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tensile test에 관하여(modulus값 구하기)

첨부파일


안녕하세요 다름이 아니라 matrix의 기계적 강도를 구하려고하는데 우선 힘과 늘어난 거리가 값으로 나와서 stress와 strain을 구해봤는데 이것을 이용하여 modulus값과 break strain UTS값을 구하려고 합니다. 우선 제가 구해는 봤는데 이것이 맞나싶어서 여쭤봅니다. 파일첨부해 놓겠습니다. 고수님들 부탁드립니다.
  • tesile test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이응신님의 답변

    데이터를 보니까 늘어난 곳부터 시작하면 충분히 원하는 값을 구할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strain을 구하려면 distance로 하는 것이 아니라 specimen의 원래 길이를 알아야 하고 원래 길이에 대한 늘어난 길이의 비율을 알아야 합니다. 아마 20.55 mm가 원래 길이라고 본다면 (원래 길이가 맞나요?) 늘어난 길이/원래 길이의 비율이 strain이 됩니다. 데이터를 뽑아서 MATLAB 같은 프로그램으로 재처리를 하든지 아니면 엑셀에서 데이터 처리를 해야 합니다. stress는 가한 힘을 단면적으로 나누어야 합니다. 나누기를 할 때는 단위를 조심해야 합니다. 나누기를 프로그래밍해서 구해보면 아마도 시편이 늘어날 때 단면적이 줄어들 것입니다. 그래서 시편의 단면적과 가한 힘으로 인한 줄어든 단면적의 관계를 3차원으로 보고 포아송 계수로 조절을 해야 합니다. (물론 무시할 정도로 단면적이 줄어든다면 그냥 처리) 이렇게 하여 가로축은 stress로 하고, 세로축은 strain을 한 다음 그래프에서 시작점을 0으로 잡고 strain의 0.2% 이동한 곳과 그래프가 만나는 지점까지를 탄성 영역으로 잡아줍니다. 영률을 구할 때는 그래프의 처음부분 (늘어나기 시작하는 부분) 가까이의 기울기를 구하면 영률이 됩니다. (영률을 구하려면 세로축과 가로축을 바꿔야겠지요. 원래 독립변수를 가로축에다 지정하므로 옛날 문헌을 보면 가로축이 stress가 됩니다. 이 경우는 가로축이 strain이 되어야 겠지요.) 수치계산 프로그램을 사용해야 표준편차 등을 구할 수 있을 것입니다. 단순히 엑셀로만으로는 힘드는 부분이 많습니다. 이렇게 구해보면 대략 수 GPa 정도의 압력이 나오면 영률을 제대로 구한 것입니다. (금속 성분일 때) >안녕하세요 다름이 아니라 matrix의 기계적 강도를 구하려고하는데 >우선 힘과 늘어난 거리가 값으로 나와서 stress와 strain을 구해봤는데 >이것을 이용하여 modulus값과 break strain UTS값을 구하려고 합니다. >우선 제가 구해는 봤는데 이것이 맞나싶어서 여쭤봅니다. >파일첨부해 놓겠습니다. 고수님들 부탁드립니다.
    데이터를 보니까 늘어난 곳부터 시작하면 충분히 원하는 값을 구할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strain을 구하려면 distance로 하는 것이 아니라 specimen의 원래 길이를 알아야 하고 원래 길이에 대한 늘어난 길이의 비율을 알아야 합니다. 아마 20.55 mm가 원래 길이라고 본다면 (원래 길이가 맞나요?) 늘어난 길이/원래 길이의 비율이 strain이 됩니다. 데이터를 뽑아서 MATLAB 같은 프로그램으로 재처리를 하든지 아니면 엑셀에서 데이터 처리를 해야 합니다. stress는 가한 힘을 단면적으로 나누어야 합니다. 나누기를 할 때는 단위를 조심해야 합니다. 나누기를 프로그래밍해서 구해보면 아마도 시편이 늘어날 때 단면적이 줄어들 것입니다. 그래서 시편의 단면적과 가한 힘으로 인한 줄어든 단면적의 관계를 3차원으로 보고 포아송 계수로 조절을 해야 합니다. (물론 무시할 정도로 단면적이 줄어든다면 그냥 처리) 이렇게 하여 가로축은 stress로 하고, 세로축은 strain을 한 다음 그래프에서 시작점을 0으로 잡고 strain의 0.2% 이동한 곳과 그래프가 만나는 지점까지를 탄성 영역으로 잡아줍니다. 영률을 구할 때는 그래프의 처음부분 (늘어나기 시작하는 부분) 가까이의 기울기를 구하면 영률이 됩니다. (영률을 구하려면 세로축과 가로축을 바꿔야겠지요. 원래 독립변수를 가로축에다 지정하므로 옛날 문헌을 보면 가로축이 stress가 됩니다. 이 경우는 가로축이 strain이 되어야 겠지요.) 수치계산 프로그램을 사용해야 표준편차 등을 구할 수 있을 것입니다. 단순히 엑셀로만으로는 힘드는 부분이 많습니다. 이렇게 구해보면 대략 수 GPa 정도의 압력이 나오면 영률을 제대로 구한 것입니다. (금속 성분일 때) >안녕하세요 다름이 아니라 matrix의 기계적 강도를 구하려고하는데 >우선 힘과 늘어난 거리가 값으로 나와서 stress와 strain을 구해봤는데 >이것을 이용하여 modulus값과 break strain UTS값을 구하려고 합니다. >우선 제가 구해는 봤는데 이것이 맞나싶어서 여쭤봅니다. >파일첨부해 놓겠습니다. 고수님들 부탁드립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