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뿌옇게 변한 시약병 청소방법

시약병을 오래 쓰다보니 벽면이 뿌옇게 변했습니다. 여러 방법을 통해 제거하려고 했으나 제거되지 않네요 염이 벽면에 들러붙은거 같은데..... 제거 방법아시는분 조언 부탁드립니다.
  • 시약병
  • 제거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3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시약병을 오래 쓰다보니 벽면이 뿌옇게 변했습니다. > >여러 방법을 통해 제거하려고 했으나 제거되지 않네요 > >염이 벽면에 들러붙은거 같은데..... > >제거 방법아시는분 조언 부탁드립니다. 진한 황산을 물에 약 50% 희석해서(이렇게 해도 안되면 100% 원액으로) 병에 넣고 1시간 정도 sonication 해 보세요.
    >시약병을 오래 쓰다보니 벽면이 뿌옇게 변했습니다. > >여러 방법을 통해 제거하려고 했으나 제거되지 않네요 > >염이 벽면에 들러붙은거 같은데..... > >제거 방법아시는분 조언 부탁드립니다. 진한 황산을 물에 약 50% 희석해서(이렇게 해도 안되면 100% 원액으로) 병에 넣고 1시간 정도 sonication 해 보세요.

    염산은 안될까요? 실험실에 당장 황산이 없는데.....

    진한 HCl로도 사용해 보세요..경험상으로는 황산이 가장 효과적이었습니다만..

