용되는 PAC를 투입하는 경우 후속공정으로 설치되는 급속여과지에 대한 특별한 기준은 없습니다. 국내에 적용되는 모든 정수처리시설은 상수도시설기준에 맞춰서 설계되고 운영되기 때문에 특별한 설계 기준이 따로 없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따라서 급속여과지 전에 PAC를 주입할 경우 침전지 등에서 충분한 제거를 해야하며, 그렇지 못할 경우에는 급속여과지에 PAC가 섞여서 여과공정의 운전을 방해하거나 급속여과지 처리수로 유출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따라서 최근에는 PAC 공정의 경우 급속여과지 대신 막여과 시설을 도입하는 경향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PAC는 원수 수질에 포함된 NOM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일시적인 대안이기 때문에 장기적인 운영을 고려해서는 GAC를 도입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됩니다. 감사합니다.
친절한 답변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