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P value 구하기

안녕하세요. 임상의학에서 p-value가 의미하는 바를 자세히 알고 싶습니다. 또한 p-value를 구하는 방법도 알고 싶습니다. 듣기로는 excel에서 구한 값은 sigma plot이나 SPSS 또는 Prism같은 프로그램에서 구한 p value 보다 신뢰도가 낮다고 그러던데 맞는 것인지요?.. 구하는 방법을 자세히 알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 P value
  • 통계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3
  • 답변

    이경우님의 답변

    >안녕하세요. >임상의학에서 p-value가 의미하는 바를 자세히 알고 싶습니다. >또한 p-value를 구하는 방법도 알고 싶습니다. >듣기로는 excel에서 구한 값은 sigma plot이나 SPSS 또는 Prism같은 프로그램에서 구한 p value 보다 신뢰도가 낮다고 그러던데 맞는 것인지요?.. >구하는 방법을 자세히 알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 다른 전문가의 더 좋은 답변을 기다리면서.. 만약 제가 통계 처리를 해서 p 값이 0.04가 나왔다고 가정하면, 물론 type I, II 오류를 이용하여 설명하면 더 좋겠지만... 저는 해석할때 같은 실험을 100번 반복하여 같은 결과가 96번이 나오고, 4번을 다르게 나오는 걸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즉, 실험 결과로 얻어진 처리 그룹간의 차이가 단순한 우연이 아니라 처리 결과에 따른다는 것이죠. P 값은 실험 설계 (experimental design)에 따라 적절한 통계 방법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특정 약물 3가지의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에 대한 실험에서 각각의 실험 약물을 10명에게 투여한 후 혈액에서 콜레스테롤 수치를 측정하였다면, 일반적으로 분산분석을 사용합니다. 또는 초기 투여전 투여후 수치를 가지고 있다면 공분산 분석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T-test의 경우, excel로 쉽게 통계 처리를 할 수 있습니다만, ANOVA 테스트를 엑셀을 이용하여 통계를 하실 경우, 직접 공식을 입력하셔야 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엑셀로는 주로 T-test, regression, correlation 등을 이용하셔도 무방합니다. 제가 인상 깊게 읽었던 통계책은 아래와 같습니다. 도움이 되시길... Statistics for Veterinary and Animal Science, 2nd Edition Aviva Petrie, Paul Watson 통계를 하실 때 기존 논문에 나와 있는 실험 방법을 참고 하고 있습니다만, 주위에 통계학 전공자가 있으시면 필요할때마다 도움을 받으시는것도 괜찮을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임상의학에서 p-value가 의미하는 바를 자세히 알고 싶습니다. >또한 p-value를 구하는 방법도 알고 싶습니다. >듣기로는 excel에서 구한 값은 sigma plot이나 SPSS 또는 Prism같은 프로그램에서 구한 p value 보다 신뢰도가 낮다고 그러던데 맞는 것인지요?.. >구하는 방법을 자세히 알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 다른 전문가의 더 좋은 답변을 기다리면서.. 만약 제가 통계 처리를 해서 p 값이 0.04가 나왔다고 가정하면, 물론 type I, II 오류를 이용하여 설명하면 더 좋겠지만... 저는 해석할때 같은 실험을 100번 반복하여 같은 결과가 96번이 나오고, 4번을 다르게 나오는 걸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즉, 실험 결과로 얻어진 처리 그룹간의 차이가 단순한 우연이 아니라 처리 결과에 따른다는 것이죠. P 값은 실험 설계 (experimental design)에 따라 적절한 통계 방법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특정 약물 3가지의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에 대한 실험에서 각각의 실험 약물을 10명에게 투여한 후 혈액에서 콜레스테롤 수치를 측정하였다면, 일반적으로 분산분석을 사용합니다. 또는 초기 투여전 투여후 수치를 가지고 있다면 공분산 분석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T-test의 경우, excel로 쉽게 통계 처리를 할 수 있습니다만, ANOVA 테스트를 엑셀을 이용하여 통계를 하실 경우, 직접 공식을 입력하셔야 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엑셀로는 주로 T-test, regression, correlation 등을 이용하셔도 무방합니다. 제가 인상 깊게 읽었던 통계책은 아래와 같습니다. 도움이 되시길... Statistics for Veterinary and Animal Science, 2nd Edition Aviva Petrie, Paul Watson 통계를 하실 때 기존 논문에 나와 있는 실험 방법을 참고 하고 있습니다만, 주위에 통계학 전공자가 있으시면 필요할때마다 도움을 받으시는것도 괜찮을것 같습니다..
    권정희(buny89) 2010-03-17

    감사합니다...

