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3-29
org.kosen.entty.User@7fa3ed33
정중순(wjdwndtns)
- 1
첨부파일
첨부파일 그림에서 보면 D,E경우 1:4 dilution 일때 Hemagglutination 반응이
일어났음에도 불구하고 1:8, 1:16 dilution 때와 비교했을때 적혈구가 가라앉은 것을 볼 수 있는데 더 높은 농도의 virus을 넣어주었을때 낮은 농도에서 볼수 없는 dot form을 형성하는지 알고싶습니다.
Neuraminidase에 의해서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는건가요??
- Hemagglutination assay
- HA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송재민님의 답변
2010-09-14- 0
답변이 늦어 참고가 되실지 모르겠습니다. 저도 경험적으로 바이러스 농도가 높을 경우 적혈구의 침강이 발생하는 것을 여러번 보았습니다. 정확한 이유는 생각해 보지 않았는데요, 말씀처럼 NAase 의 활성이 높아 그럴수도 있고,높은 농도의 바이러스에 의해 RBC와 adsorption 이 일시적으로 저해되는 것 같기도 하고요.. 요컨데, '이런 일이 일어날수도 있다' 입니다. >첨부파일 그림에서 보면 D,E경우 1:4 dilution 일때 Hemagglutination 반응이 >일어났음에도 불구하고 1:8, 1:16 dilution 때와 비교했을때 적혈구가 가라앉은 것을 볼 수 있는데 더 높은 농도의 virus을 넣어주었을때 낮은 농도에서 볼수 없는 dot form을 형성하는지 알고싶습니다.>>Neuraminidase에 의해서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는건가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