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3-24
org.kosen.entty.User@25797feb
정윤석(tjrvtjr)
- 1
대충은 아는데 정확하게 몰라서 다른사람에게 설명하기가 어렵네요.
이해가 쉽게 설명 부탁드립니다.
- DSC
- PXRD
- FTIR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조윤환님의 답변
2010-03-25- 1
각각이 책 1권 분량은 되는 내용인데....너무 가볍게 질문하시니 좀 당황스럽군요. 답변이 달리지 않는 이유일 겁니다. 안타까운 마음에 몇 줄 적어볼까 합니다. 질문의 내용을 보니 결정다형을 판단할 때 사용하는 기법들이군요. DSC는 물질의 상변화에 수반되는 열출입을 그래프(themogram)로 나타낸 것입니다. 용융, 결정화, 결정수나 용매의 결정이탈 등이 흡열 또는 발열에 해당하는 피크로 나타납니다. PXRD는 분말성고체의 엑스선 회절 패턴이므로 고체 물질의 결정형에 따라 특유의 패턴이 나타납니다. 피크의 위치(2세타)와 상대 강도 등을 비교하시면 됩니다. FTIR은 적외선 흡수분광법으로 물질을 구성하는 결합의 진동운동 방식이 피크로 나타난 스펙트럼이라고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고체의 IR스펙트럼은 결정형의 정보를 반영하므로 결정에 따라 상이한 스펙트럼이 얻어집니다. 이 외에 solid state NMR도 결정다형 연구에 사용되니 참고로 알아두세요. 모두 공통적으로 결정다형 정보를 판단하는데 사용됩니다. 같은 물질이라도 이들 기법을 이용해 다른 패턴의 결과물을 얻었다면 다른 결정형을 얻은 것이고, 같다면 동일한 결정형의 물질을 얻었다고 판단하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