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Inorganic compound 와 organic compound 의 차이점

Inorganic compound 와 organic compound 의 차이점 정확히 뭔지 잘 모르겠습니다. 정확한 답변좀 부탁드립니다. Material science base 라서 위키페디아의 carbon 관련 부분이 잘 이해가 안가네요..
  • Inorganic
  • organic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3
  • 답변

    이응신님의 답변

    위키피디어에 있는 설명에 의하면 무기질과 유기질은 탄소원소의 존재여부와 관계있으나 전통적으로 생물체가 만드냐 그렇지 않으냐에 따라 분류를 해왔기 때문에 몇 몇 화합물은 탄소원자가 들어있어도 전통적인 분류에 따라 무기물로 취급한다고 하고 있습니다. ================== 위키피디어 ================================== 예외로서 흑연과 다이아몬드 등의 탄소의 동소체,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및 탄화칼슘 등의 금속 탄화염, 시안화수소와 금속시안산염, 금속싸이오시안산염은 탄소를 중심으로 한 분자종이나 무기화합물로 분류한다. 그 이유는 나중에 설명하겠지만 유기화합물은 생체가 생산하는 화합 물질이라는 역사적 정의가 존재했기 때문이며 여기에 거론된 탄소화합물은 당시부터 생체가 관여하지 않은 화합물로 발견되었기 때문에 무기화합물로 분류되었다. ================================================================ >Inorganic compound 와 organic compound 의 차이점 정확히 뭔지 잘 모르겠습니다. > >정확한 답변좀 부탁드립니다. > >Material science base 라서 위키페디아의 carbon 관련 부분이 잘 이해가 안가네요.. >
    위키피디어에 있는 설명에 의하면 무기질과 유기질은 탄소원소의 존재여부와 관계있으나 전통적으로 생물체가 만드냐 그렇지 않으냐에 따라 분류를 해왔기 때문에 몇 몇 화합물은 탄소원자가 들어있어도 전통적인 분류에 따라 무기물로 취급한다고 하고 있습니다. ================== 위키피디어 ================================== 예외로서 흑연과 다이아몬드 등의 탄소의 동소체,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및 탄화칼슘 등의 금속 탄화염, 시안화수소와 금속시안산염, 금속싸이오시안산염은 탄소를 중심으로 한 분자종이나 무기화합물로 분류한다. 그 이유는 나중에 설명하겠지만 유기화합물은 생체가 생산하는 화합 물질이라는 역사적 정의가 존재했기 때문이며 여기에 거론된 탄소화합물은 당시부터 생체가 관여하지 않은 화합물로 발견되었기 때문에 무기화합물로 분류되었다. ================================================================ >Inorganic compound 와 organic compound 의 차이점 정확히 뭔지 잘 모르겠습니다. > >정확한 답변좀 부탁드립니다. > >Material science base 라서 위키페디아의 carbon 관련 부분이 잘 이해가 안가네요..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조윤환님의 답변

    organic compound로 규정하기 위해선 탄소만으론 부족합니다. 유기화합물은 고전적으론 앞서 설명한 분의 견해가 일부 맞습니다. 하지만 탄소만 가지고 있다고 해서 유기화합물은 아닙니다. 중요한 것은 탄소와 함께 수소를 가지고 있느냐 입니다. 예를 들어 CO2, CS2, C(흑연이나 다이아몬드) 등은 탄소를 가지고 있지만 유기화합물이 아닙니다. 하지만 CH4나 HCO2H(개미산)의 경우엔 유기화합물이죠. 탄소와 함께 수소를 가지고 있느냐가 중요한 판단기준인 것입니다.
    organic compound로 규정하기 위해선 탄소만으론 부족합니다. 유기화합물은 고전적으론 앞서 설명한 분의 견해가 일부 맞습니다. 하지만 탄소만 가지고 있다고 해서 유기화합물은 아닙니다. 중요한 것은 탄소와 함께 수소를 가지고 있느냐 입니다. 예를 들어 CO2, CS2, C(흑연이나 다이아몬드) 등은 탄소를 가지고 있지만 유기화합물이 아닙니다. 하지만 CH4나 HCO2H(개미산)의 경우엔 유기화합물이죠. 탄소와 함께 수소를 가지고 있느냐가 중요한 판단기준인 것입니다.

    먼저 답변 감사드리며, 또 하나의 의문이 생기는데요.. 그럼 유기화합물을 제외한 나머지는 무기 화합물인가요??

    무기화합물의 정의에 대해서 한번 더 언급해주시면, 확실하게 이해가 될것 같습니다.

    다시한번 감사드리며...

  • 답변

    조윤환님의 답변

    유기 화합물에는 유기화합물과 무기화합물의 중간정도 되는 물질이 있습니다. 유기금속 화합물이 대표적입니다. 하지만 정의에 따라 유기화합물로 봐야겠죠.
    유기 화합물에는 유기화합물과 무기화합물의 중간정도 되는 물질이 있습니다. 유기금속 화합물이 대표적입니다. 하지만 정의에 따라 유기화합물로 봐야겠죠.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