  • 답변

    조윤환님의 답변

    시약병을 오래 쓰다보니 벽면이 뿌옇게 변했다고 하셨는데.... 어떤 시약을 사용하던 것인지 알아야 확실하게 처리 가능합니다. 염에 의한 것이라면 앞서 답변하신 분의 방법을 사용하시면 쉽게 해결될 수 있을 겁니다. 하지만 산성용액으로 처리해도 해결되지 않을 땐 다른 방법을 이용해야 합니다. 오염물질이 산성용액에 용해되지 않으니 방법을 달리해야한다는 말입니다. 1. base cleaning solution(or bath) : 커다란 뚜컹달린 플라스틱 용기(10L 정도)에 KOH(200 g)+ 2-propanol(isopropyl alcohol) 또는 Ethanol(IPA가 없을 때 대용으로 사용바랍니다) 4L + DI water 1L 썩으세요. 물 넣을 때 발열이 있으므로 조심해서 조금씩......후드에서 하시는 것이 안전하죠. 냄새도 나고...요. 물 넣으면서 잘 저으면 KOH가 녹습니다. 식을때 까지 놔뒀다가 여기에 시약병을 넣어 두세요. 공기가 차 있는 부분은 용액이 닿질 않아서 세척이 안되니 주의하시구요. 보통 금방 실험한 유기기구의 경우 1~2시간 정도 두었다가 물로 깨끗히 헹궈서 말려서 사용합니다. 님의 경우엔 좀더 오래 두셔야 할듯 한데.... 기본적으로 KOH 가 유리의 표면을 미세하게 녹여내기 때문에 너무 오래 두시면 좋지 않습니다. 특히 정밀한 기구의 경우엔....하지만 단순히 시약병이면 별로 신경쓰지 않아도 될겁니다. 너무 오래 용액에 유리기구를 담구면 표면이 많이 부식되어 오히려 역효과가 날 수도 있습니다. 깔끔한 분이라면 물에 헹군 유리기구를 0.15% 염산 수용액(농도는 적당히)으로 한번 더 헹군 다음 물로 다시한번 헹구시면 더 좋구요. 미생물에 의한 오염을 제거하는데도 유효합니다. 단백질이 알카리에 분해되니까요. 때문에 용액에서 유리기구 꺼낼때 맨손은 곤란합니다. 고무장갑이나 집게를 사용하세요. 손에 묻으면 당장은 좀 미끈거리는 정도지만......피부가 벗겨질 겁니다. 이 방법이 않될 경우 좀 더 강력한 방법으로 다음을 참고하세요. 2. acid cleaning solution(or bath)을 이용하는 방법 : K2Cr2O7(400 g)+ DI water(4L) + conc. H2SO4(400 mL) 용액을 제조해 시약병을 하루 정도 담가 두었다가 증류수로 깨끗히 세척하세요. 웬만한 오염물질은 다 제거할 수 있는 강력한 세정용액 입니다. 단 제조 및 취급시 조심해야 합니다. 몸에 닿으면 큰일납니다. 엄청 세거든요. 제조할 때는 물에 K2Cr2O7을 녹인 용액을 먼저 만들고, 여기에 황산을 아주 천천히(열이 많이 납니다.) 조금씩 넣으면서 저어 줍니다. 보호장구를 확식하게 착용하고 후드에서 하시기 바랍니다. 만들거나 유리기구 세척할 때 한방울만 튀어도 옷에 구멍이 송송......피부는 어떻게 될까요? 세정용액은 가급적 뚜껑이 있는 커다란 유리용기를 사용하세요.
    시약병을 오래 쓰다보니 벽면이 뿌옇게 변했다고 하셨는데.... 어떤 시약을 사용하던 것인지 알아야 확실하게 처리 가능합니다. 염에 의한 것이라면 앞서 답변하신 분의 방법을 사용하시면 쉽게 해결될 수 있을 겁니다. 하지만 산성용액으로 처리해도 해결되지 않을 땐 다른 방법을 이용해야 합니다. 오염물질이 산성용액에 용해되지 않으니 방법을 달리해야한다는 말입니다. 1. base cleaning solution(or bath) : 커다란 뚜컹달린 플라스틱 용기(10L 정도)에 KOH(200 g)+ 2-propanol(isopropyl alcohol) 또는 Ethanol(IPA가 없을 때 대용으로 사용바랍니다) 4L + DI water 1L 썩으세요. 물 넣을 때 발열이 있으므로 조심해서 조금씩......후드에서 하시는 것이 안전하죠. 냄새도 나고...요. 물 넣으면서 잘 저으면 KOH가 녹습니다. 식을때 까지 놔뒀다가 여기에 시약병을 넣어 두세요. 공기가 차 있는 부분은 용액이 닿질 않아서 세척이 안되니 주의하시구요. 보통 금방 실험한 유기기구의 경우 1~2시간 정도 두었다가 물로 깨끗히 헹궈서 말려서 사용합니다. 님의 경우엔 좀더 오래 두셔야 할듯 한데.... 기본적으로 KOH 가 유리의 표면을 미세하게 녹여내기 때문에 너무 오래 두시면 좋지 않습니다. 특히 정밀한 기구의 경우엔....하지만 단순히 시약병이면 별로 신경쓰지 않아도 될겁니다. 너무 오래 용액에 유리기구를 담구면 표면이 많이 부식되어 오히려 역효과가 날 수도 있습니다. 깔끔한 분이라면 물에 헹군 유리기구를 0.15% 염산 수용액(농도는 적당히)으로 한번 더 헹군 다음 물로 다시한번 헹구시면 더 좋구요. 미생물에 의한 오염을 제거하는데도 유효합니다. 단백질이 알카리에 분해되니까요. 때문에 용액에서 유리기구 꺼낼때 맨손은 곤란합니다. 고무장갑이나 집게를 사용하세요. 손에 묻으면 당장은 좀 미끈거리는 정도지만......피부가 벗겨질 겁니다. 이 방법이 않될 경우 좀 더 강력한 방법으로 다음을 참고하세요. 2. acid cleaning solution(or bath)을 이용하는 방법 : K2Cr2O7(400 g)+ DI water(4L) + conc. H2SO4(400 mL) 용액을 제조해 시약병을 하루 정도 담가 두었다가 증류수로 깨끗히 세척하세요. 웬만한 오염물질은 다 제거할 수 있는 강력한 세정용액 입니다. 단 제조 및 취급시 조심해야 합니다. 몸에 닿으면 큰일납니다. 엄청 세거든요. 제조할 때는 물에 K2Cr2O7을 녹인 용액을 먼저 만들고, 여기에 황산을 아주 천천히(열이 많이 납니다.) 조금씩 넣으면서 저어 줍니다. 보호장구를 확식하게 착용하고 후드에서 하시기 바랍니다. 만들거나 유리기구 세척할 때 한방울만 튀어도 옷에 구멍이 송송......피부는 어떻게 될까요? 세정용액은 가급적 뚜껑이 있는 커다란 유리용기를 사용하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김진철님의 답변

    >시약병을 오래 쓰다보니 벽면이 뿌옇게 변했습니다. > >여러 방법을 통해 제거하려고 했으나 제거되지 않네요 > >염이 벽면에 들러붙은거 같은데..... > >제거 방법아시는분 조언 부탁드립니다. 금속 염인거 같은데요~ 유리병을 알콜로 잘 딱아도 뿌연 상태는 금속 때라고 여겨집니다~~ 금속때는 주로 당으로 딱아내는데요~~ 유리세척제에도 첨가한다고 합니다~~
    >시약병을 오래 쓰다보니 벽면이 뿌옇게 변했습니다. > >여러 방법을 통해 제거하려고 했으나 제거되지 않네요 > >염이 벽면에 들러붙은거 같은데..... > >제거 방법아시는분 조언 부탁드립니다. 금속 염인거 같은데요~ 유리병을 알콜로 잘 딱아도 뿌연 상태는 금속 때라고 여겨집니다~~ 금속때는 주로 당으로 딱아내는데요~~ 유리세척제에도 첨가한다고 합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