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3-23
org.kosen.entty.User@2c10c653
김동원(woniii3535)
- 2
고분자의 말단이 PET 처럼 한쪽은 -COOH 로 끝나고 한쪽은 -OH로 끝나는 물질의 경우
왜 산가와 Hydroxyl value 를 따로 계산하나요?
-OH도 결국 H+를 내놓으니까 acid end group이 아닌가요?
왜 굳이 -COOH는 acid end group이라 명명하고 -OH는 hydroxyl group으로 차이를 짓는
건지 이해가 가질 않습니다. 그리고 PET에서는 repeat unit을
HO[OC-C6H4-COO-CH2CH2-O]H 라고 하는데 저쪽 카르복실 말단이 약산이라 OH가 떨어지고
PET를 만드는 건가요..물론 탈수 축합 반응으로 물이 생성되면서 PET가 된다는 기본은 잘
알고 있는데.. 결론은 COOH 도 COO- H+로 해리되기 때문에 산이라는 말을 쓰는것 같은데
왜 산가 측정과 hydroxyl 측정은 따로 해야 되는지 이해가 잘 안가네요.. 답변 좀 주십시
요 감사합니다.
- Hydroxyl value
- acid value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2010-03-23- 3
>고분자의 말단이 PET 처럼 한쪽은 -COOH 로 끝나고 한쪽은 -OH로 끝나는 물질의 경우 > >왜 산가와 Hydroxyl value 를 따로 계산하나요? > >-OH도 결국 H+를 내놓으니까 acid end group이 아닌가요? > >왜 굳이 -COOH는 acid end group이라 명명하고 -OH는 hydroxyl group으로 차이를 짓는 > >건지 이해가 가질 않습니다. 그리고 PET에서는 repeat unit을 > >HO[OC-C6H4-COO-CH2CH2-O]H 라고 하는데 저쪽 카르복실 말단이 약산이라 OH가 떨어지고 > >PET를 만드는 건가요..물론 탈수 축합 반응으로 물이 생성되면서 PET가 된다는 기본은 잘 > >알고 있는데.. 결론은 COOH 도 COO- H+로 해리되기 때문에 산이라는 말을 쓰는것 같은데 > >왜 산가 측정과 hydroxyl 측정은 따로 해야 되는지 이해가 잘 안가네요.. 답변 좀 주십시 > >요 감사합니다. 산가와 Hydroxyl value 를 따로 계산해야 됩니다. 이유는 acid dissociation constant(pKa)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즉, pKa값이 낮을수록 강산이고 높을수록 약산이라고 보시면 되는데, -OH group의 경우는 수용액에서 거의 deprotonatin이 되지 않습니다. 물질마다 다르긴 하나 보통 pKa값이 10이상이 넘습니다. 이 정도면 거의 해리되지 않는다고 보시면 됩니다. 예를들어서 에탄올의 구조가 CH3CH2OH이고 phenol의 구조가 C6H5OH인데 이런 물질들은 중성의 조건에서는 거의 OH형태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반면에 -COOH는 수용액에서 -COO-와 H+로 쉽게 해리가 됩니다. 물론 -COOH라 해도 pKa값에 따라 해리되는 정도가 다릅니다. -
답변
조윤환님의 답변
2010-03-23- 1
이유는 -COOH와 -OH의 해리상수, 즉 pKa값의 차이가 크기 때문입니다. COOH는 분명 산이지만 OH는 해리도가 낮기 때문에 넓은 의미에서만 산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COOH에 비해 -OH는 엄청나게 약한 산입니다. 고전적 의미에선 거의 산이라 말하기도 민망할 정도죠. 단 몇줄로 설명해드릴 수 있으면 좋겠지만, 그러기엔 좀 어렵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