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4-07
org.kosen.entty.User@6b975800
김세민(smilesemi)
- 3
안녕하세요.
실험중에 안풀리는 문제가 있어 이렇게 도움을 구합니다.
저는 현제 Micro사이즈 디바이스를 연구하고 있습니다.
디바이스 제작후 초기전압 즉, Offset voltage를 측정을 하는데
측정시, 전압값이 계속적으로 변동을 합니다.
측정시에 파워서플라이, 디지털먼티미터를 사용하는데, 너무 짧은 시간에 전압이 변하다보니 값을 읽기조차 힘이 듭니다.
혹시 아시는분이 계시면 답변좀 꼭 부탁드립니다.
- MEMS
- 전압측정
- 초기전압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3
-
답변
이응신님의 답변
2010-04-07- 0
먼저 전류의 양이 어떻게 되는가가 중요합니다. 마이크로 사이즈 디바이스라면 수 밀리 암페어의 전류가 흐르므로 전압값의 요동이 심할 수 있습니다. 정밀한 디바이스가 아니고 자작으로 했다면 부품의 오차 범위가 있어서 전압값이 일정하게 나오지 않습니다. 즉, 한국에서 디바이스를 만들 때는 저항이나 캐패서터의 오차범위가 5%인 부품을 사용하는데 1% 짜리를 사용해도 전압값의 변동이 있습니다. 먼저 고도의 정밀한 값을 요구하여 수 밀리 암페어의 전류에 따른 전압값을 잰다면 적어도 저항은 1% 이내의 부품, 캐패시터는 5% 이하를 사용해야 합니다. 더 정밀한 값이 필요하다면 오차가 0.1%나 0.01%의 부품을 사용해야 합니다. 가격은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비싸고 구하기도 쉽지 않습니다. (국내 수입대행업체를 통해 구할 수 있습니다.) 다음에는 디바이스에 정전압회로가 있는 지 살펴보고 전압을 일정하게 공급해야 합니다. 정전압 회로는 보통 IC로 나와있고 가격도 2천원 내외의 제품이 있습니다. 정전압회로와 오차가 작은 부품을 사용하면 전압값 변동이 심하지 않을 것입니다. 더 바란다면 전원공급장치의 전압값이 얼마나 정밀한가도 아주 중요합니다. 파워스플라이의 전원이 얼마나 안정이 되어 있는가도 중요합니다. 소숫점 이하 3자리나 6자리 밀리볼트까지 정밀한 전압(또는 전류)을 공급하려면 비싼 파워스플라이 사용도 고려해야 합니다. 아마 애질런트사의 파워스플라이가 이 정도의 정밀도를 내는 제품이면 천만원 가까이 할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실험중에 안풀리는 문제가 있어 이렇게 도움을 구합니다. > >저는 현제 Micro사이즈 디바이스를 연구하고 있습니다. >디바이스 제작후 초기전압 즉, Offset voltage를 측정을 하는데 >측정시, 전압값이 계속적으로 변동을 합니다. >측정시에 파워서플라이, 디지털먼티미터를 사용하는데, 너무 짧은 시간에 전압이 변하다보니 값을 읽기조차 힘이 듭니다. > >혹시 아시는분이 계시면 답변좀 꼭 부탁드립니다. > >이응신(eisenbahn) 2010-04-08만약 국내에서 직접 제작을 했다면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부품의 납땜 부분을 잘 점검해봐야 합니다. 요즈음은 무연납을 사용하기 때문에 녹는 온도 이상으로 인두를 가열해야 하는데 보통 370도 이상으로 합니다(예전 납은 200도로 충분). 고온으로 가열해서 납땜을 하므로 잘 녹지 않고 부품의 다리에 붙어 있는 경우 겉보기에는 멀쩡해도 실제로는 붙었다 떨어졌다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전압이 크게 흔들릴 수 있습니다.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2010-04-07- 0
첨부파일
회로의 구성에 따라 전류의 변동이 나올 수 있습니다. 그중에서 가장 큰 차이가 나오는 것이 (초기)돌입전류라는 변동사항입니다. 회로의 구성은 크게 3대 부품을 사용하는데, 저항, capacitor, coil인데 초기에 전원 switch를 on하게되면 최대 부하가 극히 짧은 시간에 걸리게 됩니다. 이때를 초기 돌입전류라고 하는데, V=iR로써 i가 최대로 순간적으로 걸리기 때문에 V도 이에 따라 변동이 생기며, 시간이 조금(극히 짧은 순간)지나면 회로의 부품이 정상기능을 발휘하면서 정상전류로 돌아가게 됩니다. 통상적으로 돌입전류는 전격전류의 약20%내로 상승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이를 어느정도 억제하기 위하여 capacitor를 평활capacitor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초기 돌입전류는 순간적인 과전류,과전압현상이므로정상전류,전압 값을 측정하는 것이 무난합니다. 그러나 power supply는 그러한 돌입전류를 cover할 수 있도록 용량이 조금큰 것을 선택합니다. -
답변
변성천님의 답변
2010-04-09- 0
디지털멀티미터는 전압의 평균치를 지시합니다. 그러다보니, 전압이 변하는 경우에는 계속 값이 변하죠. 이럴때는 보통 오실로스코프를 사용합니다. 오실로스코프는 전압의 순시값을 보여주니까요. 전압을 파형을 보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것같네요. 그리고, 전압이 변하는 경우에는 아마도 디바이스의 출력전류때문일때가 많죠. 출력전류는 10uA인데, 부하때문에 20uA가 흐른다면 흐를수 있는 출력전류보다 커서 출력전압이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하죠. >안녕하세요. >실험중에 안풀리는 문제가 있어 이렇게 도움을 구합니다. > >저는 현제 Micro사이즈 디바이스를 연구하고 있습니다. >디바이스 제작후 초기전압 즉, Offset voltage를 측정을 하는데 >측정시, 전압값이 계속적으로 변동을 합니다. >측정시에 파워서플라이, 디지털먼티미터를 사용하는데, 너무 짧은 시간에 전압이 변하다보니 값을 읽기조차 힘이 듭니다. > >혹시 아시는분이 계시면 답변좀 꼭 부탁드립니다. > >
답변 감사드립니다.
참고하여 다시 문제를 풀어봐야 할 듯 합니다.