  • 답변

    남주선님의 답변

    우선적으로 개념으로 설명을 드리자면.. 얻어진 쌤플의 값이 귀무가설하에서 나타날 가능성에 대한 값이 P값이라 할수있죠. 예를들어, 설명을 드리자면.. 임상디자인에서 새로운 약 A를 개발하여 기존 약 B약과의 비교를 해보고 싶을때.. 가설을 설정하겠죠.. (가설은 귀무가설/대립가설이 존재합니다.) 귀무가설이 A약과 B약의 효과는 같다.. 대립가설은 A약과 B약의 효과는 다르다 또는 더좋다. 라고 설정하고... 약효를 알아보기 위해서 표본을 통해 그 지표를 확인하겠죠? 만약 다이어트약이라면... 각 약을 복용받은 사람의 체중의 감소량을 지표로 볼수있겠죠. 그렇다고 한다면... 귀무가설이 맞다면.. 두 약의 체중감소량은 차이가 없어야겠죠? 두 약의 체중 감소량이 큰 차이를 보인다면.. 두 약의 효과는 다르다고 볼수있겠죠?? 만약 A약은 5kg감소하고, B약은 2kg감소했다고 했을때... 과연 약효가 다르다고 할수있을까요?? 여기서.. P값의 의미가 나오게됩니다. 두 약의 효과가 동일하다고 가정했을때(귀무가설이 맞다고할때), 우연히 두 약효의 차이 3kg만큼이 나타날 가능성... 이 가능성이 크다면.... 두 약효의 차이는 없다고 볼것이고.. 이 가능성이 매우 희박하다면... 두 약의 효과가 동일하다고 보기 힘들겠죠? 그래서 P값이 작을수록 대립가설(우리가 주장하는 것)을 채택하게 되는 것입니다. 그때의 기준을 0.05정도로.... 잡아주고 있는거구요.. 그리고 구하는 방법은 임상디자인 방법 및 자료의 형태에 따라 달라지게 됩니다. 통계분석방법에 따라 엑셀에서 구현이 가능한 것도 있고, 불가능한 것들도 있는데요. 엑셀이 통계분석을 위한 패키지가 아니라, 제한점이 있을 수는 있지만.. 말씀처럼 P-value의 신뢰도가 낮다라고 단정짓기는 어려운 것 같습니다.. ^^ 장황하게 설명을 드렸는데.. 도움이 되셨나.. 모르겠네요.. ^^ >안녕하세요. >임상의학에서 p-value가 의미하는 바를 자세히 알고 싶습니다. >또한 p-value를 구하는 방법도 알고 싶습니다. >듣기로는 excel에서 구한 값은 sigma plot이나 SPSS 또는 Prism같은 프로그램에서 구한 p value 보다 신뢰도가 낮다고 그러던데 맞는 것인지요?.. >구하는 방법을 자세히 알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
    우선적으로 개념으로 설명을 드리자면.. 얻어진 쌤플의 값이 귀무가설하에서 나타날 가능성에 대한 값이 P값이라 할수있죠. 예를들어, 설명을 드리자면.. 임상디자인에서 새로운 약 A를 개발하여 기존 약 B약과의 비교를 해보고 싶을때.. 가설을 설정하겠죠.. (가설은 귀무가설/대립가설이 존재합니다.) 귀무가설이 A약과 B약의 효과는 같다.. 대립가설은 A약과 B약의 효과는 다르다 또는 더좋다. 라고 설정하고... 약효를 알아보기 위해서 표본을 통해 그 지표를 확인하겠죠? 만약 다이어트약이라면... 각 약을 복용받은 사람의 체중의 감소량을 지표로 볼수있겠죠. 그렇다고 한다면... 귀무가설이 맞다면.. 두 약의 체중감소량은 차이가 없어야겠죠? 두 약의 체중 감소량이 큰 차이를 보인다면.. 두 약의 효과는 다르다고 볼수있겠죠?? 만약 A약은 5kg감소하고, B약은 2kg감소했다고 했을때... 과연 약효가 다르다고 할수있을까요?? 여기서.. P값의 의미가 나오게됩니다. 두 약의 효과가 동일하다고 가정했을때(귀무가설이 맞다고할때), 우연히 두 약효의 차이 3kg만큼이 나타날 가능성... 이 가능성이 크다면.... 두 약효의 차이는 없다고 볼것이고.. 이 가능성이 매우 희박하다면... 두 약의 효과가 동일하다고 보기 힘들겠죠? 그래서 P값이 작을수록 대립가설(우리가 주장하는 것)을 채택하게 되는 것입니다. 그때의 기준을 0.05정도로.... 