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토양의 완충능력

토양의 완충능력이 크면 토양을 개량할 때 석회의 사용량이 많다고 하는데 그 유이가 무엇인가요? 어떤 화학적 작용 때문에 그런지 아시는 분 답변 부탁드립니다.
  • 완충능력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토양의 완충능력이 크면 토양을 개량할 때 석회의 사용량이 많다고 하는데 그 유이가 무엇인가요? > 어떤 화학적 작용 때문에 그런지 아시는 분 답변 부탁드립니다. Buffer system(HA <---> A- + H+)을 이해하시면 보다 더 쉽게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즉, 완충능력이 크다는 말은 외부의 산이나 염기에 의해서 특정 토양의 pH가 쉽게 변하지 않는다는 의미입니다. 즉, buffer capacity가 크기 때문에 외부의 산, 염기의 첨가로 그 buffer의 pH가 변하지 않습니다. 석회(CaCO3)는 아시다시피 염기성 화합물이므로 이를 사용하는 이유가 토양을 개질하고자 할때 사용하는 화합물이죠. 그런데 완충능이 큰 토질의 경우는 석회를 보다 더 많이 넣어야만 원하는 pH로 토질을 바꿀수가 있는 것입니다. 참고할 만한 사이트를 링크합니다. 참고 해 보세요.
    >토양의 완충능력이 크면 토양을 개량할 때 석회의 사용량이 많다고 하는데 그 유이가 무엇인가요? > 어떤 화학적 작용 때문에 그런지 아시는 분 답변 부탁드립니다. Buffer system(HA <---> A- + H+)을 이해하시면 보다 더 쉽게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즉, 완충능력이 크다는 말은 외부의 산이나 염기에 의해서 특정 토양의 pH가 쉽게 변하지 않는다는 의미입니다. 즉, buffer capacity가 크기 때문에 외부의 산, 염기의 첨가로 그 buffer의 pH가 변하지 않습니다. 석회(CaCO3)는 아시다시피 염기성 화합물이므로 이를 사용하는 이유가 토양을 개질하고자 할때 사용하는 화합물이죠. 그런데 완충능이 큰 토질의 경우는 석회를 보다 더 많이 넣어야만 원하는 pH로 토질을 바꿀수가 있는 것입니다. 참고할 만한 사이트를 링크합니다. 참고 해 보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황필기님의 답변

    1.한국토양비료학회지 제37권 6호에 실린 "한국산성토양의 pH 완충력과 석회소요량 특성"에 관한 논문을 보시면 좀 더 자세히 알 수 있습니다.
    1.한국토양비료학회지 제37권 6호에 실린 "한국산성토양의 pH 완충력과 석회소요량 특성"에 관한 논문을 보시면 좀 더 자세히 알 수 있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