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drude theroy, plasma oscillation frequency 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TCO에서 수손첨가로 투과율은 낮아지고 반사율이 높아진다는 현상을 언급하는 논문이 있는데 거기서 그런 현상이 일어나는 이유는 this behavior is caused by the increase in plasma oscillation frequency with the increasing carrier density, which could be explained quantitatively by Drude theory and is well known in degenerated TCO films. 라고 나옵니다. 여기서 plasma oscillation frequency 가 그냥 플라즈마 진동수를 말하는건지 잘 모르겠고 또 제가 알기로는 드루드 이론은 고체내의 전자가 핀볼처럼 고정된 이온들을 무작위로 때리면서 튕겨나가는 운동을 끈임없이해서 총 전류가 0으로 된다는 이론 이라고 알고 있는데 그것이 여기서 무슨 관련이 있는건지 알고 싶습니다.
  • drude theory
  • tco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운영자님의 답변

    김곤호회원님이 보내오신 답변을 올려드립니다. Drude 이론은 제가 익숙하지 않으나 현상 해석에서 plasma oscillation은 단순하게 전자 플라즈마의 고유 진동주파수를 의미하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플라즈마 내의 전자들은 계 내에서 전기적으로 균형을 갖고자 움직이게 되는데 이때 관성에 의해서 진동을 하게 되고, 그 크기는 전자 밀도에 비례하게 됩니다. 특히 이경우에 이온들은 거의 고정되어 있어 이온 플라즈마의 진동수가 고려되지 않은 것 같고, 기체상의 플라즈마에서는 이온의 진동까지도 고려하곤 합니다. 참고가 되었으면 합니다. >TCO에서 수손첨가로 투과율은 낮아지고 반사율이 >높아진다는 현상을 언급하는 논문이 있는데 거기서 >그런 현상이 일어나는 이유는 > >this behavior is caused by the increase in plasma oscillation frequency >with the increasing carrier density, which could be explained quantitatively by Drude theory and is well known in degenerated TCO films. >라고 나옵니다. 여기서 plasma oscillation frequency 가 그냥 플라즈마 진동수를 >말하는건지 잘 모르겠고 > >또 제가 알기로는 드루드 이론은 고체내의 전자가 핀볼처럼 고정된 이온들을 >무작위로 때리면서 튕겨나가는 운동을 끈임없이해서 총 전류가 0으로 된다는 이론 >이라고 알고 있는데 그것이 여기서 무슨 관련이 있는건지 알고 싶습니다.
    김곤호회원님이 보내오신 답변을 올려드립니다. Drude 이론은 제가 익숙하지 않으나 현상 해석에서 plasma oscillation은 단순하게 전자 플라즈마의 고유 진동주파수를 의미하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플라즈마 내의 전자들은 계 내에서 전기적으로 균형을 갖고자 움직이게 되는데 이때 관성에 의해서 진동을 하게 되고, 그 크기는 전자 밀도에 비례하게 됩니다. 특히 이경우에 이온들은 거의 고정되어 있어 이온 플라즈마의 진동수가 고려되지 않은 것 같고, 기체상의 플라즈마에서는 이온의 진동까지도 고려하곤 합니다. 참고가 되었으면 합니다. >TCO에서 수손첨가로 투과율은 낮아지고 반사율이 >높아진다는 현상을 언급하는 논문이 있는데 거기서 >그런 현상이 일어나는 이유는 > >this behavior is caused by the increase in plasma oscillation frequency >with the increasing carrier density, which could be explained quantitatively by Drude theory and is well known in degenerated TCO films. >라고 나옵니다. 여기서 plasma oscillation frequency 가 그냥 플라즈마 진동수를 >말하는건지 잘 모르겠고 > >또 제가 알기로는 드루드 이론은 고체내의 전자가 핀볼처럼 고정된 이온들을 >무작위로 때리면서 튕겨나가는 운동을 끈임없이해서 총 전류가 0으로 된다는 이론 >이라고 알고 있는데 그것이 여기서 무슨 관련이 있는건지 알고 싶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인정환님의 답변

    박막내의 수송전하들이 전자기파와 어떻게 반응하고 반사와 투과, 흡수되는 현상들을 Drude model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수송전하들의 밀도에 의한 plasma frequency 이상의 주파수를 가지는 전자기파는 투과가 잘 되고 plasma frequency 이하의 전자기파는 반사가 됩니다. 수소의 첨가로 수송전하의 밀도가 높아지면 반사되기 시작하는 전자기파의 주파수가 높아지게 됩니다. 그래서 반사율이 높아집니다. plasma frequency는 수송전하 밀도의 제곱근에 비례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학부 전자기책을 참고하시면 이해가 쉽습니다. >TCO에서 수손첨가로 투과율은 낮아지고 반사율이 >높아진다는 현상을 언급하는 논문이 있는데 거기서 >그런 현상이 일어나는 이유는 > >this behavior is caused by the increase in plasma oscillation frequency >with the increasing carrier density, which could be explained quantitatively by Drude theory and is well known in degenerated TCO films. >라고 나옵니다. 여기서 plasma oscillation frequency 가 그냥 플라즈마 진동수를 >말하는건지 잘 모르겠고 > >또 제가 알기로는 드루드 이론은 고체내의 전자가 핀볼처럼 고정된 이온들을 >무작위로 때리면서 튕겨나가는 운동을 끈임없이해서 총 전류가 0으로 된다는 이론 >이라고 알고 있는데 그것이 여기서 무슨 관련이 있는건지 알고 싶습니다.
    박막내의 수송전하들이 전자기파와 어떻게 반응하고 반사와 투과, 흡수되는 현상들을 Drude model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수송전하들의 밀도에 의한 plasma frequency 이상의 주파수를 가지는 전자기파는 투과가 잘 되고 plasma frequency 이하의 전자기파는 반사가 됩니다. 수소의 첨가로 수송전하의 밀도가 높아지면 반사되기 시작하는 전자기파의 주파수가 높아지게 됩니다. 그래서 반사율이 높아집니다. plasma frequency는 수송전하 밀도의 제곱근에 비례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학부 전자기책을 참고하시면 이해가 쉽습니다. >TCO에서 수손첨가로 투과율은 낮아지고 반사율이 >높아진다는 현상을 언급하는 논문이 있는데 거기서 >그런 현상이 일어나는 이유는 > >this behavior is caused by the increase in plasma oscillation frequency >with the increasing carrier density, which could be explained quantitatively by Drude theory and is well known in degenerated TCO films. >라고 나옵니다. 여기서 plasma oscillation frequency 가 그냥 플라즈마 진동수를 >말하는건지 잘 모르겠고 > >또 제가 알기로는 드루드 이론은 고체내의 전자가 핀볼처럼 고정된 이온들을 >무작위로 때리면서 튕겨나가는 운동을 끈임없이해서 총 전류가 0으로 된다는 이론 >이라고 알고 있는데 그것이 여기서 무슨 관련이 있는건지 알고 싶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