잡아주고 있는거구요.. 그리고 구하는 방법은 임상디자인 방법 및 자료의 형태에 따라 달라지게 됩니다. 통계분석방법에 따라 엑셀에서 구현이 가능한 것도 있고, 불가능한 것들도 있는데요. 엑셀이 통계분석을 위한 패키지가 아니라, 제한점이 있을 수는 있지만.. 말씀처럼 P-value의 신뢰도가 낮다라고 단정짓기는 어려운 것 같습니다.. ^^ 장황하게 설명을 드렸는데.. 도움이 되셨나.. 모르겠네요.. ^^ >안녕하세요. >임상의학에서 p-value가 의미하는 바를 자세히 알고 싶습니다. >또한 p-value를 구하는 방법도 알고 싶습니다. >듣기로는 excel에서 구한 값은 sigma plot이나 SPSS 또는 Prism같은 프로그램에서 구한 p value 보다 신뢰도가 낮다고 그러던데 맞는 것인지요?.. >구하는 방법을 자세히 알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안녕하세요.>임상의학에서 p-value가 의미하는 바를 자세히 알고 싶습니다.>또한 p-value를 구하는 방법도 알고 싶습니다. >듣기로는 excel에서 구한 값은 sigma plot이나 SPSS 또는 Prism같은 프로그램에서 구한 p value 보다 신뢰도가 낮다고 그러던데 맞는 것인지요?..>구하는 방법을 자세히 알고 싶습니다.>감사합니다. 어떤 가설을 세우고 그것을 검증하고자 할때 최초 유의수준을 설정하게 되는데, 임으로 나타내는 값(검증을 하는 사람이) 이므로 보편성을 띈다고 할수는 없습니다. 실험자가 5%내의 오차율을 가지는 한도에서 검증하겠다고 하면 그것은 단지 5%내에서 사실이 되는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검증시에는 검증통계량을 쓰게 되는데, 유의수준이 흔들림에 따라서 검증통계량의 값이 여러개가 나타날수 있게 됩니다. 즉, 가설의 기각여부가 유의수준에 의존하게 되므로 객관적인 기준이 필요하게 됩니다. 이때 관찰값(가설 검증을 위해 관찰해 낸 값)이 가설을 반대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값을 구하게 되고 이것이 바로 유의확률이라고 부릅니다. 간단히 말하자면 유의확률은 가설하에서 검증통계량의 관찰값이 가설을 기각하는 반향으로 나타나는 확률을 말합니다.
    >안녕하세요.>임상의학에서 p-value가 의미하는 바를 자세히 알고 싶습니다.>또한 p-value를 구하는 방법도 알고 싶습니다. >듣기로는 excel에서 구한 값은 sigma plot이나 SPSS 또는 Prism같은 프로그램에서 구한 p value 보다 신뢰도가 낮다고 그러던데 맞는 것인지요?..>구하는 방법을 자세히 알고 싶습니다.>감사합니다. 어떤 가설을 세우고 그것을 검증하고자 할때 최초 유의수준을 설정하게 되는데, 임으로 나타내는 값(검증을 하는 사람이) 이므로 보편성을 띈다고 할수는 없습니다. 실험자가 5%내의 오차율을 가지는 한도에서 검증하겠다고 하면 그것은 단지 5%내에서 사실이 되는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검증시에는 검증통계량을 쓰게 되는데, 유의수준이 흔들림에 따라서 검증통계량의 값이 여러개가 나타날수 있게 됩니다. 즉, 가설의 기각여부가 유의수준에 의존하게 되므로 객관적인 기준이 필요하게 됩니다. 이때 관찰값(가설 검증을 위해 관찰해 낸 값)이 가설을 반대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값을 구하게 되고 이것이 바로 유의확률이라고 부릅니다. 간단히 말하자면 유의확률은 가설하에서 검증통계량의 관찰값이 가설을 기각하는 반향으로 나타나는 확률을 